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욱 | 스포츠과학대학 국제스포츠학부
- 전화번호 :041-550-3829
- 이메일 :
- 직급:조교수
학력
- [1999] 학사 고려대학교 / 경영학과
- [2010] 석사 단국대학교 / 스포츠의학과
- [2017] 박사 단국대학교 / 체육학과
주요경력
- 단국대학교 (2014-03-01)
- 한국골프대학교 (2019-03-11)
- 호서대학교 (2016-03-02)
- 장안대학교 (2015-08-24)
- 건국대학교 미래지식교육원 (2018-03-10)
-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2017-08-28)
- 대한럭비협회 (2014-04-01)
- 삼육대학교 (2018-02-26)
- 수원여자대학교 (2014-08-25)
주요연구분야
운동손상, 스포츠 재활, 운동생리학(마이오카인)
컨설팅 가능 분야
- 건강운동관리사, 선수트레이너, 퍼스널트레이너, 체력코치, S&C Coach
- 생활스포츠지도사, 전문스포츠지도사, 장애인스포츠지도사, 노인스포츠지도사
연구업적
- 일반논문[20241231] 케틀벨 트레이닝이 스트리트 댄서 여성대학생의 기능적 움직임과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 일반논문[20240901]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한 목뼈 안정화운동이 앞쪽머리자세 대학생의 근긴장도, 근지구력 및 머리척추각에 미치는 영향
- 일반논문[20240301] 전신 전기근자극 훈련이 비만 수준에 따른 여성의 신체조성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 일반논문[20231130] K3 축구선수의 발목 발등굽힘 관절가동범위의 차이가 동적균형(Y-Balance Test)에 미치는 영향
- 일반논문[20230501] 슬링뉴렉기법을 적용한 안정화운동이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젊은 성인의 통증, 목뼈 앞굽음각 및 중력중심선에 미치는 영향
- 일반논문[20230201] 점진적인 스쿼트 운동시 남자대학생의 하체 근활성도 및 발바닥압력에 미치는 영향
- 일반논문[20220901] 수중과 지상에서의 댄스운동이 골감소증 노인여성의 골대사 지표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 일반논문[20220801] 사전운동보충제 섭취가 직업 트레이너의 신체조성, 1RM 및혈액변인에 미치는 영향
- 일반논문[20220801] 장거리승마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혈중지질, 아디포칸인,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 일반논문[20220501] 불안정 지지면 코어운동이 좌업근로 요통여성의 기능적 움직임, 균형력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 일반논문[20220501] 체코 겟 업 운동이 사무직 여성의 기능적 움직임 및 동적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일반논문[20220401] 앱을 이용한 홈트레이닝이 비만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동맥경화지수에 미치는 영향
- 일반논문[20220401] 허리뼈 뒤굽음 사무직 여성의 척추 정렬 개선을 위한 동적 신경근 안정화 운동의 효과 분석
- 일반논문[20220101] 플로싱 밴드 운동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 태권도 시범단 선수의 관절가동범위, 수직점프에 미치는 영향
- 일반논문[20210701] 여성노인의 기능적 체력과 인지기능의 관계
- 일반논문[20210701] 동적 신경근 안정화 운동 적용에 따른 기계적 목 통증 사무직 여성의 통증, 목뼈 위치각 및 근력의 차이
- 일반논문[20210401] 노인여성의 운동유형에 따른 신체조성과 신체기능체력비교연구
- 저서/역서[20230615] 모두를 위한 모션 테이핑
- 학술발표[20250109] 치료적 마사지가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대학 축구선수의 근긴장도와 발목 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 학술발표[20240712] 보행시 볼링선수와 일반대학생의 족저압 비교
- 학술발표[20240712] 케틀벨 트레이닝이 스트리트 댄서 여성대학생의 FMS 및 YBT에 미치는 영향
- 학술발표[20240712] 4주간 바이오 피드백을 적용한 신경근 운동이 무릎 인공관절술을 적용한 여성 노인 환자의 근 경직도에 미치는 영향
- 학술발표[20240712] 케틀벨 스윙 운동시 맨발과 운동화 착용에 따른 압력중심 비교분석
- 학술발표[20240712] 키네시오 테이핑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대학 축구선수의 근 긴장도와 발목 가동범위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
- 학술발표[20240712] 인지·환경적 요소와 스마트폰 사용이 젊은 성인의 보행 패턴의 변화
- 학술발표[20240119] EMG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가로막 호흡재교육 운동이 전방머리자세 성인의 들숨 기능에 미치는 영향
- 학술발표[20230714] K3 축구선수의 발목 발등굽힘 관절가동범위 차이가 Y-Balance Test에 미치는 영향
- 학술발표[20230714] 목뼈안정화운동이 전방머리자세 대학생의 머리뼈척추각, 깊은목굽힘근 근지구력과, 뒤통수근 긴장도 미치는 영향
- 학술발표[20230113] 슬링 뉴렉 기법을 적용한 복합운동이 전방머리자세 가진 20~30대 성인의 통증 및 목뼈정렬에 미치는 영향
- 학술발표[20220715]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트레이닝 및 스포츠 재활 프로그램 방법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