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덕재 사진

전덕재 | 문과대학 사학과 (인문관)

  • 직급:
    교수

교수소개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이어 동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5년에 신라 6부를 주제로 박사학위논문을 제출하였고, 그것을 1996년에 『신라육부체제연구』(일조각)로 출간하였다. 이후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2002년, 태학사), 『한국고대사회경제사』(2006년, 태학사), 『신라 왕경의 역사』(2009년, 새문사)를 출간하였다. 이밖에 서역과 삼국과의 문화 교류, 고대 일본의 고려악,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과 신라의 지방통치조직, 낙동강유역의 포구․나루 및 낙동강 수로를 둘러싸고 전개된 신라와 가야세력의 갈등, 고대 수리시설을 중심으로 하는 고대 농업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앞으로 신라시대 慶州의 도시계획과 역사적 변천에 대한 연구를 한층 더 심화시키고, 낙동강유역의 포구와 나루를 종합적으로 조사하여 낙동강 수로교통의 변천과정을 고찰하는 작업을 계획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 발굴 조사가 急增한 신라와 백제 木簡, 2009년에 발견된 포항중성리신라비에 대한 연구를 진전시킬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자료의 영세성을 극복할 수 있는 연구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하여 『삼국사기 』의 原典을 세밀하게 분석하는 일련의 연구를 계획 중이다.

교육철학

올바른 역사관을 가진, 창의적이고 주체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시민의 양성

학력

  • [1985] 학사 서울대학교 / 국사학과
  • [1987] 석사 서울대학교 / 국사학과
  • [1995] 박사 서울대학교 / 국사학과

주요연구분야

신라 6부, 왕경연구
신라 지방통치제도사
한국 고대 사회경제사
한국 고대의 목간
한국 고대의 문화(서역과 신라의 문물교류, 고려악 등)
한국고대사 일반

