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오영 사진

김오영 |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제3공학관)

  • 직급:
    교수

교수소개

●학력
- 서울대학교 공업화학과(현 화학생물공학부)에서 학사/석사
- 미국 Univ. of Massachusetts에서 석사(M.S.)/박사(Ph.D.) 취득
- 박사학위논문; 현재는 일반화된 개념인 '대사공학을 이용한 고분자재료 합성'을 1990년대 초, 국내 최초로 연구하여 고분자 연구분야의 지평을 넓힌 생화학촉매를 사용한 고기능성 생체고분자 합성에 관한 것임
●입교 전 주요 경력
- 1983.12-1990.7; 효성그룹 중앙연구소, 뉴욕사무소 소장, 경영기획실과장
(스판덱스 신소재 연구 국내 최초 수행, 효성이 현재 세계 최고의 생산업체로 성장하는데 초석을 다졌으며 기타 다양한 신소재 R&BD 수행)
- 1995.5-1997.2; 한솔그룹 기술원 수석팀장
(의료용고분자를 비롯한 첨단신소재 연구개발 사업화, 국내 최초 치과용 고분자 국산화 성공)
●주요 연구분야
- 97년 입교 후, 의료용고분자, 환경친화성 고분자, 나노재료, 전자전기용 고분자재료 등 연구중
- 화학 기초 교과목과 생체의료나 환경친화 고분자 신소재 관련 강의와 학생지도
- 고분자신물질, 의료용 및 환경친화성 고분자, 전자파 차폐재료, 생체모사재료, 전자산업재료용 고분자 재료 분야 30여편의 특허, 170여 편의 SCI급 이상의 논문을 주저자와 공동연구로 발표
● 교내 보직 활동
- 2023.8.26 ~ 현재 교학부총장
- 2023.4.1 ∼ 2023.8.25 대외부총장
- 2022.3.1 ∼ 2023.8.25 산학부총장
- 2017.3.1 ∼ 2020.6.30 정보·지식재산대학원 원장
- 2016.7.1 ∼ 2018.6.30 공과대학장
- 2014.1.1 ∼ 2016.6.30 총장비서실장
- 2011.7.1 ∼ 2013.12.31기획조정실장
- 2005.7,1 ∼ 2011.6 .30 산학협력단 부장, 부단장, 단장/연구처장
- 교학 및 산·학·연 분야 주요 보직을 맡아 봉사하면서 대학의 숙원사업인 죽전/천안 본분교 통합과 캠퍼스 특성화 학문단위 조정 완성
- 대학의 산학협력 역량 강화와 차세대SI사업 구축 등 대학의 행정시스템 선진 고도화와 입학사정관 및 교수전임사정관 활동을 통해 우수 입학자원 확보에 기여
- 이외에도 국내 최초 대학 행복기숙사(죽전 진리관/천안 봉사관) 유치와 디자인씽킹센터 구축사업 수주 등을 주도하여 대학의 교육환경 개선에 기여
● 대외 주요 봉사 활동
- 전국산단장·연구처장협의회 14,15대 부회장, 경기도대학발전협의회 회장 등을 맡아 국가 산학협력 정책 개발 및 자문역 수행
- 현재 대검찰청 수사심의위원회 위원, 국가 전략물자 기술자문위원, 한국화학연구원 기술기획자문위원,경기도의회 입법자문위원, 한국공학교육인증 평가단 등의 활동을 통해 국가 사회발전에 봉사하고 있음
● 주요 교내·외 수상
- 대외 수상; 제15회과학기술우수논문상, 국가과학기술진흥유공자 국무총리표창, 공학교육발전유공자 부총리겸 교육부장관표창, 산학연 서울지역협의회 공로상, 전국사립대학교수협의회연합회 제1회 사교련상, 한국공업화학회 제8회 논문상, 한국고분자학회 2007년 국문지우수논문상 등
- 교내 수상; 단국대학교 범은학술상 특별상 수상
- 이외에도 Who's Who in the World, Who's Who in the Asia, Leading Engineers of the World 등에 선정되어 연구업적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바 있음

(최근 10년간 대표논문과 지식재산권을 아래에 정리)

학력

  • [1982] 학사 서울대학교 / 공업화학
  • [1984] 석사 서울대학교 / 공업화학
  • [1995] 박사 Univ. of Massachusetts at Lowell / 고분자화학 / 생체고분자학

