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뷰
게시판 뷰페이지
[산업연구] 35권 1호
작성자 정해윤
날짜 2011.11.24
조회수 505
파일명

[산업연구] 35권 1호

1.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의 영향력 비교 연구-조직몰입에 미치는 팀/직무/개인 
   특성의 조절효과
  
A Differential Effect of Transformational/Transactional Leadership - Moderating
   effect of Team, Task,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이호선(Lee, Ho-Sun), 윤종우(Yoon, Jong-Woo)

Abstract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의 영향력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두 리더십 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 아울러 팀 특성, 직무특성,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10여개의 기업에서 수집한 197부의 설문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 모두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주고 있으며, 거래적 리더십보다 변혁적 리더십이 더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줄 때 정형적 직무특성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변혁적 리더십은 비정형적인 직무특성의 구성원들에게 그 효과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셋째,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줄 때 변화지향적 개인특성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변혁적 리더십은 변화지향적인 개인특성의 구성원들에게 그 효과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에 비해 조직몰입에 더 큰 영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오늘날과 같은 환경의 변화가 빠른 사회에서는 과거의 경영자들이 지녔던 권한이나 상위하달식의 역할이 퇴색되고 있으며, 미래에 대한 비전제시, 지적자극, 개별적 배려 등이 더 중요한 것임을 보여준다. 그리고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직무특성이 비정형적이고 개인 특성이 변화 지향적인 상황적 조건이 부합되어야 한다.

핵심주제어: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조직몰입, 팀 특성, 직무특성, 개인특성



2. 집단에너지사업의 정책 동향과 현안 과제
  
A Review on Korean Energy Policy for Community Heating System)
  
김진형 (Kim, Jin-Hyung), 최병렬 (Choi, Byung-Ryeal)

Abstract
 우리나라의 집단에너지사업은 에너지 절약 또는 이용효율화를 위한 정부의 공적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1985년에 서울의 목동지역에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이후 정부주도하에 강력하게 추진되던 집단에너지사업은 매년 성장을 거듭해, 2009년 말 현재 집단에너지시설에 의한 에너지 공급량은 국내 1차에너지 소비량의 2.9%를 차지하는 6,935천 TOE에 이르고 있다. 또한 지역난방의 보급실적은 전국 총 주택수의 13.1%에 달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집단에너지사업의 성장단계를 연대별로 세분해, 즉 1980년대의 집단에너지사업 도입기, 1990년대의 보급·확대기, 그리고 2000년대의 성장기로 나누어 이들 각 단계에서 정부가 추진한 정책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집단에너지사업은 지난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정부주도의 정책적 측면에서 추진되어 왔었던 반면 2000년대 이후는 시장주도의 환경으로 전환되고 있다. 그러므로 향후 관련정책도 소비자 선택권을 보장하고 시장원리를 확대 적용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것이며, 이를 위해 열요금제도 개선, 지역냉방사업 확대, 지역지정제도의 점진적 완화 등을 통해 자율적 시장환경이 우선적으로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핵심주제어:집단에너지사업, 열병합발전, 집단에너지사업법, 국가에너지 기본계획




3. 대입전형을 위한 수능 탐구영역 점수조정 연구
  
Score Adjustment between CSAT Optional Parts for the College Admission
   Decision
  
남보우 (Nam, Bo-Woo)

Abstract
 많은 대학들이 대입전형에서 교차지원을 허용하고 있으며, 탐구영역 응시집단 사이의 능력 차이를 반영하기 위하여 가산점을 부여한다. 대입전형 현실에서 가산점 부여에 대한 논리적 타당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가산점을 용이하게 정할 수 있도록 점수조정 방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교육평가 측정이론의 전통적인 세 가지 점수조정 방법을 활용하여 201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각 탐구영역에 대하여 가산점을 산정함 으로써 대입전형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서로 다른 탐구영역 사이에는 공통문항이나 공통응시자가 없으므로, 각 탐구영역 응시자가 공통으로 응시한 영역 중 점수조정에 활용할 수 있는 공변인을 선정하고, 공변인을 매개로 점수를 조정하고 비교하였다. 합집단 방법 등 보다 정교한 방법이 있지만, 대입전형에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연쇄방법을 적용하였다. 공변인 선정을 위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점수조정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평균차이 검정을 한 후, 연쇄방법으로 평균법, 선형법, 동백분위법을 적용하여 가산점을 산정하였다.
 점수조정 결과 직업탐구능력 응시집단의 경우 언어, 수리, 외국어 영역의 표준점수 평균이 사회탐구능력 응시집단보다 21점이 낮고, 백분위는 29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탐구영역은 사회탐구영역보다 평균적인 능력이 커서 2점 정도의 가산점이 필요하지만, 높은 점수대에서는 오히려 감점을 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평균법으로 탐구 영역 응시집단 간의 능력 차이를 확인한 후, 특정 모집단위 지원자의 수준에 따라 가산점을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된다.

핵심주제어:대입전형, 대학수학능력시험, 동등화, 점수조정, 교차지원, 가산점




4. 중소벤처기업의 특허개발과 활용 전략이 실용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rategy Securing and Utilizing Patent on Commercialization in
   the Small and Medium Venture Companies
  
조성진 (Cho, Sung-Jin), 설현도 (Seol, Hyun-Do)

Abstract
 
본 연구는 지금까지 대기업 중심으로 전개해 온 특허 개발과 활용에 따른 실용화를 중소벤처기업에 국한시켜 이들 기업의 특허개발과 활용전략 요인이 무엇인지, 실용화 단계에서의 성공요인과 애로요인은 무엇인지, 이들 간의 관계는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벤처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기업의 특허개발 유형을 분석한 결과 ‘자체개발 보유특허’가 있는 기업이 39개사(45.9%)인 것으로 나타났고, ‘공동개발 보유특허’가 있는 기업이 33개사(38.8%), ‘기술이전 및 라이선스 이전 보유 특허’가 있는 기업이 13개사(15.3%)로 나타났다.
 둘째, 특허를 자체개발 한 경우가 다른 개발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계강화전략과 실용화단계 성공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허를 공동개발 한 경우에는 다른 개발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장연계전략과 실용화단계 애로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주제어:특허개발, 성장연계전략, 관계강화전략, 실용화 성공요인, 실용화 애로요인




5. 최적 선택이론을 통한 중소기업의 ‘선물환 사용’ 기피 이해
  
Understanding less usage of foreign exchange forwards in small firms through
   optimal choice theories
  
김윤영 (Kim, Yun-Yeong)

Abstract
 
본고는 기업의 소유주가 위험 기피적이며 또 기업이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는 경우, 선물환이 시장의 합리적 기대를 반영하더라도 선물환을 이용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보인다. 여기서 기업이 선물환을 이용하지 않는 것은 선물환을 이용하는 경우 보다 유발 효용이 작기 때문인데 이런 성향은 다른 조건이 동일한 경우 한계요소 투입 생산성이 작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변동 현물환의 기대치(expectation) 에서 형성될 선물환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효용을 가져오게 되어 기업들이 선물환 사용을 기피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특히 왜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중소기업의 경우 선물환 등 외환파생 상품의 사용이 적은 지를 설명하는 이론이 될 수 있다.

핵심주제어:선물환, 요소투입의 한계생산성, 효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