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55 |
  •  페이지 2/8
[DKU Research] 아시아 최초, 3D 프린팅 분야 글로벌 1위 기업 스트라타시스와 R&D센터 설립

2023.11.02

70

[출처] 우리대학 홈페이지 DKU Research, 2023.10.30. (작성자 : 홍보팀) “국내와 글로벌시장 잇는 3D프린팅 분야 혁신 R&D 허브로 발전시킬 것” 스트라타시스, 오는 12월 죽전캠퍼스에 51.25억 원 투입해 「DKU-SSYS 첨단제조융합연구센터」 개관 우리 대학이 아시아 최초로 3D프린팅 분야 글로벌 1위 기업인 스트라타시스와 함께 3D프린팅 R&D센터 설립에 나선다. 양 기관은 11일(수) 판교에서 첨단제조 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견인할 3D프린팅 엔지니어 양성에 나서기로 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안순철 총장, 얀 라지울(Yann Rageul) 부사장, 문종윤 한국지사장, 오좌섭 산학부총장을 비롯한 양 기관 관계자가 참석했다. △안순철 총장과 문종윤 한국지사장(왼쪽)이 산학협력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단국대-스트라타시스 산학협력 협약식 체결 기념 사진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오는 12월 죽전캠퍼스에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3D프린팅 분야 「첨단제조혁신융합연구센터」를 구축한다. 스트라타시스는 최신 첨단 3D프린팅 장비, 리모델링 및 교육 연구지원비로 총 51.25억원을 지원한다. 죽전캠퍼스 종합실험동에 264㎡ 규모로 설립되는 「DKU-SSYS 첨단제조융합연구센터」에는 SLA, SAF, FDM 기반 최신 첨단 3D프린팅 장비가 도입된다. 또한 50㎡ 규모의 기업협업 공간을 별도로 조성해 제조기업 지원에도 나설 예정이다. △안순철 총장이 「2023 스트라타시스 3D프린팅 포럼」 전시회장을 찾아 환담을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얀 라지울(Yann Rageul) 부사장, 오좌섭 산학부총장, 안순철 총장, 문종윤 한국지사장) 양 기관은 공동 R&D장비 운영, 3D프린팅 소재‧장비 연구 등을 통해 차세대 고정밀 3D프린터 연구 기반을 활성화하고 3D프린팅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다양한 교육‧연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DKU-SSYS 첨단제조융합연구센터」를 우리나라와 글로벌시장을 연결하는 3D프린팅 분야 혁신 허브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안순철 총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미래차·로봇·반도체·디지털 헬스케어 등 첨단 분야 전문인력 양성과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단국대가 우리나라 첨단제조 산업을 선도하는 R&D허브로 도약하는 데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스트라타시스는 1989년 설립됐으며 현재 3D프린팅 분야 글로벌 1위 기업이다. 항공우주, 자동차, 산업기계 및 의료분야 등 전 산업에 세계 최고 수준의 3D프린팅 기술 및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단국대 #산학협력 #스트라타시스 #3D프린팅 [대학뉴스 제보] 죽전 홍보팀 : 031-8005-2032~4, 천안 홍보팀 : 041-550-1061

