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상담
교육 목적
보건학과 사회과학 및 상담의 지식을 습득하여 현대사회 급증하는 개인의 심리·정서적 문제와 사회적 관계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의 실무능력과 전문화된 상담 기술을 겸비한 사회복지 현장의 임상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특징
복지상담전공은 사회복지 실천과 상담을 융합한 실무중심의 전공이다. 사회적 권리를 보장하는 사회복지학과 개인의 정신적·심리적 안녕감을 위한 정신 보건학 및 상담학의 이론과 기술을 배우는 과정이다. 특히 현장 기반의 융·복합적 역량 제고를 위한 교과목을 개설하여 임상 현장의 실천 기술 향상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담사례관리, 시설평가 실무과정, 치매의 이해와 복합운동 재활 요법, 트라우마 치유 및 ACE연구 등 최신의 이론을 학습하고, 통합 테라피 과정을 통해 현장에서 적용이 가능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교과 과정
구분 | 과목명 | 학점 | 연구지도 (논문대체) | 비고 |
---|---|---|---|---|
복지상담전공 | 상담사례관리, 복지네트워크이론, 복지시설평가실무, 종독상담 및 복지론, 레질리언스 실천론, 자살위기개입론, 성교육 및 상담론, 아동학대예방론, 재활심리상담, 복지상담커뮤니케이션, 치매통합케어, 재활상담 및 행동요법, 노인상담 및 운동치료, 가족상담 및 치료, 다문화사회와 상담, 심리측정 및 평가, 인간행동과 발달론 | 24학점 이상 |
6학점 |
교수 현황
-
교수명
-
cell
-
학위 수여대학
-
연구 및 교육분야
-
강창현
-
보건정책
-
연세대학교
-
복지네트워크, 상담사례관리
- open_in_new
-
유지혜
-
보건복지
-
단국대학교
-
위기개입, 회복탄력성
- open_in_new
-
김연
-
상담교육
-
경기대학교
-
집단상담
-
신지명
-
심리
-
이화여자대학교
-
행동분석
- 대학 홈페이지 add
- 대학원 홈페이지 add
- 부속/부설기관 홈페이지 add
단과대학
대학원
특수대학원(죽전)
특수대학원(천안)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