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철 사진

정재철 | 사범대학 한문교육과

  • 직급:
    명예교수

교수소개

단국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에서 한문학 전공으로 문학석사,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주 전공 영역은 한국학으로 최근에는 율곡과 퇴계시를 중심으로 도학파 한시와 <고문진보>, <한유문집> 등과 같은 중국 고서의 수용 양상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2003년 LG연암문화재단 해외연구교수로 선정되어 1년간 UC버클리 한국학연구소에서 연구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이색 시의 사상적 조명>, <고문진보 연구> 등이 있으며, 2003년 한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12년 단국대학교 '범은학술상'을 수상하였다.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장, 한국한문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단국대학교 사범대학장, 한국한문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학력

  • [1981] 학사 단국대학교 / 한문교육 / 한문교육학
  • [1988] 석사 고려대학교 / 국어국문학 / 한국한문학
  • [1997] 박사 고려대학교 / 국어국문학 / 한국한문학

주요연구분야

경학
한문한문학-비평

컨설팅 가능 분야

1. 4서 5경을 비롯한 경서 강독. 2. 한시와 한문 산문을 중심으로 한 한문학 전
반. 3. 중국문학, 일본한문학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비교문학. 4. 고전문학,
현대 문학을 중심으로 한 한국문학.

연구업적

  • 연구보고서[20140830] 고전용어사전 편찬 방안 연구
  • 연구보고서[20120827] 단국대 소장 연민문고<東裝貴重本>해제 사업(3/3)
  • 연구보고서[20080630] 2009학년도 개편 중등교사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 표시과목 <한문>의 교사 자격 기준 개발과 평가 영역 상세화 및 수업 능력 평가 연구
  • 연구보고서[20030731] 학제간 협동을 통한 동양학 분야 신규 교과목 개발
  • 연구보고서[20021231]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영역 출제 지침(시안) 개발 연구
  • 연구보고서[20020630] 대학.학부 및 전공별 특성화 위원회 연구
  • 연구보고서[19991227] 남북한 중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분석연구
  • 일반논문[20231231] 『열하일기』초고본 계열의 이본 연구
  • 일반논문[20221030] 신자료 󰡔열하일기󰡕 선행본 󰡔연행음청기󰡕(3)·󰡔연행음청록󰡕(4) 연구
  • 일반논문[20210930] 『열하일기』 <옥갑야화> 수록 허생후지 연구
  • 일반논문[20190630] 박종채의 󰡔열하일기󰡕 교정과 편집-연암산방본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90430] 정도전의 포은 시 비평과 그 의미- 「포은봉사고서(圃隱奉使藁序)」를 중심으로 -
  • 일반논문[20180731] 조선전기 갑진자본 󰡔韓文正宗󰡕의 간행과 그 의미
  • 일반논문[20170630] 연암 문학에 대한 당시대인의 인식-이재성의 「제박연암문」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60930] 김택영의 『연암집』 편찬과 그 의미
  • 일반논문[20160330] 중국도서의 수입과 학문적 수용-명초 건양의 서림학자 劉剡의 편찬서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60229] 조선전기 한문학 연구의 반성적 검토와 새로운 시각의 모색-중국문학서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51231] 한유 문 전범의 형성과 인식
  • 일반논문[20151101] 平齋 李岡의 정치활동과 한시 연구
  • 일반논문[20150201] 연암의 <<면양잡록>> 수록 윤가기 시에 대하여
