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

날짜

발표자

주제

1

1972.06.13

이장우

사기 태사공 자서

2

1972.07.12

박천규

진서 부여열전

3

1972.08.16

이휘교

송서 사령운전론

4

1972.09.12

김광수

사기 조선열전

5

1972.10.11

송항룡

송서 도연명전

6

1972.11.14

이장우

한서 사마천열전찬

7

1972.12.13

박천규

북사 신라열전

8

1973.02.20

김광수

양서 신라전

9

1973.03.21

송항룡

사기 노자전

10

1973.04.25

이장우

진신당서전

11

1973.05.17

박천규

북사 우문술전

12

1973.06.19

이휘교

구당서 두보전

13

1973.08.28

김광수

삼국지 위지 한전

14

1973.09.21

송항룡

사기 장자전

15

1973.10.12

이장우

진서 진수전

16

1973.11.23

박천규

북사 백제전

17

1973.12.21

이휘교

위지 왕찬전

18

1974.01.25

김광수

금사 고려전

19

1974.02.22

송항룡

사기 공자세가

20

1974.03.26

이장우

오지 손견, 손책전

21

1974.04.23

박천규

북사 백제전

22

1974.06.25

이휘교

구당서 이백전

23

1974.07.27

김광수

원사 기황후전

24

1974.08.27

송항룡

송사 주돈이전

25

1974.09.26

신승하

명사 조선전

26

기록 없음

27

1974.11.28

이장우

신당서 맹교전

28

1974.12.17

박천규

진서 동이, 진한

29

1974.12.17

이휘교

신당서 문예전(중)

30

1975.01.31

김광수

원사 탐라전

31

1975.02.25

송항룡

송사 도학전

32

1975.03.27

이휘교

구당서 송지문전

33

1975.04.23

이장우

사기 백이열전

34

1975.06.24

김광수

북사 권94, 열전82

35

1975.09.29

송항룡

송사 권 427, 도학전一 장재

36

1975.10.28

장석권

조선왕조형벌법의 특징

37

1975.11.28

김광수

25사 발췌자료범례 설명

38

1975.12.23

신승하

송사 고려전

39

1976.01.28

박천규

사기 권124, 어협열전 제64

40

1976.02.24

이휘교

한서 권54, 이광,소건전 제24(이릉전)

