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ATA[동양학(학술지)]]> <![CDATA[59-03 崑崙與玉京:方士的仙鄉與道教的聖]]> <![CDATA[59-02 柳夢寅 漢詩에 보이는 ‘蓬’을 통한 자아 형상화]]> <![CDATA[59-01 「履霜曲」의 사랑과 그 한계]]> <![CDATA[58-14 从高句丽·百济人墓志看高句丽末期的对外关系]]> <![CDATA[58-13 廣開土太王陵碑文 辛卯年條에 대한 新解釋]]> <![CDATA[58-12 高句麗와 北朝의 冊封朝貢關係 ‒ 領護東夷中郞將·領護東夷校尉의 授受와 그 의미 ‒]]> <![CDATA[58-11 2세기 전반 高句麗와 後漢의 관계 변화]]> <![CDATA[58-10 고구려의 대외관계와 북아시아 유목민 국가]]> <![CDATA[58-9 강릉단오제 산신제 연구 ‒ 고려말 조선초기를 중심으로 ‒]]> <![CDATA[58-8 淮南子에 나타난 陰陽五行論의 특징]]> <![CDATA[58-7 일제강점기 사법처분을 통한 독립운동가 탄압 ‒ 범정 장형의 사례를 중심으로 ‒]]> <![CDATA[58-6 청대 중엽 西北史地學 발흥의 배경]]> <![CDATA[58-5 唐代 夢幻詩에 나타난 형상화의 특성과 그 의미]]> <![CDATA[58-4 고대 중국의 생식숭배와 神話 속 女神에 투사된 ‘母性’ 모티브]]> <![CDATA[58-3 백련시단의 문학적 지향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