  • 일반논문[20141201] 조선중기 도학가의 두보 시 수용 양상 -이황과 이이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31201] 한국한문학 연구의 몇 가지 쟁점
  • 일반논문[20131201] 자전류의 역사와 한문 학습 자전의 필요성
  • 일반논문[20130601] 한문교육과 창의인성교육
  • 일반논문[20130601] 연암의 장편시 輓趙淑人에 대하여
  • 일반논문[20121231] 박영철본 《연암집》미수록 연암시에 대하여 -연민문고 소장 《연암집초고보유 9》소재 작품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20115] 동아시아 근대 한문산문의 한 국면-김택영의 중국산문 비평과 그 의미-
  • 일반논문[20111231] 한문과 교재 연구의 성과와 전망-중.고등학교 한문교과서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10830] 디지털한한대사전의 표제어 구성에 대하여
  • 일반논문[20110630] 구한말 동아시아 지식인의 문화비전-창강 김택영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10630] 대수능 한문 영역의 도입 배경과 언어·문화 교육적 기능
  • 일반논문[20100530] 개정 교육과정‘한문지식’의 내용 분석- 중학교 <한문1>의 적용 사례와 관련하여 -
  • 일반논문[20100430] 이색의 국자감 유학과 문화교류사적 의미
  • 일반논문[20091231] 한국의 문자정책과 한문교육 - 한문과 한글의 교섭 양상에 주목하여 -
  • 일반논문[20091231] 조선중기 문장가의 한유문 토석과 그 의미
  • 일반논문[20090828] 韓漢大辭典의 편찬 방향과 사전사적 의미
  • 일반논문[20081231] 중학교 한문 교과서에서의 어휘 교육의 위상-중학교 한문 과목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 일반논문[20081230] 이색의 경학사상-程傳과 朱註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080831] <五百家註音辨昌黎先生集> 연구
  • 일반논문[20080630] 세종 대 한유 문집의 편찬과 그 의미
  • 일반논문[20080330] 금속활자본 <상설고문진보대전>의 문헌학적 연구
  • 일반논문[20070830] 『제유전해고문진보』 연구
  • 일반논문[20061231]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헌 전산화의 성과와 한계
  • 일반논문[20061220] 李德弘의『古文後集質義』 硏究
  • 일반논문[20060630] 한중일 간 "고문진보"의 비교연구 - 동아시아 한문교재의 유통 양상에 대한 일고찰 -
  • 일반논문[20050630] 대학 한문교육과 교육과정의 현황과 문제점-전공영역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050630] 退溪의「古文前集講解」연구 - 도학적 문학관의 적용 양상 -
  • 일반논문[20041230] 정언묘선의 사유체계 및 심미의식
  • 일반논문[20031230] 『상설고문진보대전』연구 - 도학적 문학관의 적용양상-
  • 일반논문[20030830] 朱熹의 『韓文考異』연구 -도학적 문학관의 적용 양상-
  • 일반논문[20021006] 목은 이색의 명분론적 농민인식
  • 일반논문[20020630] 제7차 한문과 교육 과정 실천상의 쟁점과 해결 방안
  • 일반논문[20011230] <정언묘선>의 풍격연구-충담소산, 한미청적, 청신쇄락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011103] 한국 시화에 있어서 이색 시의 비평 양상
  • 일반논문[20001103] 杏村 李岩詩의 硏究
  • 일반논문[20001031] 목은 시에 있어서 易理의 형상화
  • 일반논문[19991031] 목은시에 있어서 시경시의 수용과 그 의의
  • 일반논문[19990630] 제6.7차 한문과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 일반논문[19981231] 陶隱 詩의 思想的 志向과 風格 硏究
  • 일반논문[19981130] 牧隱의 佛敎性向 漢詩의 思想的 特質
  • 일반논문[19981105] 牧隱 李穡의 外物認識
  • 일반논문[19980628] 제7차 한문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 일반논문[19971015] 제7차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의 구성 방식
  • 일반논문[19970625] '신 교육과정 총론(안)'과 한문교육
