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덕규 사진

박덕규 |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예술관디동)

  • 직급:
    초빙교수

교수소개

<문학 작품 활동 경력과 실제 교육의 연계>
소설 창작 경험을 비롯, 시 창작, 극본 창작, 문학평론 등 문학 현장에서의 직접 활동 경험을 교육 현장에서 살리고 있음.
<담당과목>
소설창작의 기초, 소설창작의 이론과 실제, 소설창작실기, 워크숍 등 창작 실기 과목에 대한 교육을 직접 담당하고 있고, 기타 문예창작의 이론과 실제과목, 문학과 문화콘텐츠 관련 과목을 맡고 있음.
<지향>
소설 창작을 중심에 두고 문학작품의 원소스 멀티유즈화에 대한 이론화와 실제화에 노력하고, 문학과 문화의 관련에 대해 항상 실천적으로 연구하고 실용적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려 함.
<문학 경력>
1980년 시인 등단 이후 시집 <아름다운 사냥><골목을 나는 나비><날 두고 가라>,1982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으로 문학평론가 등단 이후 평론집 <시의 세상 그늘 속까지><문학과 탐색의 정신><사랑을 노래하라><시인열전><문학공간과 글로컬리즘><강소천 평전><17살에 알아야 할 우리 얼잡이 17> 1994년 <상상>을 통해 소설가 등단 이후 소설집 <날아라 거북이!><포구에서 온 편지> 장편소설 <시인들이 살았던 집><밥과 사랑><사명대사 일본탐정기>(토끼전2020>, 탈북소재소설선 <함께 있어도 외로움에 떠는 당신들> 등 다수. 창작오페라 극본 <정조대왕의 꿈>(예술의전당, 2005.1. 초연), 뮤지컬 극본 <시 뭐꼬?>(진해시민회관,2007.9. 초연), <안녕 아무르>(극장 예, 2010.4 초연) 등, 애니메이션 극본 <그날>(황순원문학관 상연중), 창작동화 <옥수수 탐정>(2004) <쉿! 쪽지를 조심해>(2007) <라니>(2011) 등, 소설창작실기 교재 <단편소설 독작술>(2013)) 등. 편저 <온 가족이 함께 읽는 중국역사 이야기>(전14,2005) 등.
<수상 경력>
1982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1982년 한국문학 신인상,1992년 편운문학상, 2001년 경희문학상, 2015년 이상화시문학상, 2018 서정시학작품상 등 수상.
<유관기관 경력>
한국문예창작학회 회장, 문화체육관광부 문학진흥정책위원, 문화체육관광부 국립한국문학관 자문위원 등 역임.

학력

  • [1984] 석사 경희대학교 / 국어국문과
  • [2004] 박사 단국대학교 / 문예창작학과

주요연구분야

문화콘텐츠 기획과 창작
소설 창작과 소설론
현대문학의 이론과 창작

컨설팅 가능 분야

문학교육, 소설창작, 문예창작,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문학이론, 아동문학, 공연영상물 극본, 창작, 문학관 건립기획, 문화예술기행, 문화기획, 문학미술전시, 문학교육프로그램, 문예잡지 기획 편집, 문예교육지도교사 자격시험, 지역문화경영 컨설팅

