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ATA[동양학(학술지)]]> <![CDATA[80-6.우하량 유적 적석총의 축조 목적 再考]]> <![CDATA[80-5.1920년 청산리대첩의 배경과 신흥무관학교]]> <![CDATA[80-4.2000년대 이후 夫餘史 연구 동향과 ‘POST 동북공정]]> <![CDATA[80-3.한국 고대 木簡 및 金石文에 보이는 固有漢字의 양상과 구성 원리]]> <![CDATA[80-2.식암 김석주의 소차문 연구 ‒ 변무소 <因正言趙根避辭辭職疏>의 서술양상을 중심으로 ‒]]> <![CDATA[80-1.식민지 조선 지식인 김구경의 재중 문화적 교류와 그 학술적 성과에 대하여]]> <![CDATA[79-11 [곽민수] 신왕국 이집트의 누비아 식민화와 신전 도시]]> <![CDATA[79-10 [김광림] 데이터역사과학 -고대 문명의 보편질문을 향한 관문]]> <![CDATA[79-9 [아키라 츠네키] 농경사회에서 도시문명으로: 고대 서아시아의 사례]]> <![CDATA[79-7[한정수], 고려시대 문명의식(文明意識)의 성립과 변화]]> <![CDATA[79-6[지현주, 박창범],「사혼례」에서 醴禮 의식의 曆象的 모형 해석과 시뮬레이션 검토]]> <![CDATA[79-5[나종현], 호락논쟁과 도암 이재 사상의 특징]]> <![CDATA[79-4[최성환], 영조대 노론 준론 이재의 신임의리 탕평론과 그 실현]]> <![CDATA[79-3[노혜경] 근대초기 일선어 신소설 연구 - 『동각한매』와 『죽서루』를 중심으로 -]]> <![CDATA[79-2 [한영걸] <莊子> 우언과 <고사신편․起死>의 연관성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