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3 |
  •  페이지 1/1
1+3 예술통합교육 학생 실습작품 모음 1, 『맨손으로 만든 눈사람』, 개미, 2024.

2024.02.13

69

한국문화기술연구소 편 1+3 예술통합교육 학생 실습작품 모음 1 『맨손으로 만든 눈사람』 개미, 2024. 『맨손으로 만든 눈사람』은 단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가 2021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1+3 예술통합교육의 교과과정 및 교수학습법〉이 개발한 교과 ‘감각과 예술통합’, ‘지각과 예술통합’1의 학생 결과물을 모은 첫 번째 모음집입니다.2 〈1+3 예술통합교육의 교과과정 및 교수학습법〉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시작되었으며 오늘날 대학 예술교육의 혁신 요구에 부응하는 예술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문학과 미술, 영화, 음악 네 영역을 중심으로, 소통과 융합을 통해 탈경계적이고 통합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감각과 예술통합’, ‘지각과 예술통합’은 〈1+3 예술통합교육의 교과과정 및 교수학습법〉의 1단계로 개발한 교양 교과 두 과목입니다. 각 분야의 전문 교수진이 개발하고 강의하였으며, 한 학기의 수업은 전공 교수별 강의 각각 2회차와 창작물 제작을 위한 특강 및 우수 작품 사례 소개 1회차, 학생의 창작물 발표와 피드백 3회차로 구성되었습니다. 해당 교과들은 우리가 세계를 감각하는 시각, 청각, 후각과 미각, 촉각에 더하여 운동감각, 기억, 소통을 핵심어로 예술통합 교육을 범주화하여 개발되었습니다. 첫 번째 교과인 ‘감각과 예술통합’에서는 시각, 후각과 미각, 청각을 중심으로 문학, 미술, 영화, 음악 교수진이 총 8주차의 강의를 구성하였습니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감각과 예술통합』, 개미, 2023.

2024.02.13

77

한국문화기술연구소 편 『감각과 예술통합』 개미, 2023. 『감각과 예술통합』은 단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소장 박덕규 교수)가 2021년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으로 선정돼 수행 중인 <1+3 예술통합교육의 교과과정 및 교수학습법> 연구를 현 대학 강의실에서 적용하는 교재이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 예술교육의 혁신 요구에 부응하는 예술가와 예술 매개자 그리고 예술 향유자를 양성하고자 영화, 문학, 미술, 음악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융합적인 인식에서 쓴 원고를 토론을 거쳐 모았다. 경계를 횡단하는 통합적인 예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것에 초점을 둔 만큼 교육 참여자, 혹은 예술통합교육에 관심을 가진 모든 분에게 도움이 될 책이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편, 『연결하는 미디어, 융합하는 예술들』 푸른사상, 2023.03.

2023.05.09

107

한국문화기술연구소 편 『연결하는 미디어, 융합하는 예술들』 푸른사상, 2023.03. 통합적인 예술가와 예술 매개자 양성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응하기  이 책은 단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가 2021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1+3 예술통합교육의 교과과정 및 교수학수법〉의 첫 번째 연구서이다. 〈1+3 예술통합교육의 교과과정 및 교수학수법〉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에 선정됨으로써 시작되었다.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 예술교육의 혁신 요구에 부응하는 예술가와 예술 매개자를 양성하고자 문학과 예술, 음악, 영화 등 문화예술 각 분야의 소통과 융합을 통해 탈경계적이고 통합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시대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예술형식들을 고찰하고, 문학과 미술, 음악과 기술이 연동하면서, 진화하고 있는 동시대 문화예술이 나아갈 길을 탐색하고 있다.  이러한 모색의 첫 결과물이 이 책 『연결하는 미디어, 융합하는 예술들』이다. 이 연구서에 수록된 글은 2022년 본 연구소가 주최한 학술대회의 연구 발표글을 중심으로 이 연구서의 주제 의식과 연구소가 지향하는 바를 보여줄 수 있는 여러 문화예술분야 연구자들의 성과를 모았다. 목차 1부 경계를 넘어 - 예술과 사회, 장르, 생태 1. 지역문학관 상설 전시실 조성 방안 - 기형도문학관을 중심으로 | 박덕규 2. 우리 그림책의 포스트모던 서사 전략 - 박연철의 『피노키오는 왜 엄펑소니를 꿀꺽했을까?』를 중심으로 | 이은주 3. 레비 브라이언트의 포스트휴먼 매체생태론과 동시대 예술의 생태적 실천 | 배혜정 2부 기록하는 예술 1. 알레고리와 아카이브 - 동시대 예술의 연결법 | 홍지석 2. 미주 한인 이주서사의 상징 활용 양상 - 영화 〈미나리〉를 중심으로 | 최수웅 3. 장소성 형성의 프로세스 연구 - 『여학생일기』에 나타난 식민지 대구를 중심으로 | 강민희 4. 기록으로서의 예술- 마을공동체 내 문화공간의 역할을 중심으로 | 김연주 3부 예술 융합 교육의 실제 1. 뮤지엄 아카이브의 참여형 디지털 플랫폼과 교육적 기능 - 테이트의 '아카이브와 액세스 프로젝트(2013-2017)' 사례를 중심으로 | 지가은 2. '유튜브 시대의 읽기 교수법'을 위한 담론- 융복합적 교육철학을 중심으로 | 임수경 3. 심미적 경험 중심 보컬교육의 필요성과 수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 | 황은지 4. 대중가요 작사교육이 여고생의 스트레스 뇌파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 김희선, 원희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