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ATA[동양학(학술지)]]> <![CDATA[51-5忠臣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高麗末 金澍 관련 작품과 기록을 대상으로 –]]> <![CDATA[51-4「만전춘별사」의 악장(樂章)적 성격 고찰]]> <![CDATA[51-3西周 청동예기를 통해 본 중심과 주변, 그 정치 문화적 함의]]> <![CDATA[51-2동북아시아 속의 한국 청동기문화권과 복합사회의 출현]]> <![CDATA[51-1일본열도 야요이시대 청동기제사와 국가형성]]> <![CDATA[50-9중국 역사언어사전(詞典)의 현황과 과제 – 근대중국어를 중심으로]]> <![CDATA[50-8<디지털한한대사전>의 표제어 구성에 대하여]]> <![CDATA[50-7조선요리옥의 탄생:안순환과 명월관]]> <![CDATA[50-6近代的 綿紡織工場의 登場과 技術人力 養成制度의 形成]]> <![CDATA[50-5교역품의 양적 분석을 통한 위만조선의 緩衝交易 연구]]> <![CDATA[50-4신라 경문왕·헌강왕대 한화정책(漢化政策)의 추진과 그 한계]]> <![CDATA[50-3한중일 여우 이미지의 유사성과 차이]]> <![CDATA[50-2간이 최립의 화론 연구]]> <![CDATA[50-1<鏡虛集> 편찬, 간행의 경위와 변모 양상]]> <![CDATA[49-11자료:退溪先生逸話資料選(Ⅹ-終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