허재영 사진

허재영 |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인문관)

  • 직급:
    교수

교수소개

<지움월(부정문)의 통시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주요 관심사는 국
어 문법사, 국어 교육사이다. 국어 문법사로는 국어의 문법 범주 변천 과정과
국어 변화의 원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어문생활사의 차원에서
여자교육서, 종교서, 농서, 한글 편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발굴하고, 그 특성
을 분석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국어 교육사 분야에서는 학제 변천, 교재 발굴 등에 힘을 쏟고 있는데, 그 동
안의 발굴하여 소개한 것으로는 <월간잡지 조선어>, <일제강점기 일본어 보
급 자료>, <교육과정 이전의 작문 교재> 등이 있다. 또한 교수요목기로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의 국어과 교과서를 수집하였다. 이는 제2언어로서의 한
국어 교육 분야와도 연관된다.

학력

  • [1987] 학사 건국대학교 / 국어국문학 / 국어학
  • [1989] 석사 건국대학교 / 국어국문학과 / 국어정책론
  • [1999] 박사 건국대학교 / 국어학 / 국어사

주요연구분야

국어 교육사(독서, 작문, 화법, 문법 교육, 교재 변천사)
국어 문법사(통사론, 문법 범주론)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컨설팅 가능 분야

말하기(화법), 글쓰기(작문), 국어문법, 국어사,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연구업적

