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ATA[동양학(학술지)]]> <![CDATA[74-3 劉勰이 제기한 “嵇志淸峻”에 대한 再考察]]> <![CDATA[74-2 李碧華의 소설 「秦俑」과 영화 「古今大戰秦俑情」에 나타난중국인의 癡情과 懷古, 無常의 정한]]> <![CDATA[74-1 김소월의 「진달내꽃」은 이별 수용의 시가 아니다]]> <![CDATA[73-7 주자의 군권(君權) 견제 사상 ‒논어의 “使臣以禮”장(3-19), “必也正名乎”장(13-3), “太伯至德”장(8-1)에 대한 주자의 해설을 중심으로‒]]> <![CDATA[73-6 유가(儒家)의 음(音)사유체계에서 나타나는 여음(餘音)담론의 단서]]> <![CDATA[73-5 書經의 ‘天命’과 管子의 ‘務時’의 상관관계 연구 ‒道德的 天命과 그 實現 方法을 중심으로‒]]> <![CDATA[73-4 ‘的2’, ‘的3’과 ‘來着1’의 통사적 특징과 시간 자질 중한 대조연구]]> <![CDATA[73-3 上海博物館藏楚竹書(參)周易·訟卦 新釋]]> <![CDATA[73-2 聯句와 하이카이(俳)의 구조적 특성 비교 연구 ‒<城南聯句>와 ‘쇼몬 하이카이’(蕉門俳諧)를 중심으로‒]]> <![CDATA[73-1 삼국유사(三國遺事) 소재(所載) 설화 <도화녀 비형랑>의 갈래 복합적 성격 연구]]> <![CDATA[72-9 남북한학계의 한국고대사 연구동향과 과제 ‒2000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CDATA[72-8 近期兩岸關係發展與文化交流前景]]> <![CDATA[72-7 남북한 표준어 정책 전환의 필요성 ‒포스트휴머니즘 시대 표준어가 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CDATA[72-6 南朝時期 불교문화와 불교류 志怪小說 ‒ 幽明錄, 宣驗記를 중심으로 ‒]]> <![CDATA[72-5 고려후기 陶器筒形壺에 보이는 元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