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ATA[동양학(학술지)]]> <![CDATA[91-10.朝鮮時代 漢字 辭典 發展史에서 󰡔洪武正韻󰡕의 受容과 變容]]> <![CDATA[91-9.한자 사전의 표제자 배열 원칙과 색인에 관한 고찰]]> <![CDATA[91-8.동아시아 한자어의 동형 관계에 대한 고찰]]> <![CDATA[91-7.󰡔山水純全集󰡕을 통해 본 韓拙의 산수화 인식에 관한 고찰]]> <![CDATA[91-6.둔황 막고굴 천장 연화 속 세 토끼 모티프 고찰-407굴을 중심으로]]> <![CDATA[91-5.안산 성태산성의 조사 성과와 성격 고찰]]> <![CDATA[91-4.경북 지역의 근대 혼례의 변화 ‒ 이중구가 5대 고문서를 중심으로]]> <![CDATA[91-3.이봉창 의거에 대한 국외 한인사회의 반향]]> <![CDATA[91-2.󰡔帝王韻紀󰡕를 통해 본 李承休의 고대사 인식]]> <![CDATA[91-1.인물과 평가어의 관계 ‒ 조국, 진중권 관련 조선일보 댓글의 텍스트 분석]]> <![CDATA[90-9.동중서의 천인관계론 ‒ 개념체계의 진리 인식 결정력]]> <![CDATA[90-8.5세기 초 중국불교의 格義 克復과 修行論의 發展]]> <![CDATA[90-7.조선미술전람회와 김돈희]]> <![CDATA[90-6.한국고고학에서 철학적 개념의 검토]]> <![CDATA[90-5.신해혁명 이후 중국 東北地域 토지 문제를둘러싼 갈등1911~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