연구업적

  • 문예창작[20230331] [평론]대구 아동문학을 빛낸 인문들 - 근대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 문예창작[20230330] [소설] 흰 산 기슭
  • 문예창작[20221220] [시] 발칸대장
  • 문예창작[20221215] [평론] 談-論-形
  • 문예창작[20221201] [평론]문학의 의미가 자라는 이야기 - 이상화의 「빼앗기는 들에도 봄은 오는가」로부터
  • 문예창작[20220601] [시] 웃는 남자
  • 문예창작[20220601] [시]모래밭
  • 문예창작[20211220] [평론] 한국 단편소설은 어떻게 서사를 응축하는가
  • 문예창작[20211203] [평론] 집약에서 상징으로
  • 문예창작[20211201] [수필] 알을 품는 앎으로 살기
  • 문예창작[20211010] [수필] 거기
  • 문예창작[20210925] [평론] 한국 아동문학의 장르적 증거 - 윤석중 동시의 서사성을 통해 -
  • 문예창작[20210915] [평론] 서사와 이미지, 인식과 경험 - 《에세이문학》 2021년 여름호(154호)를 읽고
  • 문예창작[20210901] [평론] 그리고 그 다음이 있었다 - 분단서사의 변주와 확장으로 본 김원일 문학
  • 문예창작[20210901] [수필] 그날의 기적소리
  • 문예창작[20210601] [평론] 존재론적 증명으로서의 시 - 문효치 시집 『바위 가라사대』
  • 문예창작[20210315] [평론] 경계의 아우름, 수필의 장르적 개안
  • 문예창작[20210315] [평론] 사랑의 유토피아
  • 문예창작[20201205] [시] 사다리와 꽃
  • 문예창작[20201205] [시] 기적소리
  • 문예창작[20201201] [수필] 위드 코로나, 문학은 이제 자기 팔을 훨씬 넓게 벌려야
  • 문예창작[20201020] [평론] 원본으로 다시 보는 《步兵과 더불어》
  • 문예창작[20200910] [평론] 적은 말수, 느린 어투로 다하지 못한 말은
  • 문예창작[20200901] [수필] 안녕, 김춘수! - 「하현달」부근
  • 문예창작[20200525] [시] 가방
  • 문예창작[20200525] [시] 깊은 곳
  • 문예창작[20200301] [시] 두더지 시인
  • 문예창작[20200301] [시] 어느 부도덕한 한때
  • 문예창작[20191230] [수필] 구름이 머흐레라
  • 문예창작[20191201] [시] 충무김밥
  • 문예창작[20190915] (시) 인간의 집
  • 문예창작[20190915] (시) 그 숲을 생각하며 - 이홍섭 시인에게
  • 문예창작[20190910] (시) 눈의 여왕
  • 문예창작[20190910] (시) 판소리 2020
  • 문예창작[20190901] (시) 은근하게 치열하게 - 넥타이 1
  • 문예창작[20190901] [시] 꽃
  • 문예창작[20190710] 그래서 기행은 계속된다
  • 문예창작[20190530] 한 이민자의 문학적 인생 - LA 문인 최경희의 경우
  • 문예창작[20190430] (평론) 어느 글쓰기 탐험가의 이색적인 글 탐험 ― 송희복, 『윤동주를 위한 강의록』
  • 문예창작[20190410] (문학평론) -작품의 탄생- 나비와 시
  • 문예창작[20190305] (수필) 구름이 머흐레라
  • 문예창작[20190304] (평론) 불모의 땅에서 문학을 한다는 것 ― 미주 한인 시인 임혜신과 대화하기
  • 문예창작[20181205] (평론) 최선의 아침을 향해 나지막이 - 대구에서 이규리 시인을 만나다
  • 문예창작[20181005] (평론) 나와 또 다른 나 사이 - 1.5세 시인 고현혜 또는 Thnya Ko Hong을 만나며
  • 문예창작[20180901] (시) 감꽃
  • 문예창작[20180901] (시) 유목민
  • 문예창작[20180725] (평론) 광화문의 시학 - 2018년 여름에 시인 곽효환과 함께 서서
  • 문예창작[20180615] (시) 마지막모국어
  • 문예창작[20180601] (시) 나비의 사랑
  • 문예창작[20180525] (평론) 21세기를 사는 자연살이의 서정세계 - 시인 복효근을 만나다
  • 문예창작[20180325] (평론) 없는 세계를 찾아가는 영원한 노마드 - 박정대와 함께
  • 문예창작[20180315] (시) 국적
  • 문예창작[20180315] (시) 바다와 나비의 사랑
  • 문예창작[20180302] (시) 시월 논문
  • 문예창작[20180301] (시) 나이테