[DKU News] 조직재생공학연구원, 우수연구성과 연이어 발표

2023.10.04

165

[출처] 우리대학 홈페이지 DKU News, 2023.09.22. (작성자 : 홍보팀) △ 조직재생공학연구원 단체사진 우리 대학의 대표적인 융합연구집단인 조직재생공학연구원(이하 ITREN)이 최근 국제적인 우수 연구성과들을 연이어 발표하면서 학계에 주목을 받고 있다. 의학, 치의학, 자연과학, 공학분야 전문가들이 모인 동 연구원은 지난 17년간 손상된 조직의 재생 기전을 밝히고 근본적인 대안을 찾고자 연구에 매진해왔다. 특히 미국 컬럼비아대학, UPenn, 스탠포드대학,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 호주 시드니대학, 스페인 IBEC연구소 등 12개 이상의 해외 우수 연구기관과 공동연구 및 학생교류를 진행하며 230편 이상의 국제 공동논문을 발표해 왔다. 특히 물리적 인장력을 통한 세포리프로그래밍 증진 (이정환 교수 외, Advanced Science, IF=15.1), 전자기장에서 줄기세포 행동의 생역학적 기전 연구 (라젠드라 싱 교수 외,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F=19), 메카노바이올로지 플랫폼 기술 초청리뷰 (김혜성 교수 외, Trends in Biotechnology, IF=17.3), 효소반응 나노소재를 이용한 당뇨성 피부 재생 (난딘-에르덴 박사 외, Bioactive Materials, IF=18.9) 등 (아래에 열거), 올 8월에만 IF 10이상 우수 논문 4편을 게재하는 등, 최근 5년간 IF(피인용지수) 10 이상 논문을 40여 편 발표하였다. 김해원 원장은 “불철주야로 치열하게 연구해 온 구성원들의 노력이 결과로 입증되고 있다”며 “연구의 양보다 질적으로 우수한 논문발표에 주력하고 있다”고 했다. 국제학술지 「Journal of Tissue Engineering」 (SCI, IF=8.2)의 편집장을 맡고 있는 김 원장의 논문 피인용지수는 35,000회에 달하며 연구자의 연구생산성과 영향력을 평가하는 지표인 H-index값이 97로 국내외 최정상급이다. 2007년 설립된 동 연구원은 2017년 교책연구원으로 승격했으며, 중점연구소사업(09년), 글로벌연구실사업(15년), 해외우수연구기관유치사업 (18년), 중점연구소후속사업 (19년), BK21사업단 3단계 (12년) 및 4단계 (20년), MRC선도연구센터 (21년)를 포함해 현재까지 약 650억 원의 중대형 연구 과제들을 유치했다. 특히 올해에는 단국대학교병원 임상의들과 ‘혁신형 미래의료연구센터’를 공동 유치하면서 임상의과학자 양성에도 매진하고 있다. <주요 논문 바로가기> ▶“Cyclic stretch promotes cellular reprogramming process through cytoskeletal-nuclear mechano-coupling and epigenetic modification”Advanced Science, 2023 (논문바로가기) 물리적 인장력을 통해, 섬유세포(fibroblast)를 유도만능줄기세포 (iPSC)로의 리프로그래밍 효율을 높이고 세포질과 핵의 생역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그 메커니즘을 규명한 성과를 다학제 분야의 권위있는 저널인 Adv. Sci. (IF=15.1)에 발표함. ▶“Coordinated biophysical stimulation of MSCs via electromagnetized Au-nanofiber regulates cytoskeletal-to-nuclear mechano-responses and lineage specification"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23 (논문바로가기) 전자기장(EMF)과 나노기질 (nano-matrix)의 물리적 인자를 통해 성체줄기세포의 부착, 배열, 분화를 조절하고,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세포골격들의 역할과 핵의 변화를 메카노바이올로지 관점에서 규명하여 재료분야 최상위 저널인 Adv. Funct. Mater. (상위 1.8%)에 게재함. ▶“Advanced materials technologies to unravel mechanobiological phenomena" Trends in Biotechnology, 2023 (논문바로가기) 생체 내 메카노바이올로지 현상 규명을 위해 개발 중인 다양한 세포배양 플랫폼에 대한 최신 견해를에디터 초청으로 Cell Press의 권위있는 리뷰저널인 Trends in Biotechnology (IF=17.3)에 발표함. ▶“Double hits with bioactive nanozyme based on cobalt-doped nanoglass for acute and diabetic wound therapies through anti-inflammatory and pro-angiogenic functions" Bioactive Materials, 2023 (논문바로가기) 다양한 효소반응을 나타내도록 디자인된 나노입자 (Nanozyme)를 통해 당뇨성 피부의 재생을 촉진시킨 연구 논문으로 바이오소재 분야의 최상위 저널인 Bioact. Mater. (상위1.5%)에 게재함. ※ 최근 5년간 우수 연구 목록 40편 바로 가기 (ITREN 홈페이지게시판) #단국대 #조직재생공학연구원 #김해원 교수 #ITREN [대학뉴스 제보] 죽전 홍보팀 : 031-8005-2032~4, 천안 홍보팀 : 041-550-1061

