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복 사진

김수복 |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직급:
    석좌교수

교수소개

단국대학교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논문 [한국 현대시의 상징 유형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1985년 본교 교수로 부임해온 이래, 한국현대시 연구, 현대시창작에 전념하고 있다. 1975년 <한국문학>신인상으로 등단한 후 30 여년에 걸쳐 시집<지리산타령>을 비롯하여 최근 <달을 따라 걷다> 등10여권의 시집, 시론집 <우리시의 상징과 표정>,<상징의 숲>과 연구서<한국문학공간과 문예콘텐츠>등을 간행하였으며, 한국시인협회, 한국문예창작학회 등 시단과 학회 활동을 주로 해 왔다. 윤동주 평전과 한국현대시의 상징성을 구명하는 연구 활동을 비롯, 최근 문화기술 개발과 문예콘텐츠 창작 등에도 관심을 갖고 연구 수행 중에 있다. 재직 중 단대신문사 주간, 한국학부장, 교무처장, 예술대학 학장을 역임한 바 있으며, 현재 본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소장과 문예교육진흥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으면서 문예콘텐츠 창작과 문예기술 개발에 연구를 집중하고 있으며, 한국문학지형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실용화 방안, 문화콘텐츠 방안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2001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문예창작회의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국시인협회 심의위원을 맡고 있다.

