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기계학습과 생명정보 연구실
(MLBILab: Machine Learning & Bioinformatics Lab.)
지도교수 윤석현
연구실 소개 기계학습과 생명정보 연구실에서는 심층신경망 등 AI의 근간이 되는 기계학습의 응용부터 이를 유전체(DNA나 RNA) 데이터의 분석과 이의 마이닝을 통해 생물학적 의미를 찾고 의학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전자전기나 컴퓨터 전공자들의 경우 기계학습의 이론과 파이썬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기계학습 도구의 활용 능력을 기반으로 이를 생명과학/의학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으며 생명과학 전공자들의 경우 파이썬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기계학습 도구의 활용, 컴퓨터 활용 능력을 키워 융합 인재가 될 수 있습니다.
연구실 2공학관 402-1호 홈페이지 방문
logo 미래영상연구실
(FIRLab: Future Imaging Research Laboratory)
지도교수 윤희철
연구실 소개 다양한 질병의 조기 발견과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인체 내부를 “볼 수 있게 해주는“ 의료영상 기술은 건강한 삶의 질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미래영상연구실에서는 인채 내부를 관찰하기 위해 필요한 의료영상처리, 의료영상AI, 의료영상 시스템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국내외 학회발표 및 저널 게재를 위한 연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부 과제 및 산업체 과제 수행을 통해 실무 역량을 함양하게 됩니다.
연구실 2공학관 304호 홈페이지 방문
logo 시스템-온-칩 및 임베디드시스템 연구실
(SES: System-on-Chip and Embedded System Laboratory)
지도교수 장우영
연구실 소개 시스템-온-칩 & 임베디드시스템 연구실은 차세대 컴퓨팅 시스템을 연구하는 곳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컴퓨터 구조, 인공지능, 메모리 시스템, 반도체 회로설계, 임베디드 시스템 기술들을 융합하여 고성능·저전력 하드웨어 설계 및 최적화된 컴퓨팅 구조를 연구합니다. 특히, 머신러닝·딥러닝 가속기, 특수 목적 프로세서, FPGA/ASIC 기반 시스템을 개발하며,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협력 설계를 통해 지능형 시스템을 최적화합니다. 최근에는 온-디바이스 AI 모델 및 가속기 구현, HBM 기반 메모리 시스템, 칩렛 및 3D 집적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컴퓨팅 플랫폼 연구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산업 응용을 고려한 설계 자동화 및 검증 기법을 개발하여 AI 및 저전력 고성능 컴퓨팅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실 2공학관 414호 홈페이지 방문
logo RF회로 및 시스템 연구실
(RFIS Lab: RF Integrated Circuits and Systems Laboratory)
지도교수 변철우
연구실 소개 RF(Radio Frequency)는 무선통신 및 무선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분야입니다. RF회로및시스템연구실에서는 RF, 밀리미터파, 테라헤르츠 주파수 기반의 CMOS 집적회로설계, 안테나설계 및 시스템설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는 6G 및 위성통신과 같은 차세대통신, 레이더 센서, 무선전력전송입니다. 특히, 최근 주목받고 있는 CMOS 기반의 빔포밍 기술 및 위상배열 송수신 회로설계 분야에 연구를 활발히 수행 중입니다. 우리 연구실은 미래 CMOS RF 집적회로 및 시스템 설계의 새로의 지평을 열어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2공학관 301호 홈페이지 방문
logo 에너지변환응용연구실
(ECAL: Energy Conversion and Application Laboratory)
지도교수 이호준
연구실 소개 ECAL 연구실은 전기기기 해석 및 설계를 기반으로 친환경 모빌리티 분야의 차세대 전기기기를 연구합니다. 고효율·고출력 모터 및 발전기 설계를 위해 전자기 해석과 최적화 기법을 활용하며, 희토류 저감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산업체 및 연구기관과 협력하여 실용화 기술을 연구하며, 학생들에게 전기기기 설계 및 해석 경험을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운영합니다.