컨설팅 가능 분야

한국고대의 생활과 문화
신라 6부와 왕경의 공간구성
한국고대의 사회와 경제

연구업적

  • 일반논문[20231231] 처용무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고찰
  • 일반논문[20231031] 중원역사문화권의 범위와 신라의 중원지역 영역화 과정 고찰
  • 일반논문[20230630] 중고기 신라 왕실의 부세수취와 요역징발에 대한 고찰
  • 일반논문[20230430] 신라 진흥왕의 巡幸과 巡幸路 고찰
  • 일반논문[20230430] 帝王韻紀를 통해 본 李承休의 고대사 인식
  • 일반논문[20221231] 신라 왕경 연구의 성과와 과제
  • 일반논문[20220915] 8-9세기 신라와 발해, 일본의 자아와 타자 인식
  • 일반논문[20220831] 『삼국사기』 기록을 통해 본 가야 인식의 변천 고찰
  • 일반논문[20220730] 高句麗 留記의 編纂과 性格에 대한 고찰
  • 일반논문[20220630] 󰡔삼국유사󰡕 기이편후백제 견훤조의 원전과 편찬
  • 일반논문[20220630] 삼국시대 역사서의 내용과 성격 - 書記와 國史를 중심으로 -
  • 일반논문[20211231] 나말여초 경산부(京山府)의 설치와 동향
  • 일반논문[20210831] 신라 경덕왕대 지명 개정 내용과 그 배경
  • 일반논문[20210831] 통일신라 주·군·현의 기능과 운영
  • 일반논문[20210630] 신라 중고기 말․중대 초 縣制의 실시와 지방관에 대한 고찰
  • 일반논문[20210430] 신라 효공왕대 전후 신라 정부와 성주・장군의 동향에 대한 고찰
  • 일반논문[20210430] 신라 말 농민봉기의 원인과 통치체제의 와해
  • 일반논문[20201130] 고대·고려 초 울산지역 변동과 蔚州의 성립
  • 일반논문[20201031] <삼국사기> 신라 인물 열전의 원전과 편찬
  • 일반논문[20200930] 『삼국사기』 궁예·견훤열전의 원전과 편찬
  • 일반논문[20200930] 󰡔삼국사기󰡕 김유신열전의 원전과 그 성격
  • 일반논문[20200630] 三國의 量制와 百濟 田積制에 대한 고찰
  • 일반논문[20200630] 中古期 新羅의 租稅收取와 力役動員
  • 일반논문[20200331] 한국고대사 사료를 활용한 한국사 수업에서의 사료학습 - 백제 좌관대식기를 중심으로 -
  • 일반논문[20191231] 신라 하대 국왕과 정치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김창겸, 2018, 신라 하대 국왕과 정치사, 도서출판 온샘)
  • 일반논문[20191130] 충주고구려비를 통해 본 5세기 중반 고구려와 신라와의 관계
  • 일반논문[20190831] 신라는 삼국을 통일하려고 하였을까
  • 일반논문[20190630] 『三國史記』 祭祀志의 原典과 編纂
  • 일반논문[20190630] 『三國史記』 職官志 武官條의 原典과 撰述에 대한 考察: 諸軍官․凡軍號 기록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90531] 『삼국사기』 직관지의 원전과 편찬 -外官과 浿江鎭典, 外位, 未詳官制 기록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90225] 도화녀비형랑설화의 형성 배경과 역사적 의믜
  • 일반논문[20181231] 『삼국사기』 직관지의 원전과 찬술에 대한 고찰-중앙행정관부 기록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80831] 『삼국사기』의 기록을 통해 본 신라 왕경의 實相 - 문무왕대 이후 신라본기와 잡지, 열전에 전하는 기록을 중심으로 -
  • 일반논문[20180731] 남북한학계의 한국고대사 연구동향과 과제‒2000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80530] 신라 혜공왕의 시해와 역사적 평가에 대한 고찰
  • 일반논문[20180430] 7세기 백제・신라 지배체제와 수취제도의 변동
  • 일반논문[20180430] 『三國史記』 地理志의 原典과 撰述에 대한 考察-高句麗志와 百濟志, 三國有名未詳地分條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80228] 4~7세기 백제의 경계와 그 변화 -경기와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71231] 신라 기악백희의 종류와 전승: 구나무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71130] 『三國史記』 地理志의 原典과 編纂 -新羅志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70930] 신라 東宮의 변화와 臨海殿의 성격
  • 일반논문[20170930] 중고기 신라의 대(代)와 대법(代法)에 대한 고찰 - 함안 성산산성 17차 발굴조사 출토 사면 문서목간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70731] 한국 고대사회 外來人의 존재양태와 사회적 역할
  • 일반논문[20170630] 후삼국시대 신라의 동향과 멸망에 대한 고찰-삼국유사 기이편 김부대왕조의 검토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70515] 古代 韓中日 文化交流에 대한 考察 ─舞樂 蘇莫遮와 蘇志摩利, 吉簡을 中心으로─
  • 일반논문[20161201] 삼국시기 백제본기의 원전에 대한 검토: 중국 사서와 국내 자료 인용 기록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61031] <三國史記> 百濟本紀 記錄의 基本原典과 改撰
  • 일반논문[20160831] 『三國史記』 高句麗本紀의 原典과 撰述-長壽王代 이후 기록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60731] 󰡔三國史記󰡕 高句麗本紀의 原典과 完成 –광개토왕대 이전 기록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60630] 신라의 北進과 서북 경계의 변화
  • 일반논문[20160630] 사로국의 건국 주체세력과 그 과정
  • 일반논문[20151231] 373년 고구려 율령의 반포 배경과 그 성격
  • 일반논문[20150801] 1973년 천마총 발굴과 박정희 정권의 문화재 정책
  • 일반논문[20150801] 󰡔삼국사기󰡕 신라본기 중·하대 기록의 원전과 완성
  • 일반논문[20150601] 『삼국사기』 신라본기 중고기 기록의 原典과 完成
  • 일반논문[20150530] 봉덕사의 위치와 그 성격
  • 일반논문[20150101] 8세기 신라의 대일외교와 동아시아 인식
  • 일반논문[20141201] 통일신라의 향(鄕)에 대한 고찰
