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순 사진

박성순 | 문과대학 사학과 (인문관)

  • 직급:
    교수

교수소개

단국대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신입학성적우수장학생. 고려대 박사과정 수료 직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원으로 근무. '일본역사교과서 한국사 왜곡 특별기획전' 기획 및 '중국내 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재복원사업' 담당의 공로를 인정받아 2001년, 2002년 2년 연속 독립기념관장 표창 수상. [호모클래식스, 고전으로 자본주의를 넘다] 집필 간행(2012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선정). 중등학교 정교사 자격증, 박물관 미술관 학예사 자격증 소지. 사단법인 유도회 한문연수원 졸업. UCLA Center for Korean Studies Visiting Scholar.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유교연구평가위원, 현재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비상임 연구위원, 한국독립운동사사전(인명편) 편찬위원, 한국근현대사학회 이사

교육철학

엄격한 학문적 연구성과를 토대로 하여 역사의 진실을 가르치며, 구국, 자주, 자립의 창학이념을 구현할 수 있는 지성인을 배양한다.

주요연구분야

근대 위정척사사상
한국독립운동사

컨설팅 가능 분야

근대위정척사사상, 한국독립운동사, 梵亭 張炯 선생의 독립운동과 단국대학 설립

연구업적

  • 일반논문[20210730] 192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전쟁 노선과 義勇團의 성격
  • 일반논문[20201231] 대한독립단의 위상과 대한광복군사령부의 성립
  • 일반논문[20200831] 朴齊家 利用厚生論의 역사적 의미
  • 일반논문[20200731] 1920년 청산리대첩의 배경과 신흥무관학교
  • 일반논문[20191130] 1919년 大韓獨立義軍府와 吉林軍政司 연구 -呂準을 중심으로 한 신흥무관학교 세력의 활동상에 주목하여-
  • 일반논문[20191101] 근대 한국과 헝가리 관계사 연구 – 噶蘇士傳의 수입과 독립정신의 고취를 중심으로 –
  • 일반논문[20190131] 1910년대 후반 呂準의 활동을 통해 본 부민단과 신흥무관학교 측의 동향
  • 일반논문[20181231] 1920년대 초반 半島苦學生親睦會 硏究
  • 일반논문[20181231] 1914년도 신흥무관학교의 독립운동과 인적 연계망
  • 일반논문[20171230] 志山 金福漢의 파리장서운동과 그 사상적 배경 — 華西學派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 일반논문[20170930] 1910년대 신흥무관학교 학생모집의 경로와 거점
  • 일반논문[20170731] 독립운동가 梵亭 張炯의 단군민족주의와 건학이념
  • 일반논문[20170630] 石洲 李相龍의 「滿洲紀事」 분석을 통해 본 新興武官學校의 하급교육기관 실태 — 柳河·通化縣을 중심으로 —
  • 일반논문[20170430] 白凡 金九의 도덕지향과 근대이성 –『백범일지』의 분석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61231] 梵亭 張炯의 滿洲에서의 獨立運動
  • 일반논문[20161230] 孟輔淳의 {東田文集} 편찬과 잊혀진 獨立運動史
  • 일반논문[20151001] 항일투쟁기 한국독립당의 震光 발간과 한중 연대
  • 일반논문[20150401] 復菴 李偰과 志山 金福漢의 崔益鉉에 대한 인식
  • 일반논문[20141201] 湖岩 文一平의 民族史學者的 特徵
  • 일반논문[20140530] 한청간 間島 영유권 분쟁의 역사적 전개와 전망
  • 일반논문[20140330] 秋巒 鄭之雲 著述 <天命圖說>의 思想史的 位相
  • 일반논문[20131230] 환국 이후 梵亭 張炯의 사회교육 활동
  • 일반논문[20130930] 中庸的 삶의 현대적 해석
  • 일반논문[20130530] 毅菴 柳麟錫의 華西心說 傳承樣相
  • 일반논문[20130330] 文一平 近代史學의 本領, 朝鮮學運動
  • 일반논문[20130228] 梵亭 張炯의 獨立運動과 그 位相
  • 일반논문[20120930] 華西 李恒老의 井田制 주장과 그 含意
  • 일반논문[20110530] 衛正斥邪派의 反帝論理와 義兵抗戰을 둘러싼 環境의 再檢討
  • 일반논문[20110130] 丙寅洋擾 時期 李恒老의 薦擧를 둘러싼 政局의 動向
  • 일반논문[20100930] 高峰 奇大升의 歷史意識
  • 일반논문[20100830] 崔漢綺(1803~1877) 思想의 내적 계보와 그 지향
  • 일반논문[20100330] 고, 순종 연간 의병의 개념과 위상 변천 연구
  • 일반논문[20090530] 화서학파 성장배경에 대한 기존 논의의 검토
  • 일반논문[20090330] 화서 이항로의 심설과 척사논리의 상관 관계
  • 일반논문[20090130] 正祖의 先代王 認識과 그 特徵
  • 일반논문[20081230] 화서학파의 성장과 심주리설
  • 일반논문[20081230] 정조대 '김하재 사건'의 전말과 성격
  • 일반논문[20080930] 정조의 사대부 인식과 그 특징