연구실 2공학관 214호 홈페이지 방문
logo 임베디드 및 병렬처리 연구실
(EmPasLab: Embedded and Parallel Systems Laboratory)
지도교수 김현진
연구실 소개 EmPasLab에서는 Edge AI를 비롯한 인공지능(AI)의 새로운 개념과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EDA와 로봇, 생성형 AI를 활용한 이상 탐지 및 테스트 고장 분석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하드웨어와 AI의 융합된 연구를 통해 임베디드 및 병렬 시스템을 개발하고, 차세대 연산 기술을 연구하여 복잡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고자 합니다. 그리고,강화학습과 이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 분야에 대한 연구를 수행중이며 차세대 인공지능의 이론과 개념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경량화된 신경망 구현 및 응용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며, 다학문적 접근을 통해 AI와 하드웨어의 통합 솔루션을 제시하여 산업계와 학계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연구실 2공학관 403호 홈페이지 방문
logo 전력경제연구실
(PSE: Power System Economics)
지도교수 이광호
연구실 소개 전력에너지를 생산하고 공급하는 과정인 발전/변전/배전의 이론과 분석기법을 바탕으로 합니다. 전국 규모의 전력시스템 구성과 운영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경제성 평가 및 비용 감축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이러한 경제적 측면의 전반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발전공기업으로 이루어지는 전력시장에서의 경쟁 건전성과 운영규칙도 연구대상이며 탄소배출권(Certificated Emissions Reduction) 거래와 수요반응(Demand Response)과 같이 사회 환경적인 요소가 반영된 최근의 이슈에도 많은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연구실 2공학관 221호 홈페이지 방문
logo 전력전자연구실
(PEL: Power Electronics Laboratory)
지도교수 이준석
연구실 소개 전력전자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를 사용하여 전력을 변환하거나 제어하는 응용분야입니다. 전력전자연구실에서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Inverter, Converter, Motor Control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개발과 더불어 최근 산업체에서 주요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전력 전자 분야에 대한 교육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 자동차 구동시스템 및 충전시스템, 스마트그리드와 신재생에너지에 관련하여 고압 급전시스템, 가전제품 및 태양광 발전시스템 분야에서 DSP를 활용하여 전력변환장치를 제어하는 실용화 연구도 활발히 수행 중입니다.
연구실 2공학관 415호 홈페이지 방문
logo 지능제어공학연구실
(ICELab: Intelligent Control Engineering Laboratory)
지도교수 김한솔
연구실 소개 지능제어공학은 로봇이나 자율주행 차량 등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판단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제어 기술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지능제어공학연구실(ICELab)에서는 자율주행 자동차, 드론, 로봇팔 등 다양한 시스템을 대상으로 지능제어와 AI 기술을 접목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퍼지 제어 이론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어와 AI 기술을 접목한 다수의 국가연구개발과제를 진행하며, 국제 학술지 논문 게재나 자율주행 경진대회 수상 등 연구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특히, 학생들은 실험 장비를 활용하여 제어 이론과 AI 기술을 직접 구현하며, 학계와 산업에서 경쟁력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2공학관 221-1호 홈페이지 방문
logo 휴먼 앤 시스템 연구실
(H&S: Human & System Laboratory)
지도교수 김경호
연구실 소개 H&S 연구실은 생체 신호 처리를 통한 건강 상태 분석 연구를 수행하며, AI 및 하드웨어 시스템 설계를 통한 융합적인 기술 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실입니다. 연구주제로는 PPG, ECG, EEG 등의 생체 신호 분석 및 의료 데이터를 활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헬스케어 시스템 개발, 생체 신호 취득을 위한 하드웨어(저전력 신호 증폭 및 필터) 설계 및 Firmware를 통한 MCU 제어, AI 기반 생체 신호의 패턴 분석 및 예측 모델 개발 및 실시간 신호 처리 알고리즘 연구, 웨어러블 및 IoT 시스템과의 연동을 고려한 시스템 통합을 통한 폭 넓은 기술 적용과 활용 방안에 대한 솔루션 구축이 있습니다.
연구실 2공학관 305호 홈페이지 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