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효녕 사진

윤효녕 |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인문관)

  • 직급:
    교수

교수소개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학위논문은 {행위의 시학: 바이런의 탈중심적 담론}으로서,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 바이런의 작품들을 포스트모더니즘적 담론이론에 입각하여 연구한 것이다.
1986년 본교 교수로 부임한 이래 영미시 관련 과목들을 강의하고 있으며, 1989부터 이듬해까지 Fulbright 장학금으로 Harvard 대학교 영문과에서 연구 및 수학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영미시와 19세기 영국문화 및 최신 비평이론이며, 저서로 {19세기 자연과학과 자연관}(공저), {주체 개념의 비판: 데리다, 라캉, 알튀세, 푸코}(공저), {바이런의 유물론적 시학}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 {마르크스주의와 해체론}(원서: Michael Ryan, Marxism and Deconstruction)이 있다.
19세기영어권문학회, 한국예이츠학회, 영미문학연구회, 한국영어영문학회의 회원으로 활동중이다.

학력

  • [1981] 학사 한국외국어대학교 / 영어과
  • [1983] 석사 서울대학교 / 영어영문학과
  • [1992] 박사 서울대학교 / 영어영문과 / 영시

주요연구분야

문학이론
영미시

컨설팅 가능 분야

영미문학 관련 분야

연구업적

  • 연구보고서[19980531] 서구 문예사조의 세기적 전환(2차년도)
  • 연구보고서[19970531] 서구 문예사조의 세기적 전환(1차년도)
  • 일반논문[20230731] 정철의 <사미인곡>에 담긴 정치적 무의식
  • 일반논문[20230630] A. E. 하우스먼의 시 「신병」(“The Recruit”)의 극적 독백
  • 일반논문[20230430] 말라르메의 <<목신의 오후>>와 예이츠의 「레다와 백조」에 재현된 강간 환상
  • 일반논문[20230228] 프로스트의 시 「목장」의 극적 독백
  • 일반논문[20230131] 엘리엇의 객관성 시학과 감정의 자리
  • 일반논문[20190201] 역설의 수사적 논리성
  • 일반논문[20190201] 김소월의 「진달래꽃」은 이별 수용의 시가 아니다
  • 일반논문[20181130] T. S. 엘리엇의 󰡔황무지󰡕 제 1연: 극적 독백의 서술구조
  • 일반논문[20181130] T. S. 엘리엇의 『황무지』 첫째 연 우리말 번역
  • 일반논문[20160630] 실비아 플라스의 「불온한 뮤즈들」에 나타난 여성 형이상학 비판
  • 일반논문[20160531] 「무자비한 미녀」에 나타난 초월적 낭만주의 비판
  • 일반논문[20151215] 키츠의 「성 아그네스 전야」와부팔마코의 「죽음의 승리」에 대한 상호텍스트적 연구
  • 일반논문[20150630] 실비아 플라스의 유아론과 반형이상학적 상상력
  • 일반논문[20130531] "벼룩"과 "고별사: 슬퍼함을 금함"에 나타난 존 던의 이성 비판
  • 일반논문[20121231] 예이츠의 "하얀 새들"에 대한 전기적 읽기
  • 일반논문[20120601] 키츠의 육체적 상상력
  • 일반논문[20100228] 에밀리 디킨슨의 시에 나타난 죽음의 책략
  • 일반논문[20091101] 키츠의 변증법적 상상력
  • 일반논문[20081231] 논리적 해석을 위한 제언-미국 식품의약청 동물사료규제법 개정에 관한 2008년4월23일자 보도자료 영문의 한국어 번역-
  • 일반논문[20070131] "관동별곡"의 자연에 담긴 탈정치적 무의식
  • 일반논문[20060831] 셰익스피어의 소네트에 나타난 유물론적 시간관
  • 일반논문[20040228] 월트 휘트먼 시의 광학적 원리 -시적 사실주의의 추구
  • 일반논문[20040225] "미친 제인이 주교와 대화하다"의 서술 읽기: 제인의 깨끗한 한판승
  • 일반논문[20020831] "기쁨"에서 "아름다움"으로: 영국 낭만주의의 현실 초월과 수용
  • 일반논문[20010825] 바이런, 셸리, 키츠
  • 일반논문[19990610] 바이런 낭만주의 비판
  • 일반논문[19990225] 산업화 시대에서 뮤즈의 목소리 찾기:러다이트 운동과 바이런
  • 일반논문[19981231] 『황무지』(The Waste Land)에 대한 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 논쟁
  • 일반논문[19971231] 주체의 죽음에 대한 재고
  • 일반논문[19960629] 자연과학과 영국 낭만주의적 자연관의 형성
  • 저서/역서[20120610] 윌리엄 모리스1 낭만주의자에서 혁명가로
  • 저서/역서[20010417] 여성의 몸,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성의 상품화 그리고 저항의 가능성
  • 저서/역서[19990225] 바이런의 유물론적 시학
  • 저서/역서[19990225] 주체 개념의 비판:데라다,라캉,알튀세,푸코
  • 저서/역서[19971215] 19세기 자연과학과 자연관
  • 저서/역서[19970425] 바흐친과 문화 이론
  • 저서/역서[19970305] 현대 서술 이론의 흐름
  • 저서/역서[19970210] 마르크스주의와 해체론: 비판적 접목
  • 저서/역서[19951120] 바흐친과 문학이론
  • 학술발표[20060623] Yeats의 "The White Birds"에 대한 전기적 읽기
  • 학술발표[20041024] 19세기 보편명제의 내막적 의미 : 「문화와 무질서」
  • 학술발표[20020608] "기쁨"에서 "아름다움"으로: 영국 낭만주의의 현실 초월과 수용
  • 학술발표[20020518] "Crazy Jane Talks with the Bishop"의 서술 읽기: Jane의 깨끗한 한판승
  • 학술발표[19981128] 『헤럴드 도령의 순례(Childe Harold's Pilgrimage)』의 서술 읽기
  • 학술발표[19980411] 산업화 시대에서 뮤즈의 목소리 찾기: Luddism과 Byron
  • 학술발표[19971108] 주체의 죽음에 대한 재고
  • 학술발표[19971025] 누가 주체를 죽였는가? 데리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