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뷰
게시판 뷰페이지
[산업연구] 42권 1호
작성자 경제학 정보교
날짜 2018.07.09
조회수 759
파일명

[산업연구] 41권 2호


1. Reversing the Materialistic Tide: The Effect of Message Framing on Charitable Giving

Jung Kyun Kim


Abstract


Industry reports indicate that charitable giving in the U.S. is in stagnation. This paper aims to better understand factors that influence charitable giving. Specifically, based on circumplex model of value (Schwartz 1992), the present research posits that materialism influences the likelihood of engaging in charitable giving and that the framing of fundraising appeals-self-benefit versus other-benefit-can moderate this relationship. Our experiment offers evidence that the effect of materialism on charitable giving depends on the way fundraising appeals are framed.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on materialism, charitable giving was lower among materialistic participants relative to their non-materialistic counterparts. However, this was only the case when the appeals highlighted the benefits of donation to the recipients (“other-benefit”). When appeals were focused on the benefits to the donor(“self-benefit”), materialistic participants were willing to donate a greater amount than their non-materialistic counterparts. Future studies are proposed to delve deeper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m and charitable giving.


Key Words : Donation, Charitable Giving, Nonprofit Marketing


--------------------------------------------------------------------------------------------------


2. 재난 구조산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스마트 시스템 구축: 장시간 사용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 기술을 중심으로

Establishment of Smart System for Efficiency Improvement of Disaster Relief Industry: Focused on Wearable Equipment Technology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정성우, 김영근(Sung Woo Chung, Young Geun Kim)


Abstract


대형 재난의 경우 자주 일어나지는 않지만 발생 시 수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된다. 이러한 인명 피해의 주된 원인 중 하나로 비효율적인 구조 활동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 작업의 비효율성을 낮추고 구조율을 제고하기 위해 재난 안전관리 스마트 시스템의 도입이 관련 산업에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재난 구조 활동에 있어 효율성을 높이는 재난 안전관리 스마트 시스템에 대한 기존 연구를 고찰하고 재난 구조산업에서의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기기를 사용한 재난 구조 시 음성정보의
에너지 효율적 전달을 위한 기술과 웨어러블 기기를 사용한 재난 구조 시 에너지 효율적인 지도 및 지형정보 공유 기술, 그리고 웨어러블 기기를 사용한 재난 구조 시 에너지 효율적인 실시간 구조 정보 공유 기술을 제안한다.


Key Words : 재난 구조산업, 안전관리, 스마트 시스템, 웨어러블 기기, 전력 관리


--------------------------------------------------------------------------------------------------


3. 브랜드인기도가 관광객의 기념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상황적 관여도와 적대감의 조절효과

Effect of Brand Popularity on Purchase Intention in the Context of Tourist Shopping: Moderation Effects of Situational Involvement and Animosity

김지헌, 왕리리(Kim Ji-Hern, Wang Lili)


Abstract


관광객들의 쇼핑활동은 소득수준 증가와 고용확대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 관광객들의 쇼핑활동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관광객들을 설득하여 제품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랜드인기도(예, 판매량 1위)를 광고단서로 활용하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관광객들의 긍정적인 브랜드 평가를 유도하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주기 위해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브랜드 인기도 단서를 활용하는 광고에 노출된 관광객들의 제품 구매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객들이 선물용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 선물 수신자에 대한 관여도 높은 경우보다는 낮은 경우에 브랜드인기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방문국가에 대한 적대감이 관광객들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주 효과는 가설과 같이 부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예상과 달리 적대감과 브랜드인기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Key Word : 브랜드인기도, 관여도, 적대감, 관광쇼핑, 기념품, 구매의도


--------------------------------------------------------------------------------------------------


4. 무상원조의 경제성장 효과: 한국의 지역별 중점협력 수원국들에서의 증거

Economic Growth Effects of Grants: Evidence From Regional Major Recipient Countries of Korea

윤상철(Sang-Chul Yoon)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38개 중점협력 수원국들을 대상으로 1996~2013년 기간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무상원조의 경제성장 효과를 지역별로 구분하여 실증분석한다. 동 분석결과에 의하면 우선 무상원조의 유입은 전반적으로 모든 지역별 중점협력 수원국들의 경제성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아시아지역에서 무상원조의 경제성장 효과가 아프리카의 경우 보다 크게 높게 나타나고, 중남미지역에서의 경제성장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무상원조의 경제성장 효과는 물가상승률로 측정된 거시정책 조건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나, 아시아와 아프리카지역에서는 일부 추정식에서 경제성장의 원조에 대한 수확체감의 증거가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Key Word : 무상원조, 경제성장, 거시경제정책조건, 비선형효과

--------------------------------------------------------------------------------------------------


5. 디자이너 브랜드 판매사원의 컨셉 이해도가 VMD 및 구매 의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cept Understanding by salespeople of Designer Brand on VMD and Consumer Decision Making

임점희(Lim, Jeom-Hee)


Abstract


오늘날 소비자들은 삶의 표현을 경제력, 교육수준에 맞춰 사회적 위치를 나타내고자 한다. 따라서, 소비유형의 발달이 시대와 함께 변천해 오면서 라이프스타일이 자리매김 되었다. 이 연구는 판매사원들의 라이프스타일의 컨셉 이해도, VMD(Visual Merchandising)구성 그리고
구매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에서의 중심으로 확고히 자리 잡은 미국의 P브랜드 한국 직원 대상으로 P브랜드의 남성, 여성, D&S (DenimSupply), 프리미엄 아울렛(Premium Outlet) 4개 라인(line)의 2010~2016년 사이에 진행되었던 시즌 컨셉을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243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Cronbach’α계수(신뢰도)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판매사원간의 컨셉 이해도, VMD, 구매 의사결정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성별, 학력에 따른 t-Test를 실시하였고, 직급, 근무라인, 근무경력에 따른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컨셉 이해도가 VMD 및 구매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위하여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학력의 유형 간에는 대학졸업이 고등졸업보다 VMD 점수가 높게 나왔다. 둘째, 근무라인 간에는 구매 의사결정에 있어서 D&S가 다른 3개의 변인에 비해 큰 점수를 보였다. 셋째, 컨셉 이해도는 VMD와 구매 의사결정에 직접효과를 주며 구매 의사결정은 매개변수 VMD를 통해 간접효과를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은 브랜드 BI의 더 구체적인 연구로서 브랜드 내부마케팅 측면에 기여도를 기대해 본다.


Key Word : 브랜드 시즌 컨셉, 라이프스타일(Lifestyle), VMD(Visual Merchandi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