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근 |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사범관)
- 전화번호 :031-8005-2270
- 이메일 :
- 직급:교수
교수소개
학부 졸업 후 서울 강일중학교 특수학급과 삼육재활학교에서 특수교사로 근무하였다.
일리노이대학교에서 중도중복장애 교사양성 프로그램 실습 수퍼바이저(practicum supervisor)와 전환교육연구소(TRI) 연구원(information specialist)을 지냈다.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2007, 2010, 2015 개정)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2019)을 개발하였다. 장애인이 특별한 교육적 지원 요구를 갖는 것은 시민으로서 정당하고 보편적인 것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교육과정, 통합교육, 전환교육, 특수교육공학, 정책, 성 교육, 평생교육 등 지적장애와 지체장애를 중심으로 중도중복장애인에게 필요한 모든 영역이 연구 주제이다. 현재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 Disabilities 편집위원,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회장, 단국대 인권센터장을 맡고 있다.
학력
- [1994] 학사 단국대학교 / 특수교육과
- [1998] 석사 Pennsylvania State Univ. / 특수교육과
- [2003] 박사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 Champaign / 특수교육과 / 중증장애아교육
주요경력
- 삼육재활학교 (1994-09-01)
- 일리노이대학교 전환교육연구소 (2000-01-18)
- Carie Busey Elementary School (2001-06-13)
주요연구분야
중도중복 장애(지체장애, 지적장애, 자폐성 장애) 교육, 교육과정(사회과), 평생교육. 특수교육 정책,전환교육, 특수교육공학
컨설팅 가능 분야
중도중복 장애(지체장애, 지적장애, 감각중복) 교육, 교육과정, 통합교육,직업전환교육 프로그램, 장애인 평생교육 및 고등교육, 특수교육공학, 특수교육 정책
연구업적
- 연구보고서[20160731] 표시과목별 중등교사 자격기준과 평가영역 및 평가내용요소 개발 보완 연구
- 연구보고서[20131220]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모형
- 연구보고서[20071230]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정 시안 수정보완 연구
- 연구보고서[20061230]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개정(시안) 연구 개발
- 연구보고서[20061218] 특수교육 발전 종합계획('08~'12)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 연구보고서[20061031] 장애인 인체치수 및 동작패턴 측정조사사업
- 연구보고서[20050630] 학습장애학생 선별검사도구 표준화 연구(1차)
- 연구보고서[20050413] 장애 대학생 학습 활동 지원 교강사 가이드북
- 일반논문[20230630] 시민연극이 지닌 사회적 역할로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가능성
- 일반논문[20230215]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일반논문[20230131]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between Special Schools and General Schools
- 일반논문[20221221] 발달장애 청소년 경제·금융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
- 일반논문[20220731] Active Life Valued Employment Model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and Multiple Disabilities(Active Life Valued Employment Model)
- 일반논문[20220430]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n 'Communication Routine Strategy' for Expanding Intentional Communication Repertoire of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일반논문[20220331]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과 활동 특성
- 일반논문[20220331] 중도장애 유아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행 방안
- 일반논문[20220331]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유권자 교육의 필요성 및 지원 방안
- 일반논문[20220331] 중복발달장애인 고용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 탐색 연구: 전문가 패널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211231] 특수학교 가상현실 교육공간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일반논문[20211030] Post-School Transition Challeng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Nepal: Perspective from Disability Interpretive Lens
- 일반논문[20211001] 장애 청소년 여가스포츠 참여 활성화를 위한 중요요인과 상대적 중요도 분석
- 일반논문[20210930]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발달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
- 일반논문[20210731] 중도중복장애학생 출현율과 교육적 배치 및 장애 특성
- 일반논문[20210601] 특수학교 재구조화 모델 개발 및 적용 방안 탐색 : 강원도 춘천시 소재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210525] 유아특수교육과 작업치료지원의 협력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 일반논문[20210510] ‘특수학급 개인화 학습모형(Personalized Learning Model–Special Education Classes; PLM-S)’의 실천 전략 개발 연구
- 일반논문[20210307] 교육과정기반 치료지원을 위한 특수교사-물리치료사간 협력적 팀 접근 방안연구
- 일반논문[20200930] 발달장애학생의 정치참여를 위한 민주시민성 교육의 방향과 과제
- 일반논문[20200910] 기본 교육과정 범교과 주제 학습을 위한 발달장애학생 초·중·고 독도교육 교재 분석
- 일반논문[20200831] 발달장애인 가족 기업 창업사례가 시사하는 특수학교 전공과 진로‧직업 교육의 방향성
- 일반논문[20200630] 네팔 특수학교의 효과적인 지적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과제
