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단소개
학생 중심의 HUMART University

용인반도체 클러스터
-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는 차세대반도체를 특성화 분야로 지정하여, 대학원 파운드리공학과 신설(2022.09) 외에 공과대학 내 융합반도체전공 신설(2022.03)과 융합반도체공학과 신설 (2024.03)을 예정
-
대학지원의 차세대반도체사업단 신설(2022.11)과 공용 클린룸 건설 추진(2023.02.) 및 구축 (2023.08) 등을 통해 혁신융합대학 사업단의 성공적 운영이 가능
-
죽전캠퍼스가 속한 용인지역이 정부에서 발표한 「첨단산업 육성전략」에서 반도체 특화 국가산업 단지 조성, 하이닉스의 반도체 클러스터, 삼성의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등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축되는 장점을 활용
-
산업체와 연계한 산학협력 연구와 실무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실무형 인력양성이 가능한 지역 이점 확보
단국대 역량
-
산학연계 인력양성 사업을 통한 반도체 분야 고급인력 육성
사업단명 | 사업비 | 기간 | 참여기업 |
---|---|---|---|
차세대시스템반도체설계전문 인력양성사업 | 2.4억/년 | 2021-2024 | 파워큐브세미 외 3개 |
시스템반도체 융합전문인력양성사업 | 17.4억/년 | 2021-2024 | ㈜LG이노텍 외 36개 |
스마트센서 전문인력양성사업 | 2.6억/년 | 2022-2027 | ㈜엠엔텍 외 5개 |
차세대반도체 불량분석 및 품질관리 전문인력양성사업 | 20억/년 | 2022-2027 | 하나마이크론외 4개 |
LINC 3.0 사업단 | 40억/년 | 2022~2026 | 가족회사 약1천개 |
반도체 전공트랙 사업 | 9억/년 | 2022-2024 | 컨소시엄 관련 기업 24개 |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Bridge+사업) | 20억/년 | 2017-2022 |
교육 혁신
-
단차세대반도체 소재・부품・장비 분야 인력 514명/년 이상 양성
-
경기 동남부 용인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의 소재・부품・ 장비 산업체 수요 반영한 실습 특화 교육 과정 운영
-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산업체 인사를 활용한 실무 교과목 및 PBL 교과목 운영
공유 혁신
-
유연한 학사제도(공동학위제, 마이크로디그리, 학-석 연계과정)를 통한 공유교육 기회 확대
-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중심의 온라인 교육 컨텐츠 개발 및 공유
-
교류대학 확대 및 일반인 대상 반도체 교육 공유
인프라 혁신
-
소시엄 LMS와 연계한 단국대 LMS 개선 시행
-
반도체 제작 및 장비교육을 위한 실습 인프라(교육용 클린룸 및 계측실) 구축
-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교과목 교류를 위한 Active Learning Classroom 구축
산학협력 활성화
-
반도체 클러스터 소재・부품・장비 입주 산업체 중심 산학프로젝트 및 현장실습 추진
-
컨소시엄 참여대학이 위치한 지역 거점 산업체와 산학교류 협의체 운영
-
산학협력을 통한 진로・취업・창업 기회 확대
- 대학 홈페이지 add
- 대학원 홈페이지 add
- 부속/부설기관 홈페이지 add
단과대학
대학원
특수대학원(죽전)
특수대학원(천안)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