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영은 사진

지영은 | 외국어대학 유럽중남미학부

  • 직급:
    강의전담조교수

교수소개

학부 독어독문학, 독어학 석사 전공은 언어와 세계의 관계를 탐구하는 학문으로 향한 문을 열어 주었다. 칼 뷜러의 도구적 언어와, 정신활동의 동적 에네르게이아로서 훔볼트의 언어세계관이라는 두 주춧돌 위에 세워진 언어학은 학문 상아탑에서도 인간의 심성과 정신, 행동을 이해하고 성찰하는 인간학의 정수라고 자신있게 주장한다. 학술적 연구로는 언어와 사고의 단일성 명제를 토대로 언어와 의사소통의 작동기제에 대한 답을 구하는 본질적인 질문에 집중해 왔다. 박사 학위 이후 전공 연구는 일상이론 Alltagstheorie으로서 독일어와 한국어의 은유 연구와, 한편으로는 화용론과 대화분석, 기호학과 의사소통이론 등의 노선에서 이어오고 있다. 후자의 경우 외국어 교육 방법론과도 밀접하다. 독일어 학습 및 교육방법론 연구를 꾸준히 병행하면서 대학에서 독일어와 독일지역학 등의 전공 및 교양강의 개발하며 실제 강의에 주력하고 있다.
2012-13에는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테제: 은유와 번역이론), 2017-2019에는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연구교수(테제:독일 통일 담론의 은유 연구)를 수혜하였으며, 연구와 교육 외에 독일어교육학회 총무이사 및 연구이상임이사, 한국독어학회 편집상임이사로서 연구 학술단체와 공동 연구, 정보 교류에서 주도적으로 활동중이다. 2017~2018 고교과정 인정교과서 <독일어회화-I>의 공동 집필진으로 참여하였다. 해외 연구자들과 소통하며, 대표적으로는 베를린 자유대학 한국학과, 베를린 공과대학 언어학과 연구자와 교류중이다.

교육철학

21세기 학습자는 더 이상 하나의 직업에 머물지 않는다. 견고한 전문 지식을 갖추고 있으면서 동시에 변화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핵심역량을 배양 것이 대학 교육의 이상적인 목표이다. 따라서 대학 강의는 행동주의 및 과제 지향적이어야 하며, 교육공학이 추구하는 미래 교육의 개방성과 통합성, 학습자 주도성을 구현하는 교육콘텐츠이어야 한다. 독일어와 독일학 전공자가 독일어 능력을 기반으로 독일 문학과 문화, 예술과 사회 전반에 대한 이해와 통찰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자는 가장 시의적인 현상과 주제를 교육현장에 도입해야 한다. 연구와 교육이 별도의 분야가 아니며, 연구역량과 교육 실천의 시너지는 중요하다. 강의현장에서 자신을 투영하고 학습자와의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먼저 시의적인 수업법과 매체능력을 구비하고 멘토로서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력

  • [1990] 학사 서울여자대학교 / 독어독문학과
  • [2002] 박사 Friedrich - Alexander Univ. Erlangen - Nuernberg / 독어학과

주요경력

  • 서울여자대학교 (2002-09-01)
  • 원광대학교 (2012-03-01)
  • 강원대학교 (2014-09-01)

주요연구분야

언어학, 의미론, 화용론, 의사소통이론, 상호행위 언어학, 인터뷰 연구, 일상언어론, 개념은유이론, Lakoff & Johnson, 번역이론, 기호이론, 독일 광고, 텍스트와 시각이미지, 독일 지역학, 외국어로서의 독일어(DaF)

컨설팅 가능 분야

독어학, 언어학, 독일어교육(Deutsch als Fremdsprache) 전공, 유학

연구업적

  • 일반논문[20230630] 텍스트 유형 ‘여단일지’ - 동독 작업공동체의 일상적 보고
  • 일반논문[20230630] 동독 텍스트 여단일지의 텍스트 유형 고찰
  • 일반논문[20220930] 은유적 제스처 - 정치가의 연설 분석 사례
  • 일반논문[20211201] 인터넷 밈과 시각언어학 - 메르켈 밈 사례 분석
  • 일반논문[20210901] 밈의 대화로의 초대 - 인터넷-밈의 시각면과 상호행위
  • 일반논문[20200701] 사회 정치 담론으로서의 은유 비평- Flüchtlingslawine 논쟁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81231] 언어학과 감정
  • 일반논문[20170731] “Vom Schreibtisch, wie immer.” - 상호행위 언어학과 인터뷰 분석
  • 일반논문[20170630] 인터뷰 기사의 텍스트언어학적 고찰 – ZEIT Wissen지의 한병철 인터뷰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70531] 통일 전환기 연설 텍스트 분석 - 헬무트 콜의 정당연설과 크리스타 볼프의 광장연설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70331] 감정과 대화분석- 독일어 재현 대화의 감정 전달 전략 고찰
  • 일반논문[20160630] 디지털 미디어 기반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수업
  • 일반논문[20160630] Metaphern im wirtschaftlichen Diskurs - Am Beispiel der Wirtschaftskrise in den Zeitungsartikeln
  • 일반논문[20150630] 독일 통일 담화의 은유 분석
  • 일반논문[20121231] Kognitives Verfahren mit Metaphern - Metaphern verstehen und übersetzen
  • 일반논문[20111231] 인간의 상태변화 은유 모형 - 독일어와 한국어의 신체, 감정표현 고찰
  • 일반논문[20111231] 대학생을 위한 DaF-수업의 노래 활용방안 - 이론과 제안 -
  • 일반논문[20100331] Metapherntheorien in der Linguistik ― von Substitution zur konzeptuellen Metapher
캠퍼스별 교무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