- 일반논문[20200630]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독도교육의 실태와 방향
- 일반논문[20200630]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의 개념과 방향성에 대한 탐색적 고찰: 초점집단면담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91231] 뇌성마비 아동의 연령과 대동작 기능 분류체계에 따른 근력강화 중재의 유형에 대한 문헌분석
- 일반논문[20191231] 시각·지적 중복장애 자녀를 둔 학부모의 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 일반논문[20191227]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알고리즘 학습과 사회성 기술을 위한 언플러그드 협동학습 사례 연구
- 일반논문[20191201] 중국계 다문화가정 장애학생 학부모의 초등학교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
- 일반논문[20191031] Effectiveness of 360-degree virtual reality video as community simulation learning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 일반논문[20190930] 좋은 수학수업에 대한 예비 특수교사의 인식 조사
- 일반논문[20190731] Definition and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recogniz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 일반논문[20181231] 중도 지적장애 중학생의 수학 교과 분류 과제 수행 특성
- 일반논문[20181020] 지체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스위치 기술 교수·학습 모형 연구
- 일반논문[20180930] 중도·중복장애 관련 장애 명칭과 교육 특성 분석: 미국 학술지에 발표된 중재연구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80630] 지방자치단체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조례 분석 연구
- 일반논문[20180420] 재택순회교육 과정에서 특수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개선 방안
- 일반논문[20180331] 지적장애 중학생의 진로탐색을 위한 ‘진로와 직업’과 ‘미술’ 교과통합 수업 사례 연구
- 일반논문[20180228] 교과서 시각자료 유형에 따른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내용 이해 효과 분석
- 일반논문[20180120]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증강현실 학습컨텐츠 기반의 중학교 지리 통합수업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 일반논문[20170720] 인공지능 테크놀로지 시대의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제언
- 일반논문[20170625]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교과성취기준의 성교육 내용 분석
- 일반논문[20170331] 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이 주력하고 있는 교육 목표의 내용과 범주 비교 및 키워드 분석
- 일반논문[20161031] 의사소통장애 아동을 위한 AAC 중재에시각장면 디스플레이(Visual Scene Display) 적용을 위한 탐색
- 일반논문[20160930] 스마트러닝 기반의 직업교육이 정서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의 도서 분류작업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데이터마이닝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 일반논문[20160930] 장애학생이 중심이 되는 IEP 참여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실태
- 일반논문[20160930] ‘삶’ 중심의 사회과 융합 교육과정 설계의 논리와 과제-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 일반논문[20160420] 시각·지체장애학생의 교육 지원에 대한 개별화교육지원팀 구성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일반논문[20151231] 토커 스위치를 활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중도중복장애 유아의 요구하기 행동 및 상징 사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일반논문[20151231] 반다이크 사정을 활용한 중도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특성 연구
- 일반논문[2015090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학교 수준 교육과정 편성 운영 자율성에 관한 실태 분석
- 일반논문[20150701] 발달장애인을 위한 통합형 고등교육 프로그램 속성에 대한 소고
- 일반논문[20150101] 지체장애 학생의 전환교육을 위한 요소 고찰
- 일반논문[20141201]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에 대한특수학교 교사의 인식
- 일반논문[20140630] 초등 사회 및 과학과 교수적 수정 적용 연구 분석
- 일반논문[20140601] 스마트 폰 앱 기반의 직업교육이 자폐스펙트럼장애 고등학생의 도서 분류작업 수행에 미치는 효과
- 일반논문[20140531] 지적장애 학생의 기초직업능력 구성요인 및 하위내용 탐색
- 일반논문[20140401] 고용변인에 따른 지적장애학생의 기초직업능력 구성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
- 일반논문[20130901]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바우처를 활용한 치료지원 운영에 관한 조사연구
- 일반논문[20130401] 특수학교의 직업전환교육에 대한 지역사회 기관의 인식: 개별화전환교육계획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21130] 고등학교 완전통합학급에 배치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 및 진학지도 현황과 개선 방안
- 일반논문[20120630] 중도장애학생의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교육의 실제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 일반논문[20120331]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방법 분석: 기본 교육과정과 공통교육과정의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10930] 지체장애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관한 운영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일반논문[20110831]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 모델 개발의 현황과 과제