[DKU News] 스마트동물바이오연구소,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선정

2023.09.19

176

[출처] 우리대학 홈페이지 DKU News, 2023.09.15. (작성자 : 홍보팀) △ 스마트동물바이오 연구소 단체사진 스마트동물바이오 연구소(소장: 김인호 교수)가 교육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23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사업 선정에 따라 동 연구소는 교육부, 한국연구재단에서 국비 69억 3천만 원, 충남도와 천안시에서 지방비 9억, 관련 기업에서 2억 7천만 원 등 9년간 약 95억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또한 연구소는 ‘미래융합형 바이오시스템 구축을 통한 양돈원천기술 집약화 및 실용화’를 목표로 저탄소 배출 기능성 사료 개발, 환경 제어 모델 시스템 최적화, 기능성 추적 연구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은 이공분야 대학부설연구소의 인프라 지원을 통해 연구공동체를 형성하고 전문적인 연구거점을 육성하는 국책사업으로 올해 5개의 연구소(서울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제주대, 강원대, 단국대)가 신규 선정됐다. △ 연구소의 사업 목표 특히 연구소는 세부 연구를 위해 생명공학대학과 과학기술대학의 교수진과 융합해 4개의 연구 네트워크를 구성했다. 연구팀은 ▲탄소중립바이오팀(김인호· Shanmugam Suresh Kumar 교수), ▲환경제어연구팀(조성보· 박재홍 교수), ▲동물미생물팀(강대경· 오만환 교수·유병선 교수), ▲오믹스분석연구팀(한규동·문세영 교수·신원석 박사). 김인호 소장은 “멀티오믹스(다중의 생물학적 분자 수준 데이터) 기술 및 AI 딥러닝를 활용한 저탄소 친환경 양돈시스템 실용화를 위해 국내외 석학과 학문교류와 기업과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차별화된 양돈 기술을 정립하겠다”며 “연구를 통해 대학의 특성화 인재 양성, 지역 사회 환원에도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한편, 2001년 개소한 스마트동물바이오 연구소는 덴마크 듀폰 데니스코, CJ제일제당, 영국 Quadram연구소 등 과 고유기술 계약을 맺는 등 다양한 양돈 기술 개발 활동을 해오고 있다. 연구소는 최근 5년간 439편(주저자 352편)의 SCI 논문 발표하였으며, 10년간 석사 76명, 박사 55명, 국내외 대학의 전임교수 25명을 배출했다. #단국대 #스마트동물바이오 연구소 #김인호 교수 #대학중점연구소 [대학뉴스 제보] 죽전 홍보팀 : 031-8005-2032~4, 천안 홍보팀 : 041-550-1061

[DKU News] 최준환·김민주교수-KAIST 공동연구팀, ‘유기 반도체’ 성능 10배 높인 소자 개발

2023.09.19

106

[출처] 우리대학 홈페이지 DKU News, 2023.09.06. (작성자 : 홍보팀) 최준환(화학공학과)·김민주(전자전기공학부)교수팀이 KAIST(한국과학기술원) 임성갑·조병진 교수팀과 공동으로 알킬 체인을 활용해 기존 성능보다 10배 향상된 고성능 유기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다. △(왼쪽)최준환(화학공학과)교수·김민주(전자전기공학부)교수 유기 반도체는 가볍고 유연해 자유자재로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어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의 고성능 유기 반도체 소자 연구는 전기용량을 높이기 위해 극성이 높은 절연막 소재를 사용하면 동작전압은 낮아지지만, 극성으로 전하들이 잘 움직이지 못해 이동도가 감소하는 한계가 존재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팀은 알킬 체인(탄소와 탄소를 수직으로 배열한 분자 구조)을 유기 반도체 소자에 적용해 고성능 유기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다. 알킬 체인은 절연막 표면의 극성을 억제해 성능을 10배 이상 높이는 데 성공했다. 이로써 극성 절연막 소재를 활용해 낮은 동작전압에서 출력 전류를 대폭 상향한 고성능 유기 반도체 소자를 제작할 수 있게 됐다. △ 유기 반도체 소자 구조와 사용된 소재의 화학 구조 모습 연구논문은 재료과학 및 다학제 연구분야 상위 10% 이내(JCR, 2022년 기준)인 국제 저명 학술지 「Small Methods(2022년 IF=12.4」 2023년 8월에 온라인 게재됐다. 논문명은 「The Effect of Alkyl Chain Length in Organic Semiconductor and Surface Polarity of Polymer Dielectrics in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OTFTs)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에서의 유기 반도체의 알킬 체인 길이와 고분자 절연막 표면 극성의 영향)」. 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유기 반도체의 알킬 체인이 절연막 표면의 극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을 화학·전기적 분석을 통해 검증하는 데 성공했다”라며 “반도체에 이어 절연체까지 유연한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향후 유연한 반도체 소자 개발에 큰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 △개인기초생애첫연구사업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DKU News] 박희정 교수, 출력과 충전 속도 크게 높인 고체전해질 개발

