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임 사진

김수임 | 대학원 상담학과 (소프트웨어 ICT관)

  • 직급:
    부교수

교수소개

대상관계이론, 정서 및 실존적 접근을 바탕으로 주로 대인관계와 성격, 마음건강 관련 연구와 상담실무에 종사해왔다. 또한 뇌과학을 기반으로 한 애착과 현대 정서조절이론에 관심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마음과 몸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을 하고자 한다. 주요 영역은 심리상담, 상담과정, 집단상담, 상담자수퍼비전 등이다. 한국상담학회 수련감독(심리치료, 기업) 및 한국상담심리학회 주슈퍼바이저로서 상담자 수련과 역량강화에 힘을 쏟고 있으며, 학부와 대학원에서 인간관계와 상담, 대상관계이론과 상담, 상담실습, 슈퍼비전, 집단상담, 공감과 존중 등의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교육철학

학생에 대한 인격적인 존중을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동반자로서 함께 성장해 나가는 것을 중요한 가치로 삼고 있으며, 지식 전달을 넘어 상호 소통과 관계를 기반으로 한 체험적 지식의 습득과 성장이 이루어지는 교육이 되기를 소망한다.

학력

  • [1996] 학사 서울대학교 / 언론정보학과
  • [2003] 석사 서울대학교 / 교육학과 / 교육상담
  • [2012] 박사 서울대학교 / 교육학과 / 교육상담

주요연구분야

심리상담(마음건강, 대인관계, 정서조절)
상담과정
상담자교육(수퍼비전)
집단상담

컨설팅 가능 분야

마음건강, 정서관리
상담자 수련
기업교육 및 상담
멘토링, 애도상담, 북한이탈주민상담

연구업적

  • 일반논문[20231231] 초심 상담수련생의 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일반논문[20230831] 반려동물 상실경험 자기개방이 심리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사회적 반응과 의도적 반추의 순차적 매개효과
  • 일반논문[20230630] 사이코드라마 초심전문가의 디렉팅 발달 경험
  • 일반논문[20230630]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심리적 불편감에 따른 군집별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차이
  • 일반논문[20230531] 북한이탈주민 상담의 특징과 효과적인 상담요인: 북한이탈주민 전문상담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221030] 인터넷 중독 성향의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일반논문[20220831] Adler 초기회상에 기반한 집단상담 참여자의 생활양식과대인관계 변화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일반논문[20220731]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과 경계선 성격 특성의 관계 : 자기체계 손상과 반응적 공격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 일반논문[20220630] 어린이집 아동학대로 의심받은 보육교사의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현상학적 연구
  • 일반논문[20220630] 화상 수퍼비전에서의 수퍼바이지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일반논문[20220630] 대학생의 연인과의 이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일반논문[20220430]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한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비대면 집단상담 실습 리더 경험
  • 일반논문[20220430] 코로나-19 상황에서 상담전공 학부생의 비대면 집단상담 실습 경험
  • 일반논문[20220331] 초심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일반논문[20211230] 상담전공 학부생을 위한 비대면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일반논문[20211209]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 of people living with HIV on integrative traditional East Asian medicine management in Korea: an interview protocol for qualitative research
  • 일반논문[20211130] 대학생 학업소진 관련 국내 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일반논문[20211031] 국내 심리상담 자격제도 법제화를 위한 제언: 미국과 일본의 사례 검토
  • 일반논문[20210330] 친족 성폭력 피해를 겪은 성인 여성의외상 후 성장 과정
  • 일반논문[20210228] 북한이탈주민 상담의 효과적인 개입요인: 국내 학술지 분석
  • 일반논문[20201230] 영유아 자위행위에 관한 부모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의사소통 이론을 기반으로
  • 일반논문[20200601] 성인대상 분노 조절 집단 프로그램 분석: 2001~2019년 국내 연구 중심으로
  • 일반논문[20200430] 집단원의 내사, 전이 및 집단분위기 인식 간의 관계
  • 일반논문[20200331] 친족 성폭력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 일반논문[20190601] 영유아 자위행위 실태와 부모의 대처반응 및 인식 분석: 성교육‧성상담센터 사이버상담사례 중심
  • 일반논문[20181230] BTS의 노래와 유엔연설문을 소비하는 청소년의 정서탐색과 심리표상 – 자아존중감의 회복 -
  • 일반논문[20181201] Clinical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Standardized for Insomnia: A Protocol fo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일반논문[20180401] 부정적 정서가 자살사고 및 습득된 자살 실행력에 미치는 영향: 혼합회귀모형 분석
  • 일반논문[20180228] 대기업 고성과자 내담자의 정량화 뇌파(qEEG)와 MMPI-2 프로파일의 비교
  • 일반논문[20171231] 국내 수치심 연구 동향: 주요 상담학술지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70831] 대학생의 자의식이 우울과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와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70630] 중소기업 EAP 담당자의 상담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일반논문[20170531]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 일반논문[20170430]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속박감의 매개효과와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
  • 일반논문[20161031] 조직 팀장의 경험수용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리더십 유연성의 매개효과와 배려 리더십의 조절효과
  • 일반논문[20160630] 대기업 대졸 신입사원의 이직고민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일반논문[20160229] 대인관계 반향메시지를 통한 집단원간 전이 분석: 사회관계모형(SRM)을 기반으로
  • 일반논문[20150630] 취약계층 청소년을 위한 효과적인 멘토링 슈퍼비전의 요소
  • 일반논문[20140430] 인지도식에 기반한기업 팀장의 리더십 유연성 작용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일반논문[20120831] 대인관계 반향메시지 원형모형 검사(IMI-C)의 타당화
  • 일반논문[20120229] 산후우울증 유병률 및 관련요인에 대한 메타연구: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11231] Effects of Children’s Negative Peer Schema on the Perception Bias of Peer Relationships
  • 일반논문[20111031] 대학생의 성인애착유형, 부모애착,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미결정의 관계: 조절된 매개모형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090930] 애착과 심리적 독립이 진로발달 및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 일반논문[20030630] SASB 모형의 내사 측면(introject surface)에 나타난 경계선적 성격특성
  • 저서/역서[20210705] 울분 : 사회적 심리학적 임상적 측면들
  • 저서/역서[20200815] 애착외상의 발달과 치료
  • 저서/역서[20190130] (직장인의 웰빙을 위한) 기업상담의 통합적 접근
  • 저서/역서[20160630] 학습 멘토링 길라잡이 : 멘토링 및 청소년 동반자 활동을 위한 상담적 접근
  • 저서/역서[20140320] (존 볼비의) 안전기지 : 애착이론의 임상적 적용
  • 저서/역서[20120120] 청소년 멘토링 길라잡이 : 대학생 멘토를 위한 실전 지침서
  • 저서/역서[20040430] 상호작용중심의 집단상담 : 대인관계적, 행동지향적, 정신역동적 접근의 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