  • 문예창작[20180301] (시) 가족 시편
  • 문예창작[20180301] (시) 봄
  • 문예창작[20180301] (시) 폭포
  • 문예창작[20180301] (시) 사람시편
  • 문예창작[20180301] (수필) 바라봄의 시학
  • 문예창작[20180125] (평론) 공포를 품은 매혹의 세계 -이원과 함께 애플스토어를 찾다
  • 문예창작[20171125] (시) 날 두고 가라
  • 문예창작[20171125] (평론) <시인은 무엇으로 사는가> 모성의 무한 양분을 받아 옆으로 아래로 -천안에서 만난 이정록
  • 문예창작[20170910] (시) 파도치는 사람
  • 문예창작[20170910] (시) 젖은 기억
  • 문예창작[20170725] (평론) 고향에서 '건달'로 살기-강릉에서 이홍섭을 만나다
  • 문예창작[20170601] (시) 용인 사람
  • 문예창작[20170310] (시) 시 없는 세상에 살면서
  • 문예창작[20170310] (시)나는 소녀를 사랑한다
  • 문예창작[20170228] (수필)국가와 민족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되는 때
  • 문예창작[20170109] (평론)황순원론-순수와 절제의 극을 이룬 작가 황순원
  • 문예창작[20161229] (시)뉴스가 흐를 때
  • 문예창작[20161226] (시)새가 날아간 뒤
  • 문예창작[20161201] (시)수성벌
  • 문예창작[20161201] (시)모래밥
  • 문예창작[20161201] (소설작평)뉴스아트 시대의 소설쓰기
  • 문예창작[20161201] (시)유토피아
  • 문예창작[20161201] (시)곰곰
  • 문예창작[20160919] (평론)과학을 품는 문학
  • 문예창작[20160901] (평론)신봉승 역사문학의 자리
  • 문예창작[20160901] (평론)신의 정원에서
  • 문예창작[20160601] 공간 창출의 의미
  • 문예창작[20160601] 생애의 괄호를 채우면서
  • 문예창작[20160501] 지나간 시인, 오늘 우리를 위한 얼잡이
  • 문예창작[20160401] 문학의 '78수'
  • 문예창작[20160301] (시)사랑의 맹세
  • 문예창작[20160301] 농민 작가와 분단 작가
  • 문예창작[20160301] (시)나무의 꿈
  • 문예창작[20151230] (수필)"나의 살던 고향은 대구형무소, 그 속에서 놀던 때가…"
  • 문예창작[20151201] (시)슬픈 시
  • 문예창작[20151201] (시)단풍
  • 문예창작[20151015] (평론)글, 쓰기와 짓기의 대화
  • 문예창작[20151001] (평론)절정의 기를 모은 이때
  • 문예창작[20150901] (시)방파제에서
  • 문예창작[20150901] (시)전쟁과 평화
  • 문예창작[20150615] (시) 꽃잎의 여자
  • 문예창작[20150615] (시)온몸으로 아주 온몸으로
  • 문예창작[20150601] (시)까마귀
  • 문예창작[20150601] (시)바닥
  • 문예창작[20150601] (단편소설)사람의 별
  • 문예창작[20150525] (시)지역구
  • 문예창작[20150401] (수필)1980년 어느 눈 오는 날의 기억
  • 문예창작[20150228] (시)카인과 아벨
  • 문예창작[20150228] (시)태극기 휘날리며
  • 문예창작[20150225] (시)등이 아픈 사랑
  • 문예창작[20141205] (시)땀띠
  • 문예창작[20140916] (시)나비가족
  • 문예창작[20140916] (시)골목2
  • 문예창작[20140905] (소설)구부러진 물길
  • 문예창작[20140901] (시)독서
  • 문예창작[20140401] (평론)문학공간의 의미 재점검
  • 문예창작[20140301] (소설)조선족 소녀
  • 문예창작[20131215] (시) 밤에 앉아서
  • 문예창작[20131215] (시) 변신
  • 문예창작[20130901] (시) 붉은여우
  • 문예창작[20130601] (시) 짐승과 인간의 시간
  • 문예창작[20130601] (평론) 부싯돌과 섬광의 새로운 나날을 위해
  • 문예창작[20120531] (시) 옅은 구름2
  • 문예창작[20120531] (시) 무의미
  • 문예창작[20120215] (시) 수원역
  • 문예창작[20120215] (시) 파란 달 아래
  • 문예창작[20120215] (시) 술집
  • 문예창작[20111231] (시) 수술 전야
