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숙현 | 외국어대학 글로벌한국어과 (인문과학관)
- 전화번호 :041-550-1571
- 이메일 :
- 직급:강의전담조교수
교수소개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후 동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 근대극에 미친 러시아문학과 연극의 영향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러시아 모스크바로 유학을 떠나 모스크바국립대학교(Moscow State University) 대학원 인문학부에서 박사과정을 이수하고 「한국 극문학과 연극에서 체호프 극문학의 전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에는 문화예술 현장에서 연극·영화비평, 드라마투르기 등의 활동을 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비교문학과 영상 드라마 스토리텔링이며 현재는 K-컬처에 관심을 가지고 K-컬처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전문 영역을 넓히고 있다.
학력
- [1990] 학사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 국어국문학과 / 희곡
- [1994] 석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희곡
- [1998] 박사 Moscow State University / 19C 러시아문학사학과(비교문학: 희곡)
주요연구분야
비교문학
영상 드라마 스토리텔링
K-컬처
컨설팅 가능 분야
희곡·TV방송드라마·시나리오 작법
드라마비평을 비롯한 문화예술 비평
K-컬처
연구업적
- 일반논문[20220930] 염상섭의 삼대와 도스토예프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40) - ‘돈’에 관한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
- 일반논문[20210801] 외국인 학습자들의 고전 교육을 위한 ‘인물 가상 인터뷰 동영상 만들기’ 프로젝트 학습 모형 제안
- 일반논문[20201001]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자기소개서 프로젝트 학습 모형 제안
- 일반논문[20200701] 외국인 유학생 대상의 성찰적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일반논문[20200331] 대학생 학습자 대상의 글쓰기 프로젝트 학습 방안 연구
- 일반논문[20191001] 톨스토이의 명언을 활용한 하브루타 중심의 글쓰기 학습 방안 연구
- 일반논문[20190215] 네이버밴드를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밴드의 놀이적 활용과 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71201] 톨스토이 작품의 한국 공연사 연구
- 일반논문[20171201] 톨스토이의 소설 『부활』의 번안 각색 연구: 한국 영화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61201]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죄와 벌의 각색 연구: 국내 공연 대본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60901] 도스토예프스키극의 한국 공연사 연구
- 일반논문[20150401] 스타니슬랍스키의 ‘Magic if’를 활용한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
- 일반논문[20150301] 고골극의 한국 공연사 연구
- 일반논문[20141231] 신재효의 '남창 춘향가'와 고골의 '감찰관' 비교 카니발적 전복성 비교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41230] 오영진과 고골의 풍자극에 나타난연극적 놀이 비교 연구
- 일반논문[20131230] 뿌쉬낀의 희곡 <보리스 고두노프>의 ‘놀이성’ 연구
- 일반논문[20131230] 뿌쉬낀의 희곡 <보리스 고두노프>와 오태석의 희곡 <태> 비교 연구
- 일반논문[20130830] 영화「건축학개론」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 일반논문[20121230] 전통문화 콘텐츠의 영화 스토리텔링 창작 교육 방안 -판소리 명창 콘텐츠의 시나리오 개발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10430] TV드라마 《선덕여왕》콘텐츠에서 캐릭터 중심의 게임놀이 스토리텔링 연구
- 일반논문[20110331] TV사극에서 ‘거상(巨商)’ 콘텐츠의 영웅 스토리텔링 개발방안
- 일반논문[20100830] TV드라마 《베토벤 바이러스》의 시각적 이미지 스토리텔링
- 일반논문[20090831] TV드라마「경숙이 경숙아버지」의 ‘놀이성’연구
- 일반논문[20090830] 3·1운동 직후 한국 무대에서 러시아극 공연
- 저서/역서[20160215] 사고와 표현
- 저서/역서[20140315] 영상 드라마 콘텐츠, 스토리텔링과 놀이하라
- 저서/역서[20130222] 사고와 표현
- 학술발표[20171111] A Study on the Adaptation of Tolstoy's novel Resurrection - Focused on the Korean Film Scenario
- 학술발표[20161015] 도스토예프스키 소설 <죄와 벌>의 각색 연구
- 학술발표[20120516] <비평문>을 활용한 글쓰기 말하기 통합교육
- 학술발표[20101203] Экранизация пьесы А. Чехова <Дядя Ваня> : Сравнение и расширение живописного образа Чехов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