41

1976.04.24

송병기

하여장의 주지외교의에 관하여

42

1976.05.21

이호영

승신미 사호 시비

43

1976.07.23

송항룡

노장에서의 언어문제

44

1976.09.23

장석권

조선왕조 형벌법의 특징

45

1976.10.25

이호영

괘안 이수온의 일연구

46

1976.11.17

장석권

兪吉濬의 법사상

47

1977.03.28

송병기

대한제국의 성립에 관하여

48

1977.04.25

박천규

사대부에 관하여

49

1977.05.20

井上秀雄

일본에 있어서 한국학 연구 근황

50

1977.06.27

송항룡

동양인의 신관

51

1978.05.20

이호영

성읍국가설에 관하여

52

1978.06.22

김상현

삼국유사를 통해본 일연의 불교사 인식

53

1978.08.31

김상홍

다산의 사회시에 관한 연구

54

1979.10.10

황패강

내가 본 일본과 그 문화

55

기록 없음

56

1981.04.06

김원모

견미사절 홍영식복명문답기

57

1981.04.30

김상현

만파식적설화의 구조적 분석

58

1981.05.28

서영수

광개토대왕비문의 「朝貢」기사에 대하여

59

1981.06.25

강재철

삼국유사의 漢讚에 대하여

60

1981.07.15

윤내현

중국원시시대연구의 문제점

61

1981.09.09

이호영

신라삼국통일에 관한 재검토

62

1981.10.28

김상홍

다산시의 이미지에 대하여

63

1981.11.24

이강로

문법적 모호성과 그 사전처리의 문제점

64

1981.12.15

권영대

서보의 한시와 그 특징

65

1982.01.29

이호영

의려제련화설

66

1982.03.23

이충구

한국한자에 대한 문자학적 고찰

67

1982.04.26

이강로

차자어의 사전적 처리에 대하여

68

1982.11.29

김영만

한한사전에서의 한자음

69

1982.12.06

강재철

구미에 있어서의 한문학연구의 동향

70

1983.01.25

김원모

장인환 저격사건의 역사적 의의

71

1983.05.23

이강로

어휘의 고증과정에 대하여

72

1983.06.27

김원모

로즈함대의 내침과 양헌수의 항전

73

1983.11.30

김영수

여류문학연구의 몇 가지 검토

74

1983.12.07

윤내현

고조선의 재인식

75

1984.04.26

한시준

조소앙 연구: 독립운동을 중심으로

76

1984.09.14

이강로

동형어휘의 처리요령

77

1984.11.16

홍순석

한자어 주석상의 관련어 처리에 대하여

78

1984.12.11

김동길

한한대사전에서의 자전적 분리에 대한 소고(1)

79

1985.01.30

이호영

거칠부전 검토

80

1985.02.19

김동길

한한대사전에서의 자전적 분리에 대한 소고(2)

81

1985.02.22

김원모

원세개의 한글본 시사지무십관

82

1985.04.12

김동길

한한대사전에서의 자전적 분리에 대한 소고(3)

83

1985.04.18

김윤우

한국 고지명에 대한 소고

84

1985.05.17

김동길

사전주석에 대한 제문제

85

1985.06.28

유덕상

원시불교에 있어서 無我의 개념

86

1986.05.09

서지원

한한대사전의 컴퓨터편찬조판에 대하여

87

1986.06.17

김동길

한한대사전편찬지침(시안)에 관한 연구(1)

88

1986.07.08

김동길

한한대사전편찬지침(시안)에 관한 연구(2)

89

1986.09.09

서지원

한한대사전의 편찬과 컴퓨터인쇄

90

1987.03.19

서지원

사전편찬과 컴퓨터인쇄(2)

91

1987.06.10

유덕상

불교개혁의 필요성에 대한 연기론적 사고

92

1987.09.16

한시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선전활동

93

1987.11.10

김영수

려말선초의 문학론 소고

94

1987.12.04

정용욱

3·1운동의 지역별 전개양태 및 그 특징

95

1987.12.21

정석용

김종직의 한시 고찰

96

1988.05.20

서지원

사전출판에 있어 컴퓨터이용의 국내외 동향

97

1988.07.08

강영순

유몽연의 문학연구

98

1988.08.12

정용욱

식민지시대 민족주의 좌파의 범위와 그 논리

99

1988.08.19

정석용

『遊頭流錄』소고

100

1988.09.23

김영수

조선전기시가논의 소고

101

1989.02.24

유덕상

민중불교의 개념고찰

102

1989.04.18

김윤우

신라말의 구사성과 진례성고

103

1989.06.13

김세봉

조선전기 사화의 성격에 대한 일고찰

104

1989.08.30

정용욱

북한역사학계의 민족해방운동사 인식의 특징

105

1989.09.27

정석용

김종직의 기행문학고: 유두류록을 중심으로

106

1989.11.22

유덕상

미륵사상의 현대적 고찰

107

1990.03.26

이강로

사전적 처리에서 본 중국음과 한국음

108

1990.04.30

변종현

고죽 최경창 한시의 당풍적 성격

109

1990.05.28

김상현

삼국유사의 역사방법론적 고찰

110

1990.06.18

이호영

신라 · 고구려의 재정관서

111

1990.09.28

강영순

금계필담의 유형분류와 구전소설의 관련양상

112

1999.03.29

김병기

대동칠십일갑사에 대하여

이은상

중국문학사 서술을 위한 일반원칙

113

1999.06.28

김현수

구미인의 생사관에 대한 일고찰

김호연

부민관 연구를 위한 시론

114

1999.09.28

윤승준

한·중 우언의 비교연구(1)

