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ATA[동양학(학술지)]]> <![CDATA[41-1時調와 歌辭의 시적 관습 형성에 있어서의 <杜詩諺解>의 역할]]> <![CDATA[40-7조선시대 회곽묘 출토 미라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CDATA[40-6王安石 新法과 地方財政 ―北宋代 財政集權의 地域差 問題와 關聯하여―]]> <![CDATA[40-5출토문헌과 전래문헌의 조화 ―子犯編鐘 명문과 <左傳>에 기술된 晉 文公의 霸業―]]> <![CDATA[40-4해방 전후 대규모 면방직 공장의 고급기술자]]> <![CDATA[40-3慣用句의 意味機能과 구체적인 使用에 관한 硏究]]> <![CDATA[40-2樋口一葉 <十三夜>論 ―共有することのできない思い―]]> <![CDATA[40-1유몽인 산문에 있어서 自得의 의미와 실현양상]]> <![CDATA[39-10조선 주둔 일본군(‘조선군’)의 성격과 역할]]> <![CDATA[39-9일제하 지방통치와 지방세력의 정치참여]]> <![CDATA[39-8식민지 조선에서의 일본 제국주의 지배체제의 개편과 동요]]> <![CDATA[39-7일제하 식민통치의 구조]]> <![CDATA[39-6영 · 미 · 일 3강 제국주의적 동맹체제와 대한제국의 운명]]> <![CDATA[39-51930년대 이후 조선의 대중국 무역]]> <![CDATA[39-4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고향’ 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