학력

  • [1990] 박사 단국대학교 / 국어국문학과

주요연구분야

문예콘텐츠 개발 및 창작
시창작
한국현대시 연구

컨설팅 가능 분야

한국 문학 지형도 작성
출판 기획, 제작 및 편집
지역 문화 인물사 탐구

연구업적

  • 문예창작[20181025] 답게
  • 문예창작[20181005] 저녁의 기도
  • 문예창작[20180930] 동해가 두만강에게
  • 문예창작[20180930] 그믐달
  • 문예창작[20180901] 시 작품 <북천>
  • 문예창작[20180901] 시 작품 <징검다리>
  • 문예창작[20180831] 시 작품 <등대에>
  • 문예창작[20180831] 시 작품 <물소리의 유서를 듣다>
  • 문예창작[20180630] 용정 가는 길
  • 문예창작[20180630] 눈 이불
  • 문예창작[20180630] 절정
  • 문예창작[20180601] 시 작품 <풍등>
  • 문예창작[20180601] 시 작품 <고택>
  • 문예창작[20180315] 만다라
  • 문예창작[20180315] 재회
  • 문예창작[20180301] 그리움의 거리
  • 문예창작[20180301] 관계
  • 문예창작[20170901] 시작품<담쟁이 가족>
  • 문예창작[20170901] 시작품<자수하고 싶다>
  • 문예창작[20170625] 해가 지다가
  • 문예창작[20170610] 시 작품 <율포 편지>
  • 문예창작[20170601] 시작품 <오솔길>
  • 문예창작[20170601] 시 적품 <열매에게 엿듣다>
  • 문예창작[20170601] 시 작품 <보리 필 무렵>
  • 문예창작[20170601] 시작품 <하늘 호수>
  • 문예창작[20160920] 저녁의 장례식
  • 문예창작[20160910] 초승 무렵
  • 문예창작[20160910] 반달
  • 문예창작[20160901] 현해탄
  • 문예창작[20160901] 뚝배기 연꽃
  • 문예창작[20160901] 비의 수염을 만지고 서 있네
  • 문예창작[20160901] 남과 북
  • 문예창작[20160901] 쌍안정
  • 문예창작[20151215] 저물어 갈 때
  • 문예창작[20151201] 나이
  • 문예창작[20151111] 봄날
  • 문예창작[20151110] 폭포
  • 문예창작[20151101] 시창작품 <지리산 그 어느 곳>
  • 문예창작[20151101] 시창작품 <남한강 그 어느 쯤>
  • 문예창작[20151025] 예순 살 무렵
  • 문예창작[20150930] 시작품 <함정>
  • 문예창작[20150930] 시작품 <호수>
  • 문예창작[20150610] 봄날
  • 문예창작[20150610] 비가 개는 저녁
  • 문예창작[20150601] 하회에서
  • 문예창작[20150601] 별이 돋아날 무렵
  • 문예창작[20150515] 초승달
  • 문예창작[20140701] 이 봄날을 위한 5편의 고해록; 봄밤
  • 문예창작[20140701] 이 봄날을 위한 5편의 고해록; 연인
  • 문예창작[20140701] 이 봄날을 위한 5 편의 고해록; 하늘 우체국
  • 문예창작[20140701] 수선화 피는 저녁
  • 문예창작[20140701] 이 봄날을 위한 5편의 고해록;우포늪
  • 문예창작[20140701] 이 봄날을 위한 고해록; 새에게
  • 문예창작[20131001] 퇴고를 하면서
  • 문예창작[20131001] 난
  • 문예창작[20130901] 중천
  • 문예창작[20130901] 성에꽃에서 호랑나비떼가
  • 문예창작[20130601] 시작품 <몸의 경전>
  • 문예창작[20130601] 시작품 <국경을 넘는 법>
  • 문예창작[20121201] 시작품;모항
  • 문예창작[20121201] 시작품;빨래의 고백
  • 문예창작[20121201] 시작품; 봄나무 속으로 걸어들어간다
  • 문예창작[20121201] 시작품;먼동
  • 문예창작[20121201] 시작품; 하느님의 여인숙
  • 문예창작[20121201] 시작품;봄 나무에게서 꽃이 피는 저녁에
  • 문예창작[20121201] 시작품; 모른척하고 돌아섰다
  • 문예창작[20121201] 수필;뒷산 산그늘에 앉아
  • 문예창작[20121201] 시작품; 주산지
  • 문예창작[20120901] 수필작품;이제 육지에서 바다를 그리워하고, 바다에서 육지를 그리워하자
  • 문예창작[20120601] 시작품; 나귀
  • 문예창작[20120601] 시작품; 눈나무가 되어
  • 문예창작[20120404] 시작품;허공
  • 문예창작[20120401] 시작품; 긴장
  • 문예창작[20120401] 시작품; 잠깐만요
  • 문예창작[20120301] 시작품; 낮달
  • 문예창작[20120224] 시작품; 눈
  • 문예창작[20120101] 시작품;추어탕을 먹는 저녁에
  • 문예창작[20120101] 시작품; 운구
  • 문예창작[20111201] 시작품; 일출봉
  • 문예창작[20111201] 시작품:; 늙은 참나무의 고백
  • 문예창작[20111201] 시작품; 절벽
  • 문예창작[20111201] 시작품; 다시 사월이 오는 저녁의 고백
  • 문예창작[20111201] 수필; 고백의 풍경