신재의

조선에 치과의학의 도입

115

1999.12.28

홍성남

이우준의 <몽유연행록>에 대하여

116

2000.06.12

김태석

모리스 꾸랑의 생애와 저술

117

2001.06.20

오인영

서양의 여행기와 신문에 나타난 한국과 오리엔탈리즘

118

2002.07.02

박원길

몽골의 행정체제 변천사

이은상

순욱의 목천자전 인식

119

2003.01.27

김기선

대마도 지명에 나타나는 몽골 지명 요소에 관한 고찰

김호연

한국 근대 악극에 관한 일고찰

120

2003.10.02

박승범

해적의 나라

121

2004.07.29

신선희

Demosthenes와 아테나이의 대외정책

이현우

오유란전에 대하여

122

2004.12.09

권동순

天草版平家物語의 시간표현

박상진

제1차 검인정시대 학교문법서의 품사론

123

2005.05.18

이재령

중국 향촌 교육공동체의 사상적 모색

송재용

구한말 순국열사 주영공사서리 이한응

124

2005.07.11

장두식

강경애 소설 연구

박상진

영화광고 언어 연구

125

2005.11.28

권동순

중세말 일본어 시간표현

이현우

화랑세기 소재 향가 1수의 대비적 고찰

126

2005.11.28

송재용

송덕봉론

장두식

연애소설의 공식성 연구

127

(125)

2006.12.15

윤성주

미국에서의 최근 동아시아 연구동향

조춘리

신좌파와 자유파의 세기논쟁

126

2007.06.22

김난주

일본 중세극의 그로테스크성 고찰

이현우

민요에 나타난 採詩觀 연구

127

2007.12.06

김문식

연민문고 필사본의 가치

Eugene Y. Park

한국 근현대 족보담론과 전문직 중인층의 동향

128

2008.06.20

Li Feng

Managing the World through Writing

김정렬

빈공수 명문과 그 역사적 의의

129

2008.12.09

표광종

문화콘텐츠 산업 현황과 전망

김재훈

디지털 문명과 융합의 경쟁력

130

2009.02.16

장두식

홍사용의 「저승길」 연구

유용태

한국 근대 문학정전의 미적 범주 연구

131

2009.06.23

E.Shaugh

nessy

중국 고대 점복과 시의 상관성

(Arousing Images: The Poetry of Divination

and the Divination of Poetry)

