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ATA[동양학(학술지)]]> <![CDATA[52-12契丹大小字的类型及研究现状]]> <![CDATA[52-11日本製漢字の変遷と形成方法]]> <![CDATA[52-10한국한자어사전에 수용된 이두·구결·차자어의 구성과 출전문헌]]> <![CDATA[52-9한국 고유한자 字形 構成 方法 연구 二題 –기존 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形聲으로 만들어진 한국 고유한자의 몇 가지 사례–]]> <![CDATA[52-8漢韓大辭典의 構件과 자형 정비]]> <![CDATA[52-7漢韓大辭典의 편찬과정과 향후 계획]]> <![CDATA[52-6한강 유역 출토 신라 수막새 고찰]]> <![CDATA[52-5遼西 지역의 청동기문화와 복합사회의 전개]]> <![CDATA[52-4明治本 金鰲新話 비평의 특징과 의의]]> <![CDATA[52-3遊園驚夢의 人物形象 技巧 分析]]> <![CDATA[52-2玉吾齋 宋相琦 산문의 성격과 의의]]> <![CDATA[52-1열하일기 ‘보유(補遺)’의 탐색]]> <![CDATA[51-8고구려 백라관(白羅冠)의 형태 비정(比定)]]> <![CDATA[51-7상태성 동사 ‘もつ’, ‘ある’에 관한 연구 – 연어론의 입장을 중심으로 –]]> <![CDATA[51-6활용 패러다임 간의 상관관계 – ‘어떻다’와 ‘어쩌다’의 경우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