  • 연구보고서[20101130] 어문 규범의 단계별 교재 개발을 위한 실태 조사 결과 보고서 외 4종
  • 일반논문[20240229] 일제강점기 교과서 비판 담론의 전개 양상과 그 의미- 조선어독본을 중심으로 -
  • 일반논문[20231220] 광복 이후 교과서 매체의 진화와 디지털 교과서
  • 일반논문[20230930] 『태서신사(泰西新史)』의 인지명 번역과 인지제명표의 의미
  • 일반논문[20230930] 근대 중국에서의 외국 인지명 표기가 한국에 미친 영향
  • 일반논문[20230331] 여행 속에 담긴 인간 정신의 자유로움과 한계
  • 일반논문[20230331] 환산(한메, 한뫼) 이윤재의 국어 연구와 국어교육
  • 일반논문[20230105] 일제 강점기 조선어 교과서에 대한 식민 침탈 기획 - 통감시대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과 강제 병합 직후 자구 정정판 조선어독본, 제1차 조선교육령기 조선어급한문독본을 대상으로-
  • 일반논문[20220930] 사회언어학 발달 과정과 역사사회언어학 개념 정립을 위한 시도
  • 일반논문[20220831] 한국 통신교육의 역사와 범정의 교육 사상
  • 일반논문[20220331] 독본 개념의 형성과 근대 이후 독본의 유형
  • 일반논문[20220331] 槪念史 硏究 方法과 國語敎育 –國語敎育史 연구를 위하여–
  • 일반논문[20210731] 근대의 ‘박물’ 개념 형성과 박물학 교과서
  • 일반논문[20210630] 근대 번역 학술어의 생성과 수용 과정 연구 -‘과학, 철학, 경제학, 사회학’이라는 용어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210630] 근대 중국과 한국에서의 ‘격치(格致)’ 개념 형성과 변화 과정
  • 일반논문[20210331] 근대 이전 소학 교육의 구조와 문자 학습 교재의 국어교육사적 의미
  • 일반논문[20200331] 근대 학문 발달과 신문사장판(新文社藏板) 󰡔최신실용 조선백과대전󰡕의 의미
  • 일반논문[20190831] 근대 한국에서의 번역 서학서 수용과 학술어 사용 양상
  • 일반논문[20190630] 『ᄉᆞ민필지(士民必知)』에 나타난 어문 의식과 근대 지식의 변화
  • 일반논문[20190630] 근대 중국의 서학 수용과 한국에서의 번역 서양서 수용 양상 —제조총국 번역관과 광학회의 서학 관련 서적의 유통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90331] 한국 근현대 종교 관련 문헌의 분포와 국문 사용 실태 연구
  • 일반논문[20190331] 한국 근현대 종교 지식 담론의 발달과 학술어 수용 양상 연구
  • 일반논문[20181130] 지식 유통의 관점에서 본 근대 동아시아의 번역 학술어 생성‧변화 및 그 영향
  • 일반논문[20181130] 지식 유통의 관점에서 본 근대 학술어 생성과 변화 연구-󰡔성신지장󰡕과 󰡔생리학 초권󰡕의 색인어를 대상으로-
  • 일반논문[20180930] 지식 교류의 관점에서 본 한국에서의 "자서조동" 수용 양상
  • 일반논문[20180515] 지식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근현대 일본 제국주의 팽창정책과 한중 관련 서적 분포―메이지 이후 일제 강점기까지의 동아담론과한중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80331] 근대 중국어 번역 학술어 생성 양상과 한국에 미친 영향
  • 일반논문[20180228] 지식 생산과 전파ㆍ수용에 따른 지식 권력 연구 방법론
  • 일반논문[20171231] 근대 계몽기 개념어 형성과 변화 과정 연구 –사회학 용어를 중심으로 -
  • 일반논문[20170930] 근대 계몽기 량치차오 『음빙실문집(飮氷室文集)』 역술(譯述)의 의미
  • 일반논문[20170930] 일제 강점기 한글 표기론과 교수 방법론의 국어교육사적 의미
  • 일반논문[20170930] 일제 강점기 농민독본의 국어교육사적 의미
  • 일반논문[20170831] 일제강점기 한글운동과 문맹퇴치(문자보급) 운동 연구
  • 일반논문[20170630] 근현대(1880~1945) 한국에 수용된 중국 학술 사상에 대한 연구
  • 일반논문[20170630] 근대 중국의 서양서 번역․보급과 한국 근대 학문에 미친 영향 연구
  • 일반논문[20170630] 국어사 시대 구분과 20세기 초의 문법 변화
  • 일반논문[20170430] 정책–예산–평가 선순환체제 구축을 위한정책 성과 평가도구 개발- 경기도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
  • 일반논문[20170201] 일제 강점기 조선학에 대한 관심과 제4차 교육령기의 조선적인 교과서 연구
  • 일반논문[20161231] 차별 표현의 특징과 생성 요인
  • 일반논문[20161231] 1920년대 초 청년운동과 청년독본의 의의
  • 일반논문[20161231] 근대 계몽기 전문 용어의 수용과 생성 과정 연구- 생물학 담론을 중심으로 -
  • 일반논문[20160930] 1930년대 『신동아』 소재 신어 자료의 특징 연구-‘모던어 점고’와 ‘신문신어사전’ 표제어의 『표준국어대사전』 등재 양상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60831] 일제 강점기 서적 유통과 도서관의 기능을 통해 본 독서 문화
  • 일반논문[20160831] 국어사 교육의 변천과 발전 방향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 선정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60731] 일제 강점기 학술 번역에 대한 인식과 번역 경향
  • 일반논문[20160630] 일제 강점기 농민독본류의 발행 실태와 내용
  • 일반논문[20160228] 근대 계몽기 신문․잡지의 번역과 역술 문화
  • 일반논문[20151231] 사회 방언과 전문 용어 교육의 문제점
  • 일반논문[20151231] 조 헤버 존스(Goe. Haber Jones, 조원시) 『국문독본』의 내용과 텍스트 출처 연구
  • 일반논문[20151130] 지식 보급 차원에서 본 근대 계몽기 잡지의 교육적 기능과 한계- 소년한반도(少年韓半島)- 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50930] 근대 계몽기 지식 유통의 특징과 역술 문헌에 대하여
  • 일반논문[20150801] 지식 수용의 차원에서 본 황성신문 「일본유신30년사」 역술(譯述) 과정과 그 의미- ‘학술사상사’과 ‘교육적’ 측면의 지식 수용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50801] 근대 계몽기 과학 담론 형성과 일제강점기 ‘과학적 국어학’