132

2009.09.21

魏存成

중국 소재 고구려 ․ 발해 유적의 이해

133

2010.05.28

부유섭

燕行錄을 통해 본 康雍年間 中國書籍 유입에 대하여

134

2010.06.28

김재관

이광수의 근대교육의식 연구 - 문명·문화담론을 중심으로

서종원

「願堂重修記」를 통해 본 위도띠뱃굿의 위상과 역할

135

2010.08.26

함영대

조선 후기 韓日양국의 학술교류와 󰡔童子問󰡕

박영미

韓日지식인의 日光에 대한 시선과 그 양면성

엄태웅

영웅소설 속의 중국, 그리고 조선

안창수

韓日 초기 소설사 서술양상 고찰

서한석

<泛槎圖>와 김석준 ―그림에 깃든 문화교류의 단면

136

2010.10.23

권동순

17세기 일본인의 조선인식 - 杉村妥女의 <上京之時每日記>에 대하여

맹영일

조선 중기 화론의 전개양상 - 간이 최립의 미학사상을 중심으로

이종필

‘행복한 결말’을 통해 본 17세기 소설사의 변환 양상

137

2010.11.18

강인규

중국최초의 미국유학생 용굉의 일생

138

2010.11.26

김정숙

조선시대 문헌 속 琉球 체험과 문학적 형상화

손유경

17세기 초 明使 接伴 양상에 관한 고찰

배종석

梅泉 黃玹의 「李忠武公龜船歌」 고찰

139

2010.12.15

김홍겸

󰡔老殘遊記󰡕와 중국소설의 Storytelling

이호석

宗密의 󰡔原人論󰡕의 시각에서 본 僧肇의 「涅槃無名論」

140

2011.01.27

김영옥

조선조 한자 자형의 전승 양상

부유섭

연행록을 통해 본 건륭 연간 중국 서적 유입에 대한 연구

141

2011.05.31

김홍겸

韓中日의 여우 이미지 비교연구

김난주

女狂言考-중세 사회와 여성

이호석

明鏡과 破鏡을 통한 頓漸論爭의 재해석

142

2011.07.20

함영대

여유량의 사서강의 수용과 조선후기 학술의 성격

박영미

󰡔韓客唱酬錄󰡕의 해제

김호연

한국 대중공연예술의 새로운 인식을 위한 시고

-일제강점기 소녀가극을 중심으로-

143

2011.08.17

이종필

내재적 발전론을 통해 본 고소설 연구의 흐름과 향방

엄태웅

조선후기 설인귀 수용의 맥락

144

2011.09.27

김재관

李光洙 初期 論說에 나타난 文明化論 硏究 ―敎育論을 중심으로―

김홍겸

󰡔西遊記󰡕 속 손오공의 사회화 과정

이호석

󰡔中論󰡕 「觀涅槃品第二十五」에서 涅槃의 의미

―靑目(Pingala)과 月稱(Candrakīrti)의 註釋들의 비교를 중심으로―

145

2011.10.7

劉釗

찬란한 유년기 ―고고학 발견과 중국 고대문명의 새로운 평가―

146

2011.12.20

서한석

김석준의 범사도첩 연구

김정숙

조선인이 본 일본의 기생과 性文化

권동순

일본인의 조선기행문 2

이영수

󰡔장화홍련전󰡕 설화의 구비전승 양상에 관한 연구

김홍겸

중국창세신화 연구 - 혼돈과 개벽을 중심으로

이호석

僧肇의 緣起觀 ―󰡔肇論󰡕을 중심으로―

147

2012.01.16

김철웅

강화도 마니산 참성단에 대한 재검토

이권희

메이지(明治) 전기 국민국가 형성과 교육

148

2012.05.18

이호석

󰡔肇論󰡕에 나타난 佛의 속성 ―佛敎는 汎神論인가 理神論인가?―

조동영

퇴계기념중앙도서관 소장 고문서 정리의 학술적 가치 ―敎旨를 중심으로―

이권희

메이지 唱歌 교육에 관한 小考

김홍겸

한중 고대신화 속 닭과 알의 이미지

149

2012.06.18

김재관

조선총독부의 식민지 지배정책과 「五道踏破旅行」의 상관성 연구

서종원

일제강점기 완구에 대한 고찰

유용태

한국 근대문학 정전의 구조 연구

150

2012.10.04

Lothar von Falkenhausen

공자시대 중국 청동기 - 西周 後期 儀禮 改革

151

2014.02.05

김태국

중국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 문화정체성

152

2016.03.28

양지선

국내외 독립군가 수집 및 음악극 제작을 위한 제안

오대양 ·이호석

·현대 한반도 정착 이주민 관련자료 수집과 DB 구축을 위한 제안

153

2016.05.30

이건식

󰡔한국한자어사전󰡕 未收錄 󰡔조선왕조실록󰡕 한국한자어에 대하여

박찬규

󰡔한한대사전󰡕 한자 字音의 갈래와 유형분류

154

2016.07.25

윤채근

동양 고전소설에 등장하는 의 기원과 윤리적 주체

-󰡔剪燈新話󰡕󰡔金鰲新話󰡕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유승

민족 고전의 허상과 실상 -󰡔동국세시기󰡕의 편찬 배경과 의의-

155

2016.09.30

정성권

태조 왕건 친제 운주 흥법사지 진공대사 탑비의 조성 배경

이재령

일제식민지시기 재중 한인유학생의 근대학문 수용 북경을 중심으로-

156

2016.12.15

심재훈

동아시아의 요람, 고대 중국문명: 한민족의 위대한 상고사 환상 깨기

157

2017.02.10

손성욱

淸朝盛衰朝鮮 使臣儀禮활동

이호석

東洋學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提言

158

2017.05.10

양지선

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항일음악 DB 구축 방안

