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지 사진

김미지 |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인문관)

  • 직급:
    부교수

교수소개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에서 서양사와 현대문학을 전공하고 <박태원 소설의 담론 구성방식과 수사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중국 북경대학에서 박사후 해외연수를 수행하고 한국어와 한국문학을 강의하였다. 서울대, 중앙대, 인천대 등에서 한국현대문학을 강의하였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를 역임하였다. 주된 연구 분야는 동아시아 문학 비교, 소설 언어와 번역, 서양문화와 한국 문학의 상호 관계 등이다.
주요 저서로 <누가 하이카라 여성을 데리고 사누>(2005), <박태원 문학 연구의 재인식>(공저, 2010), <언어의 놀이, 서사의 실험>(2014), <도시로 읽는 조선>(공저, 2019), <우리 안의 유럽, 기원과 시작>(2019), <한국 근대문학, 횡단의 상상>(2021) 등이 있다.

교육철학

인문학 소양을 바탕으로 주체성과 포용력을 실천할 수 있는 인재의 양성

학력

  • [1998] 학사 서울대학교 / 서양사학과
  • [2001] 석사 서울대학교 / 국어국문학과 / 현대소설
  • [2008] 박사 서울대학교 / 국어국문학과 / 현대소설

주요연구분야

한국 현대소설, 소설 언어와 문체
한중 문학 비교, 동아시아 문학
근대문학과 번역. 서양문학의 이입과 수용, 동서양 문학 교류

컨설팅 가능 분야

한국소설의 언어와 문체, 소설 창작과 비평
동아시아 문학 연구, 서양문학 수용과 번역

연구업적

  • 일반논문[20221231] 독서의 식민지적 조건과 양서(洋書) 읽기의 열망들
  • 일반논문[20221031] 초패왕 항우 서사의 근대적 변주와 다시쓰기의 욕망들 - 박태원과 궈모뤄(郭沫若), 장아이링(张爱玲)의 소설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220630] 1930년대 초 미국 좌익문학 수용과매체 네트워크 -동아시아의 업튼 싱클레어 열(熱)과 잡지 ‘뉴 매시스New Masses’의 상륙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220331] 『82년생 김지영』(2016)과 겹쳐 읽은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1993) - 페미니즘과 소설의 전략
  • 일반논문[20211231] 재북(월북) 작가 전무길(全武吉)과 식민지 시기 언론·문화 네트워크
  • 일반논문[20210830] 한중일의 ‘제임스 조이스’ 담론과 매체 네트워크
  • 일반논문[20201230] 기생(寄生)과 공생(共生) 사이-구인회 도시소설과 겹쳐 읽은 김유정 소설
  • 일반논문[20200930] 백신애 문학과 이동, 재현, 젠더의 정치
  • 일반논문[20200630] 괴테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의 동아시아적 변주 - 주요섭의 「첫사랑 값」과 궈모뤄(郭沫若)의「喀尔美萝姑娘」 겹쳐 읽기
  • 일반논문[20191231] 접경의 도시 상해와 ‘상하이 네트워크’ - 주요한(朱耀翰)의 ‘이동’의 궤적과 글쓰기 편력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90630] 17~19세기 조선 후기 문헌에 나타난 유럽과 유럽 상의 형성
  • 일반논문[20190228] 20세기 초 한국 문학의 장에 나타난 ‘문호 백년제’ 기획에 대한 고찰
  • 일반논문[20181231] 월북문인 해금의 이면—‘불화’의 소멸 그 이후
  • 일반논문[20180831] 20세기 초 동아시아에서 괴테 수용과 ‘베르테르’ 번역 비교 연구
  • 일반논문[20180630] 1883~84년 『한성순보』에 새겨진 ‘제국의 시대’와 동아시아 정보 전쟁
  • 일반논문[20180430] 한국 근대문학 연구에서 랑시에르의 ‘문학 정치’ 개념 적용에 관한 일고찰
  • 일반논문[20180430] 중국의 한국문학 연구 장과 박태원 연구
  • 일반논문[20170831] [한성순보]와 중국 개항장 신문의 관계에 대한 고찰
  • 일반논문[20160630] 박태원의 「만인의 행복」과 식민지 말기의 ‘행복론’이 도달한 자리
  • 일반논문[20160630] 동아시아와 식민지 조선에서 크로포트킨 번역의 경로들과 상호참조 양상 고찰
  • 일반논문[20151231] 모더니즘, 新感覺派, 现代主义 – 동아시아의 ‘modernism’ 문학 개념에 대한 일 고찰
  • 일반논문[20150930] 上海와 한국 근대문학의 횡단 (1) –상해의 조선인들과 ‘황포탄(黃浦灘)의 감각’
  • 일반논문[20140831] 식민지 조선의 ‘소녀’ 독자와 근대·대중·문학의 동시대성-일본 문학과 일본어 잡지 독서 경향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40831] 한국과 중국 모더니즘 문학의 통언어적 실천에 관한 일 고찰 - 이상, 박태원, 무스잉(穆時英)의 문학 언어를 중심으로
  • 저서/역서[20210525] 한국 근대문학, 횡단의 상상
  • 저서/역서[20190630] 우리 안의 유럽, 기원과 시작 : 근대의 문턱에서 조우한 유럽
  • 저서/역서[20190331] 도시로 읽는 조선 : 공간을 통해 본 우리 역사
  • 저서/역서[20140315] 언어의 놀이, 서사의 실험 : 박태원의 문학 세계와 탈경계의 수사학
  • 저서/역서[20050225] 누가 하이카라 여성을 데리고 사누 : 여학생과 연애
캠퍼스별 교무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