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와 그로 인한 영향에 맞서기 위한 긴급 대응

  • 전체 58 |
  •  페이지 1/9
(2025. 1. 21.) '지속가능한 지구' 과목 개설 재학생이 청소년들 환경 교육

2025.07.17

2

뉴아이콘

출처 :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2064351

(2024. 11. 5.) Global-Localization of edu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한국과 중앙아시아 간 교육 협력

2025.07.17

1

뉴아이콘

본 학술대회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계된 교육 협력을 중심으로 하며, 특히 환경교육 사업과 관련하여 기후위기 대응, 생물다양성 보존, 지속가능한 자원 관리 등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적 접근법을 논의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을 위한 교육 협력과 지역 맞춤형 교육 전략의 구체적 협력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2024년 11월 5일, 단국대학교 통합과학교육연구소에서 "지속가능한발전을 위한 교육의 글로벌-로컬화: 한국과 중앙아시아 간 교육 협력"을 주제로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학술대회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계된 교육의 역할을 조명하고, 국제적 협력을 통해 지역별 맞춤형 교육 전략을 개발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개회식에서는 단국대학교 과학교육과와 타슈켄트 국립교육대학교 관계자들의 환영사 및 축사가 이어졌으며, 이후 **기조 강연(Keynote Speech)**이 진행되었다. 기조 연설에서는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구 공동체 의식, 중앙아시아 초지 생태계 관리, 지속가능성과 심리적 행동 양상, 석탄 채굴로 인한 환경 문제 및 해결 방안 등이 발표되었다. 이후 **발표 세션(Presentation Session)**에서는 SDGs와 역사 교육, 곤충과 생물다양성 인식 조사, 과학교육에서의 서비스 학습 적용 등의 연구가 발표되었으며, 학부생 포스터 세션(Undergraduate Poster Session)에서는 기후위기, 탈멸종, 과학기술 가치 충돌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연구가 소개되었다. 이번 학술대회는 학자, 연구자, 교사 및 학생들이 지속가능한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한국과 중앙아시아 간 교육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향후 학문적 교류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SDGs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도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학술대회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계된 교육 협력을 중심으로 하며, 특히 환경교육 사업과 관련하여 기후위기 대응, 생물다양성 보존, 지속가능한 자원 관리 등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적 접근법을 논의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통해 환경교육의 실천적 모델을 개발하고, 국제적 협력을 통한 효과적인 교육 전략을 마련하는 데 기여한다. #단국대학교 #통합과학교육연구소 #국제학술대회 #중앙아시아 #ESD(지속가능발전교육) 출처 : 통합과학교육연구소

(2024. 7. ~ 11.) 2024년 SDGs 이행을 위한 환경실천 교육단 2기 운영

2025.07.15

1

기후 위기 등 환경 이슈가 중요한 사회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청년과 청소년이 주축이 되는 환경교육 기부 시스템을 구축하여, SDGs와 탄소중립의 이해 등에 대한 교육 후 신재생에너지 교구 활용, 행가래 어플리케이션(탄소중립 실천)을 활용 교육 후 찾아가는 학교 환경교육을 위한 교육단 교육 완료 #단국대학교 #통합과학교육연구소 #환경교육 #탄소중립실천 출처 : 시민일보 https://www.siminilbo.co.kr/news/newsview.php?ncode=1160282060779907