이호석

조선후기부터 구한말까지 慶州지역 고문서 자료 DB 구축 방안

159

2017.07.06

김철웅

인문학 융성을 위한 고문서의 활용방안 단국대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이충구

조선시대 고문서 자료의 DB 구축을 위한 제언

160

2017.11.27

임재완

조선후기 고문서 연구 민간 간찰을 중심으로

김명환

구한말 고문서 연구 초서 편지글을 중심으로

161

2017.12.26

권기갑

고문서의 사료적 가치와 활용방안

이충구

구한말 고문서를 통한 민간생활사 재구

162

2018.01.31

김수현

항일음악 연구 성과 검토

양지선

한유한의 생애와 항일음악

163

2018.04.06

박성진

여러면석기의 정의, 분류 및 기능에 관한 연구

이호석

동양학연구원 인문학 발전과 연구과제 수주 향상을 위한 중·장기 계획

164

2018.07.18

반혜성

창가의 음악성

염원희

항일가사의 존재양상과 의미 -의병가사와 만주망명가사를 중심으로-

165

2018.09.27

오영삼

조선회화의 이상경 -몽유도원도

강소연

무명과 반야의 도상학: 조선시대 <감로탱>을 중심으로

166

2018.12.10

김철웅

이색의 현화낙백우설에 대한 재검토

차광호

삼국유사 탑상편 오대산문수사석탑기조의 검토

167

2019.01.24

한정한

한국어=베트남어 웹사전 개발 제안

168

2019.03.04

오대양

중국 산동지역 신석기시대문화의 변동과 연속성

-연구의 필요성과 방법론 검토-

박선미

산동지역의 선사문화와 주민

169

2019.09.11

김효정

태호(太湖) 이원진(李元鎭)(1594~1675)의 시세계 고찰

이황진

쌍백당(雙柏堂) 이세화(李世華)(1630~1701)의 삶과 시세계

170

2019.12.03

조숙자

해외 동양학 연구동향과 전망 미국 내 중국학고 한국학을 중심으로

171

2020.01.30

류정민

한자 문화권과 양층 언어(diglossia)의 문제

허철

한자 어휘 교육의 방법 모색과 실행 방안

정승혜

물명류(物名類) 연구 현황과 DB 구축

172

2020.02.05

김명섭

한국 광복군과 조선 의용군의 항일음악 비교

김보희

재소고려인의 음악활동 항일음악의 보존과 전승

173

기록 없음.

174

2020.10.22

반혜성

󰡔광복군가집 제1󰡕으로 분석한 항일음악의 특징

노복순

동일곡조 다른 가사의 항일음악 연구

175

2020.11.13

김민호

서영해의 독립운동

박경목

일제강점기 대전감옥 개소와 확장

176

2021.01.14

권진옥

망자를 위한 글쓰기의 장르 간 관계성 연구 겸재(謙齋) 조태억(趙泰億)을 중심으로-

이승용

謙齋 趙泰億前感君恩後感君恩에 관한 일고찰

177

2021.02.03

차서연

성재허전의 심의 연구

임근실

16세기 영남지역 서원의 특징과 의미

178

2021.06.25.

김우정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사전편찬사업 <한국역대한자자형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활용>

허철

한국연구재단 일반과제 <인공지능번역 개발을 위한 한문 자료 코퍼스 구축방안>

179

2021.08.24

박성진

울트라 마린 :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이집트 문명에서의 파란색의 상징적 의미

오대양

금강하류 청동기시대 묘제의 네트워크와 사회적 성격

180

2021.11.05

김수현

미국 하와이 김신일컬렉션 창가집 수록곡 연구

김명섭

1920년대 만주 민족학교에서 부른 항일노래

181

2021.12.09

이안나

몽골 민간신앙

강준영

내몽골 민간신앙

182

2022.07.27

김응교

신동엽의 역사인식과 단국대학교

홍승진

신동엽과 동학사상

183

2022.09.15

김명섭

1920년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기념행사에서 부른 항일노래

반혜성

항일가극 아리랑삽입곡 <한국행진곡>의 음악 분석

184

2022.10.31

오대양

묘제의 변화상을 통해 본 고조선문화의 정체성 검토

이호석

승조(僧肇)의 반야 수행론

   185   

2023.01.30

오대양

요동~서북한지역 고인돌 사회의 성격과 경관성

           - 고조선문화와의 관계성에 중점하여

반혜성

20세기 국내외 한민족의 ‘나라 사랑의 노래’ 연구

김명섭

만주 독립군의 독립전쟁과 항일노래(1910~1937)

박성진

보이지 않는 선 지우기-모비우스의 이원론적 석기문화론 비판

186

2023.06.26

반혜성

구파발 금성당제의 복원과정에서 살펴본 서울굿 음악

김수현

불교가사가 담긴 창가집 『불세존창가』(1912) 연구

187

2023.07.18

오대양

금강 중상류역 초기 고인돌의 지역성과 문화성격

이호석

감산 덕청의 <중용직지> 제20~23장을 통해 본 '성(誠)'과 '치곡(致曲)'의 불교적 해석에 대한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