  • 문예창작[20111231] (시) 코끼리 똥
  • 문예창작[20111125] (시) 염치 있는 상속
  • 문예창작[20111125] (시) 샘물
  • 문예창작[20111120] (시) 명령 불복종
  • 문예창작[20111120] (시) 사진
  • 문예창작[20110901] (시) 그냥 펭귄입니다
  • 문예창작[20110901] (시) 21세기 비 오는 날
  • 문예창작[20110901] (시) 명작 스캔들
  • 문예창작[20110901] (시) 세라의 발
  • 문예창작[20110901] (시) 예의바른 흡연
  • 문예창작[20110901] (시) 원수의 역사
  • 문예창작[20110901] (시) 습작생
  • 문예창작[20110901] (시) 남자는 울지 않는다
  • 문예창작[20110901] (시) 메시아
  • 문예창작[20110901] (시) 속주머니 터지다
  • 문예창작[20110731] (시) 가족의 역사
  • 문예창작[20100301] 라니
  • 문예창작[20070914] 동화는 어떻게 단련되는가
  • 문예창작[20070610] (평론) 시 놀이 하는 우리들의 들판
  • 문예창작[20070601] (평론)노래방시대의 소설쓰기
  • 문예창작[20070310] 비평시극 「팽이의 춤」
  • 문예창작[20060310] 음악극-윤동주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전편)(후편)
  • 문예창작[20060301] 지금, 여기의 동시를 위하여
  • 문예창작[20051201] 사막을 건너온 염소(중편동화)
  • 문예창작[20050808] 공포(비밀의 방)
  • 문예창작[20050531] 한국문학 공간과 문화콘텐츠(땅과 무리문학)
  • 문예창작[20050401] 정조대왕의 꿈
  • 문예창작[20050305] 시를 어떻게 만날 것인가(시와 상징)
  • 연구보고서[20050915] 지역문화지도사 양성과 활용 방안
  • 일반논문[20230630] 단편소설 서사기법으로서의 3S 플롯
  • 일반논문[20221201] 근대문인의 문학관 건립 및 기념사업 방안 연구 - 민태원(서산시), 류주현(여주시)의 지역상징 작업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211201] 일인칭 관찰자 시점의 창작효과 - 「모든 영광은」, 「벌레 이야기」의 지연 효과를 중심으로(1)
  • 일반논문[20201201] 종군 체험의 시적 형상화 양상 — 유치환의 『步兵과 더불어』의 경우
  • 일반논문[20191201] 지역문학의 주체적 정립을 위한 시론(試論) — 근대 대구문학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81231] ‘북한현실’의 문학적 형상화의 의미— 『고발』과 『잔혹한 선물』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71201] 지역문학관 상설 전시실 조성 방안 연구— 기형도문학관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70801] 탈북동화 속 탈북아동의 현실 투영 연구
  • 일반논문[20160801] 결혼이주여성의 소설적 형상화 양상—200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51201] 탈북문학의 형성과 전개 양상
  • 일반논문[20141201] 강소천의『호박꽃초롱』발간 배경 연구
  • 일반논문[20140831] 북한이탈주민 시의 ‘그림자(Shadow)’ 형상화 문제 -장진성의 시집과 수기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40731] 분단 접경지역 문학공간의 의미-철원 배경의 소설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31230] 김수영 스토리텔링을 위한 시론試論 -21세기에 공개된 분단체험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20430] 임진왜란 포로 문제의 스토리텔링 방향(1)-강항의 『간양록』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10830] 북한 연극에서의 수령형상미학 양상 승리의 기치따라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10331] 6.25 피난 공간의 문화적 의미-황순원의 <곡예사> 외 3편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00830] 북한의 혁명연극『성황당』론
