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뷰
게시판 뷰페이지
우리 모습 간직한 초원 사람들… 박태일 시집 ‘달래는 몽골 말로 바...
작성자 곽미선
날짜 2014.01.05
조회수 456

우리 모습 간직한 초원 사람들…
박태일 시집 ‘달래는 몽골 말로 바다’
입력:2014.01.03
01:28



src="http://image.kukinews.com/online_image/2014/0103/140102_22_3.jpg"
onload=resizeImage(this.src);>




“쉰 살 무렵 내가 나에게 쥐여준 작은 꽃다발이었다, style="TEXT-DECORATION: none"
href="http://cl.ncclick.co.kr/TagClick.asp tagkwd=%uBABD%uACE8&ac=MPK_kukinews_371"
target=_blank ;>style="BACKGROUND-COLOR: #ffffff; COLOR: #0000ff; TEXT-DECORATION: underline"
onmouseover=neovTagLink.over(this,1);>몽골
. 여러 해 내 안에 가두어두었던 그들을 그만
돌려보낸다. 잘 가거라. 다시는 다른 아침, 다른 하늘을 그리워하지 않으리라.”(‘시인의 말’)

박태일(60·사진) 시인의 신작
시집 ‘달래는 href="http://cl.ncclick.co.kr/TagClick.asp tagkwd=%uBABD%uACE8&ac=MPK_kukinews_371"
target=_blank ;>style="BACKGROUND-COLOR: #ffffff; COLOR: #0000ff; TEXT-DECORATION: underline"
onmouseover=neovTagLink.over(this,1);>몽골
말로 바다’(문학동네)는 2006년 그가 한 해
href="http://cl.ncclick.co.kr/TagClick.asp tagkwd=%uB3D9%uC548&ac=MPK_kukinews_371"
target=_blank ;>style="BACKGROUND-COLOR: #ffffff; COLOR: #0000ff; TEXT-DECORATION: underline"
onmouseover=neovTagLink.over(this,0);>동안
몽골에 초빙교수로 머물렀던 시절을 회상하며 쓴
60편의 시가 오롯이 담겨 있다. 몽골은 그에게 둥근 이미지로 다가오는데 우선 몽골 유목민들의 전통가옥인 ‘게르’부터 둥글기
때문이다.

“게르는 둥글다/ 게르에선 발소리도 둥글다/ 게르 앞에서 아이가 돌멩이를 굴린다/ 둥글게 금을 긋고 논다/ 아이 style="TEXT-DECORATION: none"
href="http://cl.ncclick.co.kr/TagClick.asp tagkwd=%uC5BC%uAD74&ac=MPK_kukinews_371"
target=_blank ;>style="BACKGROUND-COLOR: #ffffff; COLOR: #0000ff; TEXT-DECORATION: underline"
onmouseover=neovTagLink.over(this,3);>얼굴
도 둥글다/ 햇볕에 씹혀 검고/ 마른 꽃을 잔뜩
심었다/ 아이는 여자로 잘 자랄 수 있을까/ 더위를 겉옷인 양 걸친 양떼/ 헴헴헴 게르 앞을 지나간다/ 슬픔을 둥글게 머금은 아이가/ 지는 해를
본다”(‘사막’ 전문)

시인에겐 연민의 눈을 통해 그들의 둥근 슬픔이 보이기 시작한다. 몽골 말로 ‘바다’를 뜻하기도 하는
‘달래’도 보인다. ‘달래’는 가을빛이 누렇게 내리기 시작한 들판에서 흔히 눈에 띄는 풀인데, 몽골사람들은 달래를 style="TEXT-DECORATION: none"
href="http://cl.ncclick.co.kr/TagClick.asp tagkwd=%uC18C%uAE08&ac=MPK_kukinews_371"
target=_blank ;>style="BACKGROUND-COLOR: #ffffff; COLOR: #0000ff; TEXT-DECORATION: underline"
onmouseover=neovTagLink.over(this,2);>소금
에 절여 반찬으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달래는 슬픈
이름/ 한 번 달래나 해보지/(중략)/ 두 억년 앞선 때는 바다였다는 고비알타이/ href="http://cl.ncclick.co.kr/TagClick.asp tagkwd=%uC18C%uAE08&ac=MPK_kukinews_371"
target=_blank ;>style="BACKGROUND-COLOR: #ffffff; COLOR: #0000ff; TEXT-DECORATION: underline"
onmouseover=neovTagLink.over(this,2);>소금
호수 천막 가게에서/ 달래 장아찔 카스 안주로
주던/ 달래는 열 살/ 아버지 어머니/ 달래 융단 아래 묻은”(‘달래’ 부분)

몽골의 둥근 슬픔을 포착한 그의 시선은 돌아가신
자신의 어머니에게로 흐른다. 그에 따르면 몽골에서는 어머니는 예나 지금이나 큰 존경을 받고 있어서 어머니를 다룬 시를 쓰지 않는 몽골 시인이
없을 정도라고 한다. “별과 별 사이 강이 흐른다 별똥별은 첨벙 어느 골짜길까 먼 데 어머니가 들르러 오시나 보다 (중략) 화성으로 목성으로
해왕성으로 다닐 때부터 어머닌 철길보다 더 녹스셨다 덜커덩 침목소리를 허리로 받으신다”(‘북두칠성과 다투지 마라’ 부분)

몽골에서
보낸 네 철은 박태일에게 자신과 대면하는 자성의 시간이자 치유의 시간이었다. 몽골에는 우리가 잃어버린 우리의 모습이 있다. 하지만 박태일은 결국
돌아오기 위해 몽골로 갔던 것이다. 몽골의 체험이 시로 빚어지기까지 6∼7년의 시간이 걸렸으니 이제 그가 살면서 보고 느낀 몽골도 많이
훼손되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는 훼손되기 전의 몽골을 몽골에게 어느 정도 되돌려 주는 것이 된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정철훈
문학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