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ATA[동양학(학술지)]]> <![CDATA[62-4 東亞文化交流視野下的朝鮮譯官角色——以譯官金指南的活動爲中心]]> <![CDATA[62-3 「將軍族」의 表現技巧 分析]]> <![CDATA[62-2 영향관계로 본 이규영의 품사 분류]]> <![CDATA[62-1 조선후기 隨園詩話의 유입과 崔瑆煥의 性靈集 편찬]]> <![CDATA[<동양학> 제62집 전체]]> <![CDATA[61-9 史的考察에 의한 <詩經> 「鄭風」의 ‘淫’에 대한 의미]]> <![CDATA[61-8 高麗 太祖 王建을 보는 또 다른 시각]]> <![CDATA[61-7 요동지역 청동기시대 문화의 양상과 전개]]> <![CDATA[61-6 항일투쟁기 한국독립당의 <震光> 발간과 한중 연대]]> <![CDATA[61-5 구문적 특성으로 본 일본어 무드표현]]> <![CDATA[61-4 <일선골계화(日鮮滑稽話)>연구]]> <![CDATA[61-3 중국어 부사 ‘在’, 동태조사 ‘着’ 相 자질 중한 대조 분석]]> <![CDATA[61-2 唐詩 속의 西王母 이미지의 기원과 활용]]> <![CDATA[61-1 서남아시아로부터 동북아시아로의 어휘 전파]]> <![CDATA[60-15 한시 대중화, 그 독자층에 관한 고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