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고는 국문, 국한문, 또는 영문으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원고는 도표, 참고문헌 및 부록을 포함하여 A4용지 기준 25~30 페이지 이내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원고의 제 1면에는 한글로 제목, 투고자의 성명(저자가 2인 이상일 경우 제1저자, 교신저, 공동저자를 구분하여 명기), 소속기관, 직명, e-mail 주소, 국문요약(400단어 내외),

핵심 주제어를 명기한다. 소속기관과 직명, 연구비 후원 등에 관하여는 하단에 주석으로 명기한다.

4. 원고의 끝면에는 영문제목, 투고자의 영문성명, 영문 Abstract (400단어 이내), Keywords, 소속(하단 주석처리) 순으로 명기한다. , 영문원고인 경우에는 국문요약을 작성한다. 저자의 영문성명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 한글: 홍길동

영문: Hong, Gil-Dong

5. 원고는 한글 워드프로세스(한글 2000 이상 버전)로 작성하되, 영문의 경우 MS-Word가능하다. 편집용지 및 편집스타일의 세부규격은 다음과 같다.

글씨체: 신명조체

글씨크기: 10.5pt

자간: -5

좌우여백: 3.0cm

상하여백: 3.0cm

줄간격: 160%

6. 문헌의 인용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표기한다.

1) 해당 어구 또는 문장의 끝에 괄호를 사용하여 저자명과 발행연도를 표기한다.

)

(홍길동, 1995), (Smith, 1968)

(오성과 한음 1995), (Paul and Smith, 1968) ‧‧‧‧‧‧‧‧‧‧‧‧‧‧‧‧‧‧‧‧‧‧‧‧‧‧ 2인의 공동연구

(홍길동 등, 1995), (Smith et al., 1987) ‧‧‧‧‧‧‧‧‧‧‧‧‧‧‧‧‧‧‧‧‧‧‧‧‧ 3인 이상의 공동연구

(홍길동, 1995, 1997) ‧‧‧‧‧‧‧‧‧‧‧‧‧‧‧‧‧‧‧‧‧‧‧‧‧‧‧‧‧‧‧‧‧‧‧‧‧‧‧‧‧‧‧‧‧‧‧‧‧‧‧ 같은 저자의 여러 문헌

(홍길동, 1995a, 1995b) ‧‧‧‧‧‧‧‧‧‧‧‧‧‧‧‧‧‧‧‧‧‧‧‧‧‧‧ 같은 연도에 같은 저자의 여러 문헌

(오성, 1995: 한음, 1995) ‧‧‧‧‧‧‧‧‧‧‧‧‧‧‧‧‧‧‧‧‧‧‧‧‧‧‧‧‧‧‧‧‧ 둘 이상의 다른 저자들의 문헌

2) 저자의 이름을 직접 언급할 때에는 이름 뒤에 괄호로 연도를 표기한다.

)

홍길동 등(1995)에 의하면, ‧‧‧‧‧‧

Smith et al.(1987)에 의하면, ‧‧‧‧‧‧

7. 각주는 보충설명이 필요한 경우에 작성하되, 어구의 우측 상단에 위첨자로 일련번호를 붙여 표시하고 그 내용은 해당 면의 하단에 기술한다.

8. 표 또는 그림의 일련번호와 제목은 해당 표의 위에 표기한다.

9. 참고문헌은 논문에서 인용된 것에 한정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표시한다.

(1) 참고문헌의 기재순서는 국내문헌, 외국문헌의 순서로 하며 국내문헌은 저자명의 가나다 순으로 그리고 서양문헌은 저자명의 알파벳 순으로 배열한다.

(2) 서양문헌의 경우 저자명은 last name을 먼저 기재한다.

(3) 정기간행물은 저자명, 연도, 논문제목, 간행물이름(서양문헌의 경우 이탤릭체), 호수, 페이지 순으로 표기한다.

(4) 정기간행물이 아닌 경우는 저자명, 연도, 도서명(서양문헌의 경우 이탤릭체), 출판회수(2이상의 경우), (2권 이상의 경우), 출판지, 출판사의 순으로 표기한다.

)

박연암, 1999, 회계이론, 3, 자유출판사, 서울.

홍길동, 박연암. (2000). “글로벌 경쟁환경에서의 투자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산업 연구. 1권 제1. pp. 333-352.

홍길동. (2000). “기업지배구조와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금강대학교.

Beteson, E. G. (1992). Managing Services Marketing. 3rd ed, NY : The Dryden

press.

Pyo, Y., and S. Lustgarden. (1990). “Differential Intra-industry Information Transfer Associated with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Journal of Accounting Economics. Vol.15, 365-379.

10. 논문체재는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대항목 (15 pts): , , , , ‧‧‧‧‧‧‧‧‧‧‧‧‧‧‧

중항목 (13 pts): 1, 2, 3, 4, ‧‧‧‧‧‧‧‧‧‧‧‧‧‧‧‧‧‧‧‧‧

소항목 (12 pts): (1), (2), (3), (4), ‧‧‧‧‧‧‧‧‧‧‧‧‧

세부항목 (11 pts): 1), 2), 3), 4), ‧‧‧‧‧‧‧‧‧‧‧‧‧‧‧‧‧

이하항목 (11 pts): , , , , ‧‧‧‧‧‧‧‧‧‧‧‧‧‧‧

11. 본문에 사용할 부호는 다음에 의한다.

“ ”

‘ ’

『 』

「 」

< >

...

: 대화체나 독립된 인용문

: 부분적인 인용이나 강조를 나타낼 때

: 작품, 저서명

: 논문이나 잡지, 신문명을 명기할 때

: 강조의 성격을 더욱 강하게 나타내거나 인용문의 경우 저자가 강조할 때

: 명사나 형용사 등 동격을 표시할 때

: 말을 생략할 때 줄임표로서 점(.) 3개 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