2023.09.19

85

[출처] 우리대학 홈페이지 DKU News, 2023.09.04. (작성자 : 홍보팀) △ 박희정 교수 논문이 재료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인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8월호에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표지설명: 고체전해질이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라는 의미를 손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모양으로 형상화했다.) 박희정 교수 연구팀(신소재공학과)이 SK온(주)과 공동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리튬이온 전도도(이동속도)를 갖는 산화물계 신(新)고체전해질 개발에 성공했다. 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사용하는 전고체 배터리는 폭발 위험이 낮고 에너지 밀도 향상에 유리해 ‘꿈의 배터리’로 불린다. 연구팀은 산화물계 고체전해질 소재인 LLZO(리튬·란타넘·지르코늄·산소)의 첨가물질을 조정해 전해질 내 리튬 이온의 이동 속도를 기존보다 70% 높였다. △ 언론이 박 교수의 새로운 고체전해질 개발 성공 소식을 자세히 다뤘다.[출처:한국경제] 리튬이온전도도가 빠를수록 배터리 출력이 커지고 고속으로 충전되는 반면 안정성이 떨어지는데 연구팀은 LLZO(리튬·란타넘·지르코늄·산소)의 미세구조를 균일하게 제어하는 기술로 이를 극복했다. 고체전해질은 통상 수분과 이산화탄소에 취약해 장시간 대기에 노출되면 전해질의 기능 역시 떨어지지만 이번에 개발한 고체전해질은 우수한 안정성을 보인다. 또한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배터리 용량도 크게 늘렸다. 액체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배터리(LiB)의 최대 사용 전압은 최대 4.3V이지만, 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사용 할 경우 최대 5.5V까지 늘어난다. 이를 배터리 제작에 적용할 경우 이론적으로는 배터리 용량을 최대 25% 늘릴 수 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리튬 전고체전지에 사용되는 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의 문제점으로 알려진 리튬이온전도도와 안정성을 동시에 개선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미래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향후 차세대배터리 분야의 성장 기회를 선점해 나가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연구 논문은 세계적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F: 19.924)」 2023년 8월호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논문명은 「Li-La-Zr-O Garnets with High Li-Ion Conductivity and Air-Stability by Microstructure-Engineering(미세 구조 공학을 통해 높은 리튬 이온 전도성과 공기 안정성을 갖춘 LLZO 소재)」 #단국대 #SK온 #박희정 #배터리 #신소재공학과 [대학뉴스 제보] 죽전 홍보팀 : 031-8005-2032~4, 천안 홍보팀 : 041-550-1061