  • 일반논문[20150801] 화법 교육사의 차원에서 본 『서례수지(西禮須知)』 연구
  • 일반논문[20150501] 광학회 서목과 󰡔태서신사남요󰡕를 통해 본근대 지식 수용과 의미
  • 일반논문[20150401] 한글 맞춤법 관리 방법 개선에 대한 기초 연구
  • 일반논문[20150228] 국어 순화 자료집의 문제점과 순화어 정비의 방향
  • 일반논문[20150201] ‘과학 술어와 우리말’(김두봉, 1932)의전문 용어 다듬기
  • 일반논문[20141201] ≪우리말 도로 찾기≫의 국어 순화 원리
  • 일반논문[20141201] 송완식(1927) <백과신사전>의 전문 용어에 대하여
  • 일반논문[20140901] 전문 용어 정책의 역사
  • 일반논문[20140601] 독립신문의 학문론과 어문 사상 연구
  • 일반논문[20140601] 근대 계몽기 외국어 교육 실태와 일본어 권력 형성 과정 연구
  • 일반논문[20140401] 건국 과도기의 문법 교과서와 문법 교육의 특징
  • 일반논문[20140401] 로스(Ross)의 Corean Primer(1877)와 Korean Speech(1882)의 의향법 비교 연구
  • 일반논문[20140301] 개항 이후 학제 도입 이전까지의한국 근대 학문론과 어문 문제-『한성순보』와 『한성주보』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40301] 근대 계몽기 일본인의 한국어에 대한 관심과한국어 학습서의 변화-개항 이후 학제 도입부터 통감시대까지-
  • 일반논문[20131201] 언어 권력에 대한 연구 경향과사회언어학적 접근법에 대하여
  • 일반논문[20131201] 전문 용어 사전의 역사성과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의 발전 방향
  • 일반논문[20131201] 근대식 학제 도입 이전(1880~1894)의학교와 교과서 연구
  • 일반논문[20130901] 습자ㆍ서법 교육의 통시적 연구 -국어과와 미술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30831] 사전 활용 교육의 역사와 문제점
  • 일반논문[20130630] 근대 계몽기부터 일제 강점기까지의 화법 교육 연구
  • 일반논문[20130601] 교수요목기의 화법 교육 연구
  • 일반논문[20130531] 전문 용어 사전의 관점에서 본 <간명 법률 경제 숙어 사해>
  • 일반논문[20130530] 언해본 <양정편>의 경상 방언 문헌으로서의 가치
  • 일반논문[20130301] 終結語尾 ‘-소’와 ‘-오’의 통시적 연구
  • 일반논문[20130228] 근대 계몽기 일본어 보급 정책과 경성학당의 독습 일어 잡지
  • 일반논문[20121231] 한국어교육사의 관점에서 본 교린수지와 사과지남 비교 연구
  • 일반논문[20121231]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지역어 연구 실태와 연구 경향
  • 일반논문[20121230] 안서 김억의 언어관과 한글 문법론
  • 일반논문[20121230] 우리나라 독서 작문 연구의 역사적 고찰
  • 일반논문[20121130] 근대 계몽기의 교과론과 교육학, 교수법 자료 연구
  • 일반논문[20120930] 근대 계몽기 야학의 대상과 교재 연구
  • 일반논문[20120831] 근대 계몽기 독본류 교과서의 교재 연구-역사 인물 텍스트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20830] 한국어 학습서 교린수지의 분류항과 어휘 선정 배열 연구
  • 일반논문[20120630] 국어 어휘 분류 체계의 역사적 흐름
  • 일반논문[20120630] 국어과의 고전 교육의 역사를 통해 본 '고전 교과'의 지향점
  • 일반논문[20120630] 화법 연구의 경향과 대학 화법 교과과정의 방향성-대학 화법 연구 논문 및 교재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20430] 비격식체 상대높임 조사 '요'의 기능과 생성 변화 과정
  • 일반논문[20120331] 국어의 범용 어미 발달에 관한 연구
  • 일반논문[20120330] 대학 작문교육의 현실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선행 연구의 흐름과 실태 분석을 통한 표준 교육과정을 제안하며-
  • 일반논문[20111231] 복합어 구성 형태소의 결합 순서 변화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근대 계몽기 교과서에 나타난 어휘 변화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11230] 경멸적 평가어로서의 비속어 형성 과정과 요인 연구
  • 일반논문[20111230] 근대 계몽기 언문일치의 본질과 국한문체의 유형
  • 일반논문[20111030] 근대 계몽기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경향
  • 일반논문[20110630] 문법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가치 범주 설정 가능성
  • 일반논문[20110630] 어문 규범 교재의 실제
  • 일반논문[20110630] 국어 표기 규범화 과정에서 나타난 역사적 철자법의 성격
  • 일반논문[20110425] 국어사에서 근대 계몽기의 설정과 사전 편찬의 필요성
  • 일반논문[20110228] 근대 계몽기 교육학과 어문 교육
  • 일반논문[20100630] 건재 정인승(1897-1986) 선생님의 생애와 업적
  • 일반논문[20100630]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글 교육의 의미
  • 일반논문[20100630] 애류 권덕규의 생애와 국어 연구
  • 일반논문[20100531] 국어과 교육과 한국어 교육의 읽기 영역 상관성 문제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읽기와 한국어 읽기 교재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00415] 문자 사용 방식에 따른 국어 문체 변천사
  • 일반논문[20091231] 신문 매체 언어 연구와 국어과 교육
  • 일반논문[20091231] 대학 글쓰기 교과의 운영 방식과 교재 개발 실태