  • 문예창작[20111201] 시작품; 새의 고백
  • 문예창작[20111201] 시작품; 그림자의 고백
  • 문예창작[20111201] 시작품; 노을이 물드는 화석
  • 문예창작[20111201] 시작품; 저녁 파도의 고백
  • 문예창작[20111201] 시작품; 외박
  • 문예창작[20111201] 시작품; 골목
  • 문예창작[20111201] 시작품; 저녁 물소리의 고백
  • 문예창작[20111201] 시작품; 동백나무의 고백
  • 문예창작[20110930] 시작품; 새
  • 문예창작[20110930] 시작품; 노을
  • 문예창작[20110823] 시작품; 동백꽃 지는 저녁
  • 문예창작[20110823] 시작품; 시법
  • 문예창작[20110520] 시 창작품 <매화>
  • 문예창작[20110302] 시작품, 숲
  • 문예창작[20110302] 시작품;시 이야기
  • 문예창작[20110302] 시작품,;말
  • 문예창작[20110302] 시작품;썰물이 지나가며 하는 말
  • 문예창작[20110302] 시작품;청모시조개 피는 언덕
  • 문예창작[20110218] 평론; 존재의 안과 밖, 그 불화와의 밀애
  • 문예창작[20101210] 평론; 추억과, 은총의 시간으로의 순례
  • 문예창작[20101201] 늙은 저녁 의자
  • 문예창작[20101201] 메아리
  • 문예창작[20101201] 산문 <내 시의 행로>
  • 문예창작[20101201] 달의 엉덩이를 두드리다
  • 문예창작[20100905] 출항
  • 문예창작[20100905] 가을바다
  • 문예창작[20100901] 종소리
  • 문예창작[20100901] 수도원
  • 문예창작[20090901] 저녁의 산책
  • 문예창작[20090901] 폭풍의 언덕
  • 문예창작[20090630] 시적 외유와 내강의 미학
  • 문예창작[20090601] 시 : 저물 무렵
  • 문예창작[20090601] 해
  • 문예창작[20081125] 시 : 안개 ; 철조망. 8
  • 문예창작[20081125] 시 : 고래사냥 ; 철조망.7
  • 문예창작[20080930] 시 평론 해설 [일상속의 존재론적 탐색과 성찰]
  • 문예창작[20080901] 시작품 [달의 눈빛]
  • 문예창작[20080901] 시작품 : 신발
  • 문예창작[20080901] 시작품 [가족]
  • 문예창작[20080901] 시작품 : 철조망 1 - 해
  • 문예창작[20080901] 시작품 - 침묵
  • 문예창작[20080901] 시작품 : 철조망 2; 침묵
  • 문예창작[20080901] 시작품 : 철조망 3 - 숲
  • 문예창작[20080901] 시작품 : 사막
  • 문예창작[20080901] 시작품 : 철조망 6 - 사이
  • 문예창작[20080901] 시작품 : 철조망 4 - 시
  • 문예창작[20080901] 시작품 : 철조망 5 - 밥 한 그릇
  • 문예창작[20080301] 시작품 붉은 평화
  • 문예창작[20080301] 달의 귀
  • 문예창작[20071201] 맷돌포에서
  • 문예창작[20071201] 동행
  • 문예창작[20071120] 누군가 말했다
  • 문예창작[20071120] 시
  • 문예창작[20070601] 달의 눈빛. 2
  • 문예창작[20070601] 달의 눈빛.1
  • 문예창작[20070601] 가을비
  • 문예창작[20061120] 시 작품 [달]
  • 문예창작[20061120] 시작품 [달의 가슴]
  • 문예창작[20051001] 시작품 [달궁에서] 발표
  • 문예창작[20051001] 시작품 [새떼들] 발표
  • 문예창작[20050921] 시작품 [부활절에]발표
  • 문예창작[20050601] 시작품 [어머니의 신록]발표
  • 문예창작[20050601] 시작품 [봄똥]발표
  • 문예창작[20050530] 시작품 [바위 - 해뜨는 곳에서 해지는 곳 까지 3]발표
  • 문예창작[20050301] 시작품 [겨울 숲]발표
  • 문예창작[20050105] 시작품 [저문 거리에서] 발표
  • 문예창작[20050105] 시작품 [봄비] 발표
  • 문예창작[20041201] 현대시와 지형학적 상상력
  • 문예창작[20041015] 시작품 [사람의 숲 속에 서 있는 사람] 발표
  • 문예창작[20040801] 평론 「달을 듣다」의 우주적 화음의 세계 - 김성춘의「달을 듣다」
  • 문예창작[20040601] 시작품 [바위] 발표
  • 문예창작[20040501] 시작품 [오솔길] 발표
  • 문예창작[20040501] 시작품 [갯벌] 발표
  • 문예창작[20040428] 시 작품 [진눈깨비 속에서] 발표
  • 문예창작[20040311] 시작품 [그릇] 발표
  • 문예창작[20040311] 시작품 [그늘] 발표
  • 문예창작[20040301] 시작품 [석양에 듣다] 발표
  • 문예창작[20040301] 시작품 [늪] 발표
  • 문예창작[20040225] 시작품 [寺院] [저녁 종소리] [寺院의 아침] [몸의 새벽] [설인] [사람의 숲] [비단 달팽이] [빈의자] [눈이 푸른 돌] [만삭의 종려나무] [나귀] [달걀 호수] [우물의 눈동자] [갈대들의 저녁] [황홀한 식사] [달이 뜰때] [항구를 빠져나가는 배들] [침묵의 사원] [누군가 말했다] [등대에] [폐허] [새우 이야기] [항아리] [끈] [구름] [중천] [돌 1] [저녁 바다] [새] [단풍] [구석]등 30편
