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ATA[동양학(학술지)]]> <![CDATA[89-4.박찬규.우휴모탁국과 부천]]> <![CDATA[89-3.모정열.湘南土話 影疑母字 성모의 특성]]> <![CDATA[89-2.이완형.진성여대왕 거타지'조 바다의 의미와 대당전략]]> <![CDATA[89-1.정재철.신자료 『열하일기』 선행본 『연행음청기』(3)·『연행음청록』(4) 연구]]> <![CDATA[88-10 (김민규) 驪陽府院君 閔維重 일가 묘소 석물 연구]]> <![CDATA[88-9 (오항녕) 老峯 閔鼎重의 정치활동과 경세론]]> <![CDATA[88-8 (정호섭) 󰡔唐書誌傳通俗演義󰡕의 간행과 ‘太宗東征記’의 성격]]> <![CDATA[88-7 (노혜경) 현공렴의 󰡔日鮮雜歌󰡕 연구 –문화의 번역과 전이-]]> <![CDATA[88-6 (김난주) 한·일 문학상 비교 –출판사 문학상을 둘러싼 이슈와 화제-]]> <![CDATA[88-5 (배규리) 󰡔新增韻鏡易解大全󰡕 중 字書를 인용한 註釋 연구]]> <![CDATA[88-4 (김덕수) 사도세자 시문에 대한 국왕 정조의 개작 및 위작 양상]]> <![CDATA[88-3 (장진엽) 󰡔청비록󰡕에 나타나는 ‘情/眞情’ 개념의 함의 및 그 비평의 양상]]> <![CDATA[88-2 (손혜옥·김다미·차명희·김우정) 한자 어휘 의미망 개발을 위한 한자어 사전 표제어의 성격 고찰 – 󰡔漢韓大辭典󰡕, 󰡔韓國漢字語辭典󰡕, 󰡔한국고전용어사전󰡕, 󰡔옛편지낱말사전󰡕을 중심으로–]]> <![CDATA[88-1 (성우철) 자토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난 ‘–() –’의 기능에 관한 연구]]> <![CDATA[87-8.이해주.全面에 불상이 봉안된 불감형 불탑의 기원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