  • 일반논문[20090828]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교과서 정책과 교과서 편찬 실태
  • 일반논문[20090630] 대학 작문교육의 역사와 새로운 방향-대학 작문교재 개발 및 작문관의 변천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090425] 국어사전편찬 연구사
  • 일반논문[20081231] 높임의 조사 '요'의 문법화-생성과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080831] 조선시대 문자, 어휘 학습 자료에 대하여
  • 일반논문[20080830] 일제강점기 우리말 연구의 경향과 의미-잡지,학술지에 실린 논문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080430] 어문생활사 연구 대상과 방법
  • 저서/역서[20200315] (지식 인문학 연구를 위한) DB 구축의 실제. 1
  • 저서/역서[20200228] 한·중·일 문헌 교류와 유통을 통해 본 지식의 영향력
  • 저서/역서[20191230] 지식의 구조와 한중일 지식지형 변화의 탐색
  • 저서/역서[20190831] 지식 산출의 기반으로서 근대 번역의 기능
  • 저서/역서[20190620] (지식 생산의 기반, 지형 변화, 사회화를 위한) DB 구축 이론과 실제
  • 저서/역서[20190605] 지식의 확산과 공유
  • 저서/역서[20190530] 지식의 변화와 지형
  • 저서/역서[20190525] 지식 생산의 기반과 메커니즘 : <번역> 문부성 소할 목록
  • 저서/역서[20190310] 계몽의 이데올로기와 대상
  • 저서/역서[20190310] 일제 강점기 계몽운동의 실제
  • 저서/역서[20190310] 계몽의 수단 : 민족어와 국어
  • 저서/역서[20190220] 한국에 영향을 미친 중국 근대 지식과 사상
  • 저서/역서[20190210] 학문 사상과 근현대 계몽운동의 지향점
  • 저서/역서[20190210] 한국 근현대 지식 유통 과정과 학문 형성·발전
  • 저서/역서[20190210] 한국 근대 계몽운동의 사상적 기반
  • 저서/역서[20190210] 계몽의 주체로서 근대 지식인과 유학생
  • 저서/역서[20180515] (주해) 유몽천자
  • 저서/역서[20170630]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권1 가정·격치·경제
  • 저서/역서[20170630]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권2 광물·교육
  • 저서/역서[20170630]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권9 부록
  • 저서/역서[20170630]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권5 수학·식물·심리·언어·역사·윤리·이과
  • 저서/역서[20170630]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권3 농업·동물·문학·물리
  • 저서/역서[20170630]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권6 정치·종교·지리
  • 저서/역서[20170630]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권7 지문·천문·철학·학문 일반
  • 저서/역서[20170630]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권8 화학·해외 번역 자료
  • 저서/역서[20170630]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권4 법·사회·생물·수산
  • 저서/역서[20141231]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
  • 저서/역서[20131106] 한국 근대의 학문론과 어문 교육
  • 저서/역서[20130910] 국어과 교재 이해와 교과서의 역사
  • 저서/역서[20111130] 일제 강점기 어문정책과 어문생활(조선교육령과 교육정책 변화자료,일본어 보급 및 조선어 정책자료 포함)
  • 저서/역서[20111130] 일본어 보급 및 조선어 정책 자료
  • 저서/역서[20110819] 나는 국어의 정석이다
  • 저서/역서[20100830] 국어과 교육론-국어과 교육의 내용과 역사-
  • 저서/역서[20100825] 국어 쓰기 교육의 변천과 발전
  • 저서/역서[20100820] 통감시대 어문 교육과 교과서 침탈의 역사
  • 저서/역서[20100422] 근대계몽기 어문정책과 국어교육
  • 저서/역서[20090825] 일제강점기 교과서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
  • 저서/역서[20090210]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독서 논술 교육론
  • 저서/역서[20080829] 우리말 연구와 문법 교육의 역사
  • 저서/역서[20080825] 한국어학의 이해
  • 저서/역서[20080820] 국어사 국어교육 자료집1,2
  • 저서/역서[20080818] 국어의 변화와 국어사 탐색
  • 학술발표[20150704] 근대 계몽기 지식 유통의 특징과 역술 문헌에 대하여
  • 학술발표[20140214] 건국 과도기의 문법 교육과 교과서 연구
  • 학술발표[20130420] 언어 변화와 언어 규범-한글 맞춤법의 띄어쓰기를 중심으로-
  • 학술발표[20120908] 종결어미 '-소'와 '-오'의 통시적 연구
  • 학술발표[20120802] 근대 계몽기 일본인과 서양인의 한국 문화에 대한 인식-교린수지와 사과지남을 중심으로-
  • 학술발표[20120421] 화법 연구의 경향과 대학 화법 교과과정의 방향성-중고등학교 교육과정과 대학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 학술발표[20120413] 근대 계몽기 독본류 교과서를 통해 본 역사 인물 교육의 지향과 한계
  • 학술발표[20110924] 국어 어휘 분류 체계의 역사적 흐름
  • 학술발표[20110817] 언해문의 문체와 어휘
  • 학술발표[20110713] 근대 계몽기 교과서 연구사
  • 학술발표[20091212] 건재 정인승 선생님의 생애와 업적
  • 학술발표[20090425] 신문매체 언어 연구의 흐름과 방향
캠퍼스별 교무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