- 일반논문[20110420] 중재학습경험전략을 적용한 이야기책 읽기가 중도뇌성마비학생의 어휘력 및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일반논문[20110228] 기능적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과령의 정신지체 학생의 수학과 측정 영역 학습에 미치는 효과
- 일반논문[20110228]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자폐성 장애 아동의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 저서/역서[20201113]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 해설 및 운영자료: 배움을 잇다, 즐거움이 있다
- 저서/역서[20170725] (최신) 특수교육
- 저서/역서[20170320] 중도장애학생의 교육
- 저서/역서[20150115] 시각중복장애아동을 위한 촉각 교수 전략
- 저서/역서[20140520] 중도장애학생을 위한 문해교육
- 저서/역서[20140501] 발달장애아동 자립생활 가르치기
- 저서/역서[20130301]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사회 (다)
- 저서/역서[20130301]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사회 (나)
- 저서/역서[20130301]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사회(가)
- 저서/역서[20130228]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
- 저서/역서[20110301] 특수교육 농업
- 저서/역서[20110301] 특수교육 농업(교사용 지도서)
- 저서/역서[20110301] 특수교육 직업과 생활(교사용 지도서)
- 저서/역서[20110301] 특수교육 직업과 생활
- 저서/역서[20110225] 중등특수교육 교수방법
- 저서/역서[20101025] 발달장애학생의 성교육: 교사와 부모를 위한 지침서
- 저서/역서[20100310] 특수교육학개론 장애.영재아동의 이해
- 저서/역서[20090831] 함께하는 사회를 지향하는 특수교육학
- 저서/역서[20090301] 기본 교육과정 사회 1,2,3
- 저서/역서[20090301] 교사용 지도서 기본 교육과정 사회
- 저서/역서[20090301] 특수학교 교육과정 해설(II) 기본 교육과정
- 저서/역서[20090125] 영유아 캐롤라이나 교육과정 3세-6세
- 저서/역서[20080925] PKBS-2 영.유아 행동 척도
- 저서/역서[20080215] 중도장애학생의 교육 제6판
- 학술발표[20160820] 2015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의 특성
- 학술발표[20160528] 스마트러닝 기반의 직업교육이 자폐스펙트럼장애 고등학생의 도서 분류작업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 학술발표[20160107] 중도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 교실 환경과 교수학습의 실제
- 학술발표[20150530]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학교 수준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관한 실태 분석
- 학술발표[20150530]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UDL 기반 스마트 교실 구축 및 활용 사례
- 학술발표[20130622]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기본 교육과정 적용 방안
- 학술발표[20130622] 반다이크 사정을 활용한 중도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특성 연구
- 학술발표[20130622] 중도자폐성 장애학생의 성행동 중재 사례 연구
- 학술발표[20130610] 중등특수교사의 교과교육 실태와 시사점
- 학술발표[20120519] 특수교육 장면에서의 UDL 적용: 교수 방법적 실제
- 학술발표[20111022] 지체장애 특수학교 학급의 복수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 학술발표[20111022] 사회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실태 및 교사 인식 -지체장애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 학술발표[20111022] 장애성인을 위한 비정규대학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부모의 인식
- 학술발표[20110607]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학술발표[20110128] 중재학습경험전략이 비구어 뇌성마비학생의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학술발표[20101209] Phonological awareness and decoding on nonverbal students with cerebral palsy(direct instruction)
- 학술발표[20101209] Co-workers' evaluation of factors to job retention for employees with severe disabilities
- 학술발표[20101209] Development of occupation and job specifi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 학술발표[20090115] 중도중복장애개념, 진단평가 및 교육지원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술발표[20090115] 제조업종에 종사하는 지적 장애인 직업유지 요인에 대한 동료 근로자의 평가
- 학술발표[20080405] Cooperative supports for students with devere disabilities who have chronic health conditions
- 학술발표[20071206] Educational considerations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have rare diseases
- 학술발표[20071013] 경기 북부지역 중학교의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
- 학술발표[20061021] 중증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학교중심건강관리 실태 및 지원체계 모형의 제안
- 학술발표[20061021] 학령기 이후 장애인의 고등교육방안 탐색
- 학술발표[20060909] 지역사회 자원을 연계한 정신지체인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전환교육 프로그램
- 학술발표[20060527] 관련서비스와의 관계속에서 살펴본 특수교육에 대한 소고
- 학술발표[20030521] Exploring middle school friendships and friendship expectations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