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ATA[동양학(학술지)]]> <![CDATA[97-7.만해 한용운과 아나키즘]]> <![CDATA[97-6.후백제의 불교조각과 합천 죽고리 석조비로자나삼존]]> <![CDATA[97-5.韩国汉籍中地名意象的历史地理学研究]]> <![CDATA[97-4.기와로 본 6세기 동해안 연안 지역 일대의 고구려 지역 거점과 상실]]> <![CDATA[97-3.667~668년 당의 공격과 고구려의 대응 ‑압록강 전선의 전투 양상을 중심으로‑]]> <![CDATA[97-2.청 궁정희 「보공대제(報功大祭)」속 선농단(先農壇) 제사 퍼포먼스를 통해 본 청 황실의 문화 정체성]]> <![CDATA[97-1.신문과(新文科)의 관점에서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활용한 중국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CDATA[96-12.先 부여문화의 성격과 정체성 검토–고조선문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CDATA[96-11.문헌에 나타난 고조선과 부여의 관계]]> <![CDATA[96-10.부여 건국의 動因과 對고조선 관계]]> <![CDATA[96-9.고조선·부여사 像의 새로운 복원]]> <![CDATA[96-8.삼국시기의 子女觀과 지위의 계승]]> <![CDATA[96-7.1905년 元泰祐의 이토 히로부미 응징의거 연구]]> <![CDATA[96-6.조선시대 지리지에 나타난 기자조선 인식]]> <![CDATA[96-5.朝鲜和对马岛交涉与羁縻再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