  • 일반논문[20090830] 문학공간의 명소화(名所化)와 문화산업화 문제
  • 일반논문[20080630] 지역문화 스토리텔링 활성화를 위한 시론
  • 일반논문[20061230] 문학공간의 문학관 조성 방안과 문화산업화 전략
  • 일반논문[20051228] 문학예술기행의 문화산업적 의미
  • 일반논문[20050625] 지역문화시대의 전문 인력 활용 방안
  • 저서/역서[20210115] 박덕규 문학인터뷰 : 시인은 지구에서 어떻게 숨 쉬는가
  • 저서/역서[20201215] 미주 한인문학
  • 저서/역서[20191120] 날 두고 가라
  • 저서/역서[20180110] 토끼전 2020 : 박덕규 장편소설
  • 저서/역서[20171027] 신숙주 평전
  • 저서/역서[20170915] 미국의 수필 폭풍
  • 저서/역서[20170120] 17살에 만나야 할 우리 얼잡이 17
  • 저서/역서[20150610] 강소천 평전
  • 저서/역서[20141128] 골목을 나는 나비
  • 저서/역서[20140220] 한국소설의 추리기법
  • 저서/역서[20131010] 단편소설 독작술
  • 저서/역서[20130825] (김수영의) 온몸시학
  • 저서/역서[20121210] 함께 있어도 외로움에 떠는 당신들
  • 저서/역서[20121210] 탈북 디아스포라
  • 저서/역서[20120625] 김춘수의 무의미시
  • 저서/역서[20120209] 라니
  • 저서/역서[20110920] 문학공간과 글로컬리즘
  • 저서/역서[20100430] 사명대사 일본탐정기
  • 저서/역서[20100302] 안녕, 아무르
  • 저서/역서[20071201] 소설보다 재미있는 소설쓰기
  • 저서/역서[20060310] (편저)참새네 칠판
  • 저서/역서[20051130] (편저)100년 동안의 한국대표단편소설
  • 저서/역서[20051101] (편저)온 가족이 함께하는 중국 역사 이야기
  • 학술발표[20160201] Literature Exists for Communications aqnd Co-prosperity
  • 학술발표[20151103] 소통의 상생을 향한 시의 발걸음
  • 학술발표[20140703] Diapora of escaping North Korea, and literature
  • 학술발표[20130705] Conceiving the Storytelling on Korean Literary History
  • 학술발표[20120210] ESCRITURA CREATIVA ESPIRITU ERUDITO DE ORIENTE
  • 학술발표[20111217] 대구의 역사문화유적과 스토리텔링
  • 학술발표[20111216] 통일시대를 대비한 분단 유물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 학술발표[20110712] Reconciliation, Struggle and Transformation -Koreans in Modern History represented in Three Post-war Novels-
  • 학술발표[20100702] The Internationality of Korean Poetry for Children
  • 학술발표[20100626] 사명대사의 일본탐정과 문화콘텐츠
  • 학술발표[20091202] 문학공간으로서의 '피난지'의 의미 - 황순원의 '6.25 피난 체험'을 중심으로The Literary Space
  • 학술발표[20080627] 19세기 말 조선 이주민의 압록강 월경(越境)과 간도 디아스포라 체험 : 김주영의 소설 '야정'의 경우
  • 학술발표[20080419] 지역문화 체험의 스토리텔링과 이야기작가의 탄생
  • 학술발표[20070809] A Message from Wild Animals
  • 학술발표[20070129] How Does a Novel Deal With Economic Development
  • 학술발표[20060204] Hometown, Home-Leaving, Home-Coming, Home-Coming Novel
  • 학술발표[20050618] El tipo de trabajo del protagonista que las novelas coreanas suelen tra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