  • 문예창작[20031201] 시작품 [연못] 발표
  • 문예창작[20031201] 시작품 [저녁 바람] 발표
  • 문예창작[20030831] 시작품 [물봉숭아 편지] 발표
  • 문예창작[20030831] 시작품 [몸 속의 별을 핥다] 발표
  • 문예창작[20030831] 시작품 [강] 발표
  • 문예창작[20030831] 시작품 [獨舞] 발표
  • 문예창작[20030831] 시작품 [塔] 발표
  • 문예창작[20030831] 시작품 [폐선 한 척] 발표
  • 문예창작[20030601] 에세이 <멕시코 쿠바기행 - 문명의 시간과 이념의 시간속에서 보낸 열흘
  • 문예창작[20030601] 시작품 [天馬圖 손수건 1] 발표
  • 문예창작[20030601] 시작품 [天馬圖 손수건 2] 발표
  • 문예창작[20030520] 시작품 <봄날의몸꽃> 발표
  • 문예창작[20030520] 시작품 <순례의날들> 발표
  • 문예창작[20030201] 시작품 [저녁강] 발표
  • 문예창작[20030201] 시작품 [붉은 등대] 발표
  • 문예창작[20030101] 시작품 [빈 우물] 발표
  • 문예창작[20030101] 에세이 [상상력과 표현력, 그 창조적 투쟁을 위하여]
  • 문예창작[20030101] 시작품 [저녁별을 바라보다] 발표
  • 문예창작[20021201] 후기 산업사회의 시적 상상력 : 지속과 변화의 대응, 그리고 길 찾기-한국의 젊은 시인들
  • 문예창작[20021201] 시작품 <하늘민박 2> 발표
  • 문예창작[20021201] 시작품 <하늘민박 4> 발표
  • 문예창작[20021201] 시작품 <하늘민박 3> 발표
  • 문예창작[20021001] 시작품 <길> 발표
  • 문예창작[20021001] 시작품 <개도 뻐꾸기 우는 소리를 낸다>발표
  • 문예창작[20021001] 시작품 <산> 발표
  • 문예창작[20020915] 시작품 [내 가슴에 공이 들어왔다] 발표
  • 문예창작[20020901] 시작품 [하늘민박] 발표
  • 문예창작[20020901] 시작품 [그는 누구인가] 발표
  • 문예창작[20020630] 서평 [지속과 변화의 시적 상상력에 대한 탐색
  • 문예창작[20020601] 시작품 <동백꽃 피고 지다> 발표
  • 문예창작[20020601] 시작품 <어느덧 봄날이 왔습니다> 발표
  • 문예창작[20020601] 시작품 [무릉역을 나오며] 발표
  • 문예창작[20020601] 시작품 [5월] 발표
  • 문예창작[20020601] 시작품 <도솔천> 발표
  • 문예창작[20020601] 시작품 <이른 봄 바다> 발표
  • 문예창작[20020601] 시작품 <소읍을 지나며> 발표
  • 문예창작[20020601] 시작품 <봄 저녁> 발표
  • 문예창작[20020601] 시작품 <분홍 안개> 발표
  • 문예창작[20020601] 시작품 [달꽃] 발표
  • 문예창작[20020601] 시작품 [라일락 질 무렵] 발표
  • 문예창작[20020601] 시작품 [가을 산] 발표
  • 문예창작[20020310] <섬>,<겨우, 섬을 빠져나오다>
  • 문예창작[20020301] 나의 '小邑'에 관한 遡遊(내가 영향받은 시론)
  • 문예창작[20011201] 수필 "그래, 다시 날아보자"
  • 문예창작[20011103] 수필 "내 시의 고향의 무늬"
  • 문예창작[20010901] 시 작품, [점박이풀],[가을산을 오르다], [민둥산] 등 3 편
  • 문예창작[20001201] 마산포,유월의 전화한통(2편)
  • 연구보고서[20050930] 지역문화지도사 양성과 활용방안
  • 연구보고서[20030731] 학생중심적 교양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일반논문[20161201] 고은의 『만인보』에 나타난 근대적 주체 인식
  • 일반논문[20160801] 천리마시대 북한 시의 서정적주인공
  • 일반논문[20151201] 고은의 「그 석굴 소년」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 일반논문[20141231] 허무의 육체와 몸의 정치성 - 고은 시에 나타난 몸의 인식
  • 일반논문[20131230] 고은 시의 ‘바다’의 공간인식
  • 일반논문[20130830] 북한식 서정의 초기 양상 -『리용악 시선집』(1957)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21230] 조병화의 후기 시에 나타난 고향의식 연구 ― 제 45시집 『그리운 사람이 있다는 것은』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10831] 윤석중 문학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 일반논문[20110831] 이찬 시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인식 연구