  • 일반논문[20080830] 근대 척사운동의 상징용어에 대한 고찰
  • 일반논문[20080630] 정조의 송시열 현창과 왕권 강화론
  • 일반논문[20080630] 정조의 경장책과 왕권강화론
  • 일반논문[20080630] 정조의 실학적 경세관-학문 사공 일치론과 활법 사법론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080330] 화서학파의 성장과 김평묵의 역할-심주리설의 옹호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070530] 면암 최익현의 심주리설 연구
  • 일반논문[20060625] 홍대용의 [의산문답]과 그의 사회개혁사상
  • 일반논문[20051230] 박제가의 북학론과 그 역사적 함의
  • 일반논문[20050830] 조선후기 북학사상 연구 경향에 대한 일고찰
  • 일반논문[20050630] 조선후기의 서양역법 수용과 도기분리론의 정립
  • 일반논문[20050330] 조선후기 낙학파 심설 전승의 일양상-화서 이항로의 경우
  • 일반논문[20040630] 조선중기 경연과목 [심경]의 정착과정과 그 정치적 의미
  • 일반논문[20021230] 병인양요와 이항로의 척사상소
  • 일반논문[20020930] 이항로 심주리설 형성의 학설사적 배경
  • 일반논문[20020930]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유학사 연구와 그 반응에 대한 검토
  • 일반논문[20020630] 이항로의 가계와 학통
  • 일반논문[20011230] 이항로의 학통과 학문목표
  • 일반논문[20010830] 유인석의 화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일반논문[20000330] 최한기의 대서양인식
  • 일반논문[19981230] 조선후기의 대청인식과 '북학론'의 의미
  • 일반논문[19980930] 한국근대사에 대한 편견-하라다의 [조선의 개국과 근대화]
  • 저서/역서[20220115] 화서학파의 심설논쟁
  • 저서/역서[20180419] 김구 선생이 얘기한 깨어있는 시민
  • 저서/역서[20151103] 우당 이회영과 범정 장형의 발자취를 찾아서
  • 저서/역서[20141220] '조선심'을 주창한 민족사학자 문일평
  • 저서/역서[20141103] 범정 장형의 독립운동과 단국대학 설립
  • 저서/역서[20130428] (한 권으로 읽는) 성웅 이순신
  • 저서/역서[20130222] 세계 속의 한국
  • 저서/역서[20120507] 호모 클래식스, 고전으로 자본주의를 넘다
  • 저서/역서[20060805] 한국사상사입문
  • 저서/역서[20060420] 박제가와 젊은 그들
  • 저서/역서[20050520] 조선유학과 서양과학의 만남
  • 저서/역서[20040915] 선비의 배반
  • 저서/역서[20031111] 조선후기 화서 이항로의 위정척사사상
  • 저서/역서[20000901]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학술발표[20230629] 태평양회의와 반도고학생친목회의 활동
  • 학술발표[20221124] 백범 김구와 미주지역 교포의 연계
  • 학술발표[20221012] 이봉창 의사 관련 자료에 대한 검토
  • 학술발표[20211109] 여준과 신흥무관학교
  • 학술발표[20211029] 태평양회의와 장형
  • 학술발표[20200515] 1920년 청산리대첩과 신흥무관학교
  • 학술발표[20190626] 북학풍조의 형성과 朴齊家 개혁론의 특징
  • 학술발표[20190625] 1919년 대한독립의군부와 길림군정사의 역사적 의미
  • 학술발표[20190524] 태평양회의에 대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활동과 장형
  • 학술발표[20190329] 한국독립운동과 헝가리
  • 학술발표[20190308] 제1차 세계대전(1914-1918)과 한국독립운동의 방략
  • 학술발표[20171108] 志山 金福漢의 파리장서운동과 그 사상적 배경-華西學派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학술발표[20170519] 신흥무관학교 입교생 모집과 이동 경로
  • 학술발표[20170311] 해방 후 '홍익인간' 교육이념의 정착과정과 梵亭 張炯의 교육이념
  • 학술발표[20160902] 梵亭 張炯의 滿洲에서의 獨立運動
  • 학술발표[20141107] 홍주의병장 복암 이설과 지산 김복한의 의식세계 연구
  • 학술발표[20140117] 근대 한중간 간도분쟁의 심층적 이해와 전망
  • 학술발표[20130907] 중용적 삶의 현대적 해석
  • 학술발표[20130216] 문일평 근대사학의 성립과 특징
  • 학술발표[20121031] 梵亭 張炯의 獨立運動
  • 학술발표[20110226] 기호 이항로와 김평묵의 심주리설과 이진상의 심즉리설 비교
  • 학술발표[20101106] '開化'에 對應한 衛正斥邪論理와 그 意義
  • 학술발표[20101022] 韓末 義兵을 둘러싼 政治地形과 義兵의 活動
  • 학술발표[20100529] 최한기 사상의 내적 계보와 그 지향
  • 학술발표[20051210] 박제가의 북학론과 그 역사적 함의
  • 학술발표[20020809] 병인양요와 이항로의 척사상소
캠퍼스별 교무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