(2024. 5. 23. / 10. 10.) 천호지 환경정화 봉사활동

2025.07.15

2

1. 지역사회와 환경보호를 위한 사회공헌활동의 일환으로 천호지 인근 환경정화 봉사활동 실시 2.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쾌적한 생태환경 조성에 기여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에서는 지역사회와의 상생 및 환경보호의 일환으로 천호지 주변 환경정화 봉사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본 활동은 교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천호지 산책로 및 녹지 주변에 버려진 쓰레기를 수거함으로써 지역 주민들이 보다 쾌적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2024년에는 단국대와 천안시 간 ‘1사 1하천 가꾸기’ 협약 체결) 특히 봉사활동을 통해 비닐, 플라스틱, 캔류 등의 생활쓰레기와 함께 자연에 장기적으로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유해 폐기물도 집중 수거하여 지역 생태계 보호에 기여하였다. 이번 활동은 ‘지속가능한 도시와 공동체(목표11)’ 실현을 위한 실천적 노력으로 평가되며, 동시에 ‘기후변화 대응(목표 13)’ 및 ‘육상 생태계 보호(목표15)’ 측면에서도 의미 있는 기여를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도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에서는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환경보호 활동을 지속 운영할 예정이며 대학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단국대학교 #천호지 #환경정화 #교직원 #생태계보호 출처 : 총무처 총무팀

(2024. 5. 20.) 단국대, 국내 첫 '대학생 환경교육단' 출범…초·중·고생에 탄소중립 환경 교육

2025.07.14

3

출처 : 한국경제 특집 보도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52090151

2024학년도 직원 직급 승진 대상자 교육

2025.07.14

8

대학 교직원으로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초 소양 함양 1. 총무인사처 총무인사팀에서는 지속가능한목표(SDGs) 실천 교육 도입을 위해 2024학년도부터 직원 직급 승진 대상자들에게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된 교과목 수강을 의무화하고 있다. 2. 도입 첫해인 2024학년도에는, 2024.09.01.자 승진대상자 9명과 2025.03.01.자 승진대상자 8명이 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의 “기후야 변하지마, 학교가 변할게” 과목을 수강하여, 교직원으로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초 소양을 쌓았다. #단국대학교교직원 #기후변화 출처 : 총무인사처 총무인사팀

2024년 D-MOOC SDGs 강좌 개발·운영: <SDGs와 기후변화>

2025.07.11

10

· SDGs 이해 증진을 위한 기후변화 대응 지침, 사례 중심 마이크로강좌 개발·운영 · 공개 디지털교육 플랫폼 D-BANK 내 SDGs 강좌 운영을 통한 접근성 확대 및 SDGs 실천 네트워크 형성 도모 교수학습개발센터는 공개 디지털교육플랫폼 D-BANK를 통해 「SDGs와 기후변화」마이크로강좌를 개발·운영하였다. 본 강좌는 SDGs 목표 13(기후변화 대응)을 중심으로 SDGs 핵심 개념 인식 및 실천을 위한 기후변화 대응 지침과 사례 중심 콘텐츠로 구성되었다. SDGs에 대한 광범위한 경험을 갖춘 전직 장관의 현업 사례를 토대로 기초 개념, 주요 사례 설명을 통해 SDGs 개념과 현상을 쉽고 재미있게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글로벌 이슈와 SDGs의 연관성을 강조하여 실제 환경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실무적 통찰력과 노하우를 함양하도록 구성하였다. 강좌는 총 8주차로, 각 주차별로 SDGs 핵심 영역을 체계적으로 제시한다. 1-2주차에서는 SDGs의 기본 개념과 목표 분류를 통해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 3-5주차에서는 SDGs 이행 전략, 지역화, 주요 행위자 등 실무적 접근을 제시한다. 6-7주차에서는 기후위기와 ESG라는 현재적 이슈와 SDGs의 연관성을 집중적으로 다루며, 마지막 8주차에서는 SDGs의 미래 전망과 도전과제를 조망하였다. 특히 6주차 '기후위기와 SDGs' 단원에서는 기후변화와 위기의 개념 이해를 바탕으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SDGs의 역할 및 전략을 구체적 예시와 함께 제시하여, SDGs 목표 13(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실질적 이해를 도모한다. 향후 지속적인 강좌 업데이트와 학습자 피드백 수렴을 통해 품질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본 강좌는 SDGs 인식 제고와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 지속가능한 사회 실현을 위한 실천 기반 조성에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적·사회적 의의가 있다. 구 분 강좌 명 교수자 분량 1 SDGs와 기후변화 조명래(석좌교수) 8차시 [SDGs와 기후변화] #교수학습개발센터 #양질의교육 #기후변화대응 #공개강좌 #SDGs교육 출처 : 교육혁신원 교수학습개발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