  • 일반논문[20140918] 삼국사기 신라본기 초기기록의 원전과 활용
  • 일반논문[20140901] 異斯夫의 家系와 政治的 位相
  • 일반논문[20140601] 신라의 동북지방 국경과 그 변천에 관한 고찰
  • 일반논문[20140601] 통일신라 銅 · 靑銅製品의 生産과 流通
  • 일반논문[20140501] 三國史記 新羅本紀 上古期 記錄의 元典과 改撰
  • 일반논문[20140201] 경주 동천동 왕경유적의 성립과 그 성격
  • 일반논문[20131101] 新羅 下代 浿江鎭의 設置와 그 性格
  • 일반논문[20130930] 삼국 초기의 해양활동과 변동
  • 일반논문[20130801] 新羅 下代 得難 신분의 擡頭와 骨品制의 變化
  • 일반논문[20130621] 신라 왕경에서 왕릉이 차지하는 위치 및 관계 고찰
  • 일반논문[20130601] 가잠성의 위치와 그 전투의 역사적 성격
  • 일반논문[20130301] 삼국과 통일신라시대 가뭄 발생 현황과 정부의 대책
  • 일반논문[20130201] 상고기 신라의 동해안지역 경영
  • 일반논문[20130101] 新羅의 對中ㆍ日 交通路와 그 變遷
  • 일반논문[20120831] 백제의 율령 반포 시기와 그 변천
  • 일반논문[20120601] Materials and Trends in the Study of Ancient Korean Wooden Slips
  • 일반논문[20120301] 古代의 百戱雜技와 舞樂
  • 일반논문[20120201] 고대 의성지역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고찰
  • 일반논문[20111231] 고대 한국과 일본의 악곡 탁목에 대한 시론적 고찰
  • 일반논문[20111215] 율령과 유교에 기반한 통치체제
  • 일반논문[20110930] 신라 율령 반포의 배경과 의의
  • 일반논문[20110801] 신라 경문왕·헌강왕대 한화정책(漢化政策)의 추진과 그 한계
  • 일반논문[20110301] 탁국(탁기탄)의 위치와 역사에 대한 고찰
  • 일반논문[20110301] 신라의 王京과 小京
  • 일반논문[20100901] 韓國 古代의 王京과 都城, 地方都市
  • 일반논문[20100831] 新羅 上代 王宮의 變化와 宗廟
  • 저서/역서[20231225] 융합의 공간, 중원 신라의 중원진출과 문화양상
  • 저서/역서[20231215] 『삼국사기』의 가야 인식
  • 저서/역서[20230620] 신라지방통치제도사
  • 저서/역서[20221201] 북강원도사3(선사 고대)
  • 저서/역서[20220630] (옛) 김화군향토지상
  • 저서/역서[20211224] 고대 한국의 외래계 문물-다름이 만든 다양성
  • 저서/역서[20210615] 삼국사기 잡지열전의 원전과 편찬
  • 저서/역서[20210515] 한국고대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 저서/역서[20210310] 처음 만나는 동해포구사
  • 저서/역서[20201215] 우시산국 실존을 증명하다
  • 저서/역서[20201210] 동아시아사 입문
  • 저서/역서[20201120] 한국 고대 음악과 고려악
  • 저서/역서[20200305] 史記·漢書·後漢書·三國志
  • 저서/역서[20200301] 고등학교 한국사
  • 저서/역서[20200120] 대가야의 악(樂) : 가야금과 우륵 12곡
  • 저서/역서[20191231] (A) history of Korea
  • 저서/역서[20191231] 아라가야의 전환기, 4세기
  • 저서/역서[20191210] 질문하는 한국사1(고대)
  • 저서/역서[20191021] 문자와 고대 한국 2
  • 저서/역서[20191021] 문자와 고대 한국 1
  • 저서/역서[20190830] 백제 웅진기 외교관계와 인식
  • 저서/역서[20190510]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고대편)
  • 저서/역서[20181221] 신라와 백제, 소통과 갈등
  • 저서/역서[20180730] (이슈와 쟁점으로 읽는) 한국고대사
  • 저서/역서[20180710] 한국과 동아시아 동궁 연구
  • 저서/역서[20180628] 三國史記 본기의 원전과 편찬
  • 저서/역서[20170315] 한국 고대사 산책
  • 저서/역서[20170125] 한국사의 이해
  • 저서/역서[20161201] 신라사 총론
  • 저서/역서[20161201] 신라 왕권의 쇠퇴와 지배체제의 동요
  • 저서/역서[20161115] 한국 고대사. 1-2
  • 저서/역서[20151220] 서울 2천년사7-신라의 삼국통일과 한주
  • 저서/역서[20130225] 서울災害史
  • 저서/역서[20130222] 세계 속의 한국
  • 저서/역서[20110301] 중학교 역사(상)
  • 저서/역서[20110215] 중학교 역사(상) 교사용 지도서
  • 저서/역서[20101210] 한국역사민속학강의1<선사에서 고려까지>
  • 저서/역서[20100816] 한국고대의 수전농업과 수리시설
  • 학술발표[20171031] 신라 기악백희의 종류와 활용-구나무를 중심으로-
  • 학술발표[20171028] 통일전쟁기 신라백제 지배체제와 수취체계의 변동
  • 학술발표[20171026] 통일시대 한국고대사연구의 과제와 전망
  • 학술발표[20170915] 4~6세기 신라의 북진과 백제의 경계 변화
  • 학술발표[20161124] 한국고대사 속의 외래인, 이주와 삶-고대사회 도래인의 존재양태와 사회적 역할-
  • 학술발표[20161118] 고대 한중일 문화교류에 대한 고찰-소막차와 소지마리, 길간을 중심으로-
  • 학술발표[20151120] 신라의 북진경로와 한산주
  • 학술발표[20150912] 사로국의 건국과 그 주체세력
  • 학술발표[20150910] 신라 왕경의 방에 대한 종합적 고찰
  • 학술발표[20150807] 373년 고구려 율령의 반포 배경과 그 성격
  • 학술발표[20141204] 삼국유사 탑상편 황룡사종, 분황사약사, 봉덕사종조의 검토-봉덕사와 봉덕사종을 중심으로-
  • 학술발표[20141031] 8세기 신라의 대일외교와 동아시아인식
  • 학술발표[20140117] 신라 동북지방 국경과 그 변천에 관한 고찰
  • 학술발표[20130927] 경주 동천동 왕경유적의 성립과 그 성격
  • 학술발표[20130511] 가잠성의 위치와 그 전투의 역사적 성격
  • 학술발표[20121026] 4-6세기 신라의 동해안지역 경영
  • 학술발표[20111006] 조문국에서 추문촌으로-신라의 의성지역 지배방식의 변천을 중심으로-
  • 학술발표[20110728] 고대의 백희가무
  • 학술발표[20101119] 신라의 왕경과 소경
캠퍼스별 교무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