[DKU News] 현정근 교수 연구팀, 광범위한 말초신경 손상 재생 촉진하는 전자약 개발

2023.08.28

105

[출처] 우리대학 홈페이지 DKU News, 2023.08.25. (작성자 : 홍보팀) 나노바이오의과학과 현정근 교수 연구팀(연구원 전주익 박사)과 서울대 강승균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결손범위가 10mm가 넘는 광범위한 말초신경 손상의 재생을 촉진하는 전자약 개발에 성공했다. △ 현정근 교수 현 교수가 개발한 전자약은 전기자극으로 말초신경의 세포를 활성화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전자약의 단점인 유선 전력공급 장치로 인한 감염위험과 휴대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선 전력공급 장치와 생분해성 인공신경 도관을 전자약에 적용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전자약으로는 치료가 어려웠던 10mm 이상의 광범위한 신경 치료에도 탁월한 재생효과를 보였다. 또한 생분해성 재료를 활용해 치료가 끝나면 인체내에서 분해되어 치료 후 합병증 등 부작용도 최소화 했다.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전달하는 전자약의 모식도 현 교수는 “동물실험으로 말초신경의 재생효과를 확인했으며, 12주 이상의 장기관찰결과 뒷다리 운동기능과 신경재생, 근육회복 등 뚜렷한 기능개선 효과를 보였다.”며 “이번 연구는 인체의 기능복원에 사용가능한 전자약의 활용범위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논문은 재료과학분야 세계적 학술지인「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IF=15.1)」2023년 6월호에 온라인 게재됐다. 논문명은 「Electroceuticals for Regeneration of Long Nerve Gap Using Biodegradable Conductive Conduits(생분해성 생체재료 활용한 신경 재생을 위한 전기 치료법)」 현 교수는 지난해 심각한 신경 손상 환자의 재생을 촉진하는 인공신경도관을 개발해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가 주최한 제7회 의료기기산업대상에서 대상을 받는 등 2004년 단국대에 부임 후 ▲근골격계 재활 ▲줄기세포 이식 및 생체재료 응용 ▲척수손상을 비롯한 중추신경계 손상과 말초신경 손상 분야 ▲인공지능을 이용한 예측모델 개발 분야 등의 연구를 해오고 있다. #단국대 #현정근 #나노바이오의과학과 #재활의학과 #단국대병원 [대학뉴스 제보] 죽전 홍보팀 : 031-8005-2032~4, 천안 홍보팀 : 041-550-1061

[DKU News] 문현준 교수팀, 행안부 고독사 예방시스템 구축 나서

2023.08.23

177

[출처] 우리대학 홈페이지 DKU News, 2023.08.18. (작성자 : 홍보팀) 문현준 교수(건축학부, 에너지빅데이터연구센터장)팀이 인공지능과 IoT를 활용, 고령 노인과 1인 가구, 장애인 가구의 고독사를 사전 예방할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 고독사 예방시스템 구축에 나선 문현준 교수 연구팀[오른쪽부터 김동재 교수(대학원 인공지능융합학과), 문현준 교수(건축학부)] 문 교수팀은 최근 행정안전부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 주관한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연구개발사업’에 ‘지능형 사물인터넷(AIoT)을 기반으로한 취약계층 고독사 예방시스템 구축’에 선정됐다. 3년간 국비와 민간부담금 등 23억 5천만원이 투입되는 이번 연구에는 문현준·김호정(건축학부)·김동재(대학원 인공지능융합학과)·조정민(성신여대 간호학과) 교수와 서비스 개발에 SQI소프트(주)와 ㈜스페이스엣지가 함께 한다. 고독사 예방 시스템은 고령 노인 또는 1인 가구의 실내에 지능형 사물인터넷, 각종 센서가 접목된 ‘상황인지 생활지원기기’(AAL, Ambient Assisted Living)을 설치하고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및 온·습도 변화, 24시간 사용자 행동패턴 원격 모니터링 등을 통해 위험 감지 시 자동으로 관리 담당자에게 알림이 전송되는 구조다. 특히 실내 데이터 센서를 활용하기 때문에 스마트밴드 등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AI 학습모델 개발, 위험집단 특성을 연계한 서비스 개발, AAL 케어시스템 및 서비스 개발 등 3대 연구목표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실내 거주시 행태를 판단하고 에너지 소비량에 기반한 이상 행태 판단, 원격 케어 앱 개발, 가상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거주 환경의 이상 행태 등을 예측해 고독사의 데이터를 표출하고 위험도에 따른 예방 전략 수립에도 기여한다는 목표다. 연구팀은 앞으로 SH공사 강서 주거안심종합센터, 사당 종합사회복지관, 의정부시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취약계층인 고령 노인이나 1인 가구, 장애인 가정에 고독사 예방시스템을 설치, 운영하며 고독사 예방 시스템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문 교수는 “AI가 접목된 고독사 예방 시스템을 조기에 구축해 사고 예방과 신속한 조기 대응 등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단국대 #건축학부 #고독사예방 #지능형사물인터넷 [대학뉴스 제보] 죽전 홍보팀 : 031-8005-2032~4, 천안 홍보팀 : 041-550-1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