주요연구분야

고분자 전자/나노 재료
모의인체용(phantom) 고분자 재료
의료용고분자
전자파 차폐재료
환경친화형 고분자 신물질

컨설팅 가능 분야

치과용 고분자재료, 고분자 나노복합체, 환경친화성 고분자재료, 젤리형 고분자 모의인체

연구업적

  • 일반논문[20231211] Effects of Sway and Roll Excitations on Sloshing Loads in a KC-1 Membrane LNG Tank
  • 일반논문[20220925] Enhancing the shelf life of epoxy monoacrylate resins using acryl phosphate as a reactive additive
  • 일반논문[20211022] Optimization of synthetic parameters of high-purity trifunctional mercaptoesters and their curing behavior for the thiol-epoxy click reaction
  • 일반논문[20210201] Preparation of Chemically Modified Lignin-Reinforced PLA Biocomposites and Their 3D Printing Performance
  • 일반논문[20200314] Regioisomer effects of dibenzofuran-based bipolar host materials on yellow phosphorescent OLED device performance
  • 일반논문[20200115]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Bilayer Electrospun Nanofiber Membrane for Oily Wastewater Treatment
  • 일반논문[20190930] Preparation of Unsaturated Polyester-based Hybrid Gel-Coats Containing Urethane Acrylate and Their Coating Performance
  • 일반논문[20190624] The Correlation between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Soluble Host for Blue Phosphorescent OLED
  • 일반논문[20190614] Improvement of Quantum Efficiency and Efficiency Roll-off in OLED Devices Using Blue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t Materials
  • 일반논문[20190331] Chemical Structure Effect of Diisocyanate on the Coating Performance of Polyurethane-based Gel-coats
  • 일반논문[20180701] Construction of sustainable polyurethane-based gel-coats containing poly(ε-caprolactone)-grafted lignin and their coating performance
  • 일반논문[20180419] Thermally Cross-Linkable Hole Transport Materials for Solution Processed Phosphorescent OLEDs
  • 일반논문[20180325] Effects of Chemically Surface Modified Lignin on Flexural Strength and Fracture Toughness for Lignin/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es
  • 일반논문[20170125] The Effect of Cellulose Surface Treatment on the Fracture Toughness of Microfibrillated Cellulose Reinforced Unsaturated Polyester Composites
  • 일반논문[20170125] The effect of chemical surface treatment on the fracture toughness of microfibrillated cellulose reinforced epoxy composites
  • 일반논문[20160315] Synthesis of a dibenzothiophene/carboline/carbazole hybrid bipolar host material for green phosphorescent OLEDs
  • 일반논문[20150315] 카바졸과 포스핀 산화물 유래의 호스트 물질을 사용한 고효율의 열적 기전 형광 소재 개발
  • 일반논문[20140725] Organic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nic devices
  • 일반논문[20131201] Deep blue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with excellent external quantum efficiency
  • 일반논문[20130715] Correlation of charge trapping and charge transport properties of blue triplet emitters with device performances of blue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 일반논문[20130630] High color rendering index in phosphorescent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ing a yellowish-green dopant with broad light emission
  • 일반논문[20130601] Dependence of hole and electron current density of mixed host devices on mixed host composition
  • 일반논문[20120525] High efficiency deep blue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ing a tetraphenylsilane based phosphine oxide host material
  • 일반논문[20120301] Synthesis of an aromatic amine derivatives with novel double spirobifluorene core and its application as a hole transport material
  • 일반논문[20120101] Lifetime study of single layer and stacked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 일반논문[20110701] High Efficiency Organic Bistable Light-Emitting Diodes with Little Efficiency Roll-Off
  • 일반논문[20110601] Thermally Stable Organic Solar Cells Using Small Molecule Exciton Blocking Layer
  • 일반논문[20100925] Lifetime study of red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with a double doping structure
  • 일반논문[20100601] Solution Processed Blue Phosphoresc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Using a Phosphine Oxide Host Material
  • 지식재산권[20111202] 카바졸계 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 소자
  • 지식재산권[20110328] 전자파를 이용한 유방암 진단장비용 유방팬텀 제조방법
캠퍼스별 교무팀


 

고분자공학 바로가기 http://cms.dankook.ac.kr/web/poly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