  • 일반논문[20110430] 신동엽 문학공간의 에듀테인먼트 활용 연구
  • 일반논문[20101230] 신동엽 시의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 공간 구현 방안
  • 일반논문[20081231]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위한 '질마재 신화' 공간 분석
  • 일반논문[20050630] 지역문화지도사의 양성과 활용의 필요성
  • 일반논문[20041215] 문학공간답사를 활용한 문학교육방안 시안
  • 일반논문[20010601] 상징의 산, 산의 지형학
  • 일반논문[20000105] 존재 의식의 혼불과 식물성 언어
  • 일반논문[19991210] 우주와의 육화 의식
  • 일반논문[19991127] 겨울 나그네의 사랑
  • 일반논문[19990901] 사라진 폭포, 우리집 살구나무(2편)
  • 일반논문[19990901] 산청의 눈보라,반딧불,기림사(3편)
  • 일반논문[19990228] 白石 詩의 "집"의 空間 認識
  • 일반논문[19981231] 白石 詩의 "산"의 空間 認識
  • 일반논문[19981228] 서정의 힘
  • 일반논문[19980831] 鄭芝溶 詩의 '山'의 象徵性
  • 일반논문[19980801] 「감포가는길, 박재삼 저녁바다, 겨울 참나무(3편)
  • 일반논문[19970228] 困窮한 삶의 認識과 새 時代의 感激
  • 일반논문[19960801] 「풀잎」, 하구(2편)
  • 일반논문[19960701] 「저녁바다」, 오이도, 흰뼈(3편)
  • 일반논문[19960629] 정지용 시의 '물'의 상징유형 연구
  • 일반논문[19951025] '달마'의 현실인식
  • 일반논문[19950222] 李朝 선비의 흰옷정신
  • 일반논문[19940630] 윤동주시의 세계인식과 자아동일성
  • 일반논문[19940531] 김소월시의 세계인식
  • 일반논문[19920127] 어둠속의 기억 혹은 자아회복을 위하여
  • 일반논문[19911115] 인생론적 삶의식의 세계
  • 일반논문[19910701] 존재의 집에 대한 역설적 화법
  • 일반논문[19910625] 현실초월의 낙원의식
  • 일반논문[19910101] 윤동주의 동시 세계
  • 일반논문[19900901] '세속도시'에서 '천국'으로
  • 일반논문[19900825] 삶의 환한 자리와 회복
  • 일반논문[19900410] 삶의 근원에 대한 서정적 인식
  • 일반논문[19900103] 존재론적 사유의 넓이와 깊이
  • 일반논문[19900102] 진실이 없는 시대와 시의 표정
  • 일반논문[19900101] 한국현대시의 상징유형연구
  • 일반논문[19891130] 그리운 한 채의 집
  • 일반논문[19891120] 삶의 서정적 인식과현상학적 상상력
  • 일반논문[19890701] 절대적 세계지향의 서정적 인식
  • 일반논문[19890525] 하늘로 가는 길
  • 일반논문[19890102] 시와 내면적 대응
  • 일반논문[19890101] 김소월 시의 '길'의 원형상징
  • 일반논문[19880701] 분석적 해체주의의 세계관
  • 일반논문[19880628] '1과2'사이의 존재론적 인식
  • 일반논문[19880202] 시적 현실과 풍유적 상상력
  • 일반논문[19880201] 광물성, 신비성 혹은 절대성의 세계
  • 일반논문[19871001] 김소월 시의 정신사적 의미
  • 일반논문[19870915] 시와 정서의 교육적 기능
  • 일반논문[19860101] 윤동주 시의 원형상징연구(2)
  • 일반논문[19850211] 원전확보와 문학연구
  • 일반논문[19850101] 윤동주 시의 원형상징연구(1)
  • 일반논문[19831115] 서정과 현실 그리고 죽음
  • 저서/역서[20180405] 슬픔이 환해지다 : 김수복 시집
  • 저서/역서[20170324] 밤하늘이 시를 쓰다
  • 저서/역서[20151110] 하늘 우체국 : 김수복 시집
  • 저서/역서[20121220] 외박
  • 저서/역서[20081230] 사람들 속에 하늘이 있다
  • 저서/역서[20081230] 달을 따라 걷다
  • 저서/역서[20050531] 한국문학 공간과 문화콘텐츠
  • 저서/역서[20040229] 우물의 눈동자(김수복시집)
  • 저서/역서[20030925] 사라진 폭포(김수복 시집)
  • 저서/역서[20030710] [영상시집] 붉은머리학의 사랑노래
  • 저서/역서[20021025] 진달래꽃-김소월 시 자세히 읽기
  • 저서/역서[20020527]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윤동주 시 자세히 읽기
  • 저서/역서[20020225] 현대시의 이해와 분석;서정시가 있는 21세기 문학강의실
  • 저서/역서[20001225] 유석 조병옥박사
  • 저서/역서[19990825] 상징의숲-우리시의 상징과 자아 동일성
  • 저서/역서[19990225] 나한테 주어진 길-윤동주-
  • 저서/역서[19990128] 모든 길들은 노래를 부른다
  • 저서/역서[19960301] '문학에의 초대' 문학의 이해와 감상