  • 일반논문[19961225] 목은 시의 풍격연구
  • 일반논문[19961225] 牧隱 李穡 詩의 硏究
  • 일반논문[19961103] 목은 이색의 처세양상
  • 일반논문[19941112] 漢文科 敎育課程
  • 일반논문[19941103] 牧隱 李穡의 思惟樣式
  • 일반논문[19931103] 牧隱 李穡의 世界認識
  • 일반논문[19920630] 高麗末 新興士大夫의 登場과 漢詩 - 農民認識을 中心으로-
  • 일반논문[19910915] 김택영의 문학사상
  • 일반논문[19910630] 牧隱의 靑年期 漢詩에 나타난 思想的 趨向
  • 일반논문[19901103] 應製詩에 나타난 權近의 世界觀
  • 일반논문[19891103] 諸家文評을 통해 본 滄江과 深齋의 文學觀
  • 일반논문[19881102] 滄江詩에 있어서의 現實感覺과 憂國詩의 性格
  • 일반논문[19861103] 창강 김택영의 시론
  • 저서/역서[20191130] 청헌집
  • 저서/역서[20191130] 성재집
  • 저서/역서[20191130] 지포집
  • 저서/역서[20191130] 당계집
  • 저서/역서[20191130] 남계유고
  • 저서/역서[20190731] 한유 문집 연구
  • 저서/역서[20141111] 고문진보 연구
  • 저서/역서[20021110] 이색 시의 사상적 조명
  • 저서/역서[19960207] 고전의 지혜
  • 학술발표[20141122] 연암의 <<면양잡록>> 수록 윤가기 시에 대하여
  • 학술발표[20141017] 한자사전 표제어 선정 원칙과 방법에 대한 비교
  • 학술발표[20140721] 조선중기 도학가의 두보 시 수용 양상
  • 학술발표[20131026] 한국한문학 연구의 몇 가지 쟁점
  • 학술발표[20130706] 자전류의 역사와 한문 학습 자전의 필요성
  • 학술발표[20130413] 연암의 장편시 「輓趙淑人」에 대하여
  • 학술발표[20130119] 한문교육과 창의·인성교육-이론적 기반의 모색-
  • 학술발표[20120810] 박영철 간 연암집 미수록 연암시에 대하여-연민문고 소장 연암집초고보유9 및 면양잡록8 소재 작품을 중심으로-
  • 학술발표[20111021] 동아시아 근대 한문산문의 한 국면-김택영의 중국산문 비평과 그 의미-
  • 학술발표[20110709] 한문과 교재 연구의 성과와 전망-중고등학교 한문교과서를 중심으로-
  • 학술발표[20110218] 디지털한한대사전의 표제어 구성에 대하여
  • 학술발표[20101022] 구한말 동아시아 지식인의 문화비전-창강 김택영을 중심으로-
  • 학술발표[20100319] 李穡의 國子監 游學과 文化交流史的 意味
  • 학술발표[20091114] 개정 교육과정 '한문 지식'의 내용 분석-중학교 한문교과서의 적용 사례와 관련하여-
  • 학술발표[20090806] 한국의 문자정책과 한문교육-한문과 한글의 교섭 양상에 주목하여-
  • 학술발표[20090209] 朝鮮 中期 文章家의 韓愈文 吐釋과 그 意味
  • 학술발표[20081217] <漢韓大辭典>의 編纂 方向과 辭典史的 意味
  • 학술발표[20080705] 중학교 한문 교과서에서의 어휘 교육의 위상
  • 학술발표[20080614] '오백가주음변창려선생집'연구
  • 학술발표[20080212] 이색의 경학사상 - 程傳과 朱註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 학술발표[20071226] 세종 대 한유 문집의 편찬과 그 의미 - 조선 간 '朱文公校昌黎先生集'의 내용 분석-
  • 학술발표[20060803] 李德弘의"古文後集質疑"硏究
  • 학술발표[20060624] 한국학 중앙연구원 고문헌 전산화의 성과와 한계
  • 학술발표[20060116] 한중일 간 고문진보의 비교연구-동아시아 한문교재의 유통 양상에 대한 일고찰-
  • 학술발표[20050219] 대학 전공한문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한문교육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학술발표[20040725] 정언묘선의 사유체계 및 심미의식
  • 학술발표[20011215] 제7차 한문과 교육과정 실천상의 쟁점과 해결방안
  • 학술발표[20010810] 한국 시화에 있어서 이색 시의 비평 양상
  • 학술발표[19990130] 陶隱 詩의 風格에 대하여
  • 학술발표[19980812] 牧隱의 佛敎性向 詩의 硏究
  • 학술발표[19960608] 목은 이색 풍격연구
  • 학술발표[19960131] 牧隱 詩의 觀物論에 대하여
  • 학술발표[19950811] 牧隱 李穡의 道學的 삶
캠퍼스별 교무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