  • 저서/역서[19950225] 별의 노래(윤동주의 시와 삶)
  • 저서/역서[19940825] 정신의 부드러운 힘:우리시의 상징과 표정
  • 저서/역서[19930101] 세계명작소설의 이해와 감상
  • 저서/역서[19920101] 한국현대소설의 이해와 감상
  • 저서/역서[19890328] 기도하는 나무(시집)
  • 저서/역서[19890110] 또 다른 사월 (시집)
  • 저서/역서[19890103] 아아, 젊음은 오래 거기 남아있거라(윤동주 평전)
  • 저서/역서[19880215] 새를 기다리며 (시집)
  • 저서/역서[19870101] 광복 40년 교과서 시 전집 (6권)
  • 저서/역서[19860101] 별 하나에 사랑과(윤동주시 해설집)
  • 저서/역서[19800520] 낮에 나온 반달
  • 저서/역서[19771220] 지리산 타령(시집)
  • 학술발표[20160709] 이의 상쟁을 넘어서 민족 상생의 세계로
  • 학술발표[20160201] Walking into the Spring Tree
  • 학술발표[20150629] Writing Poetry in anTorrent
  • 학술발표[20140703] Mythical Imagination and the my Poems
  • 학술발표[20131002] 국제창작 시낭송 <봄나무 속으로 걸어들어간다>, <골목>, <노을이 물드는 화석>
  • 학술발표[20130201] Metaphysical thrill toward the Origin of the Existence
  • 학술발표[20110213] 시 작품낭송 오후의 잠 등 4편
  • 학술발표[20101005] 바다가 시인을 낳는다
  • 학술발표[20100205] 문학과 에듀테인먼트
  • 학술발표[20090629] The Poetry and Mythical Imagination
  • 학술발표[20080715] Research of Creative Storytelling of Literary Place
  • 학술발표[20080627] 윤동주의 생애와 디아스포라
  • 학술발표[20070905] 시와 스토리텔링(Poetry and Storytelling)
  • 학술발표[20070809] A Nature Symbol of Korean Mordern Poetry
  • 학술발표[20070129] Korean Modern Poetry and the Significance of the 'Home'
  • 학술발표[20060627] 문학공간과 창작방법(Literay Space and Creative Methods)
  • 학술발표[20060623] The Feature of Literary Space in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 학술발표[20060204] A Way and A Poem
  • 학술발표[20050618] Sentido simbolico de la "montafia" espacio de la poesia de Beck Suck
  • 학술발표[20050528] The topography of the Korean comtemporary poetry(한국현대시와 지형)
  • 학술발표[20040924] 문학공간의 데이트베이스활용과 문화산업
  • 학술발표[20040809] 시낭송 : A Temple
  • 학술발표[20040809] 시낭송 : A Jar
  • 학술발표[20040809] The Pupil of a Well
  • 학술발표[20040808] A study of Archetypal Symbol in Korean Contemporary Poetry
  • 학술발표[20040424] 문학공간답사의 문학교육적 활용방안 연구
  • 학술발표[20040320] 시낭송 : 개도 뻐꾸기 우는 소리를 낸다
  • 학술발표[20040221] 38선과 문학
  • 학술발표[20030830] 바다와 문학
  • 학술발표[20030815] 생태·환경문제의 문학적 수용
  • 학술발표[20030207] El significado simbolico de la montana reflejada en la poesia contemporanea de Corea
  • 학술발표[20021212] 시의 모태공간
  • 학술발표[20021130] 시낭송 <하늘민박>, <기림사> 2편
  • 학술발표[20020814] The poetic diction and national figures of speech
  • 학술발표[20020622] 시낭송 <6월>, <기림사> 2편
  • 학술발표[20020605] 문학의 고향과 문학 작품
  • 학술발표[20011104] 내 시의 고향의 무늬
  • 학술발표[20011101] 디지털 시대와 현대시의 역할
  • 학술발표[20010718] 문학언어와 문학성
  • 학술발표[20010626] 시의 몸, 일상을 뒤집어라
  • 학술발표[20001119] 우리 시대의 시어의 위기, 서정의 위기
  • 학술발표[20001007] 사라진 폭포
  • 학술발표[19850531] 윤동주 시의 '방'의 원형상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