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 |
날짜 |
발표자 |
주제 |
1 |
1972.06.13 |
이장우 |
사기 태사공 자서 |
2 |
1972.07.12 |
박천규 |
진서 부여열전 |
3 |
1972.08.16 |
이휘교 |
송서 사령운전론 |
4 |
1972.09.12 |
김광수 |
사기 조선열전 |
5 |
1972.10.11 |
송항룡 |
송서 도연명전 |
6 |
1972.11.14 |
이장우 |
한서 사마천열전찬 |
7 |
1972.12.13 |
박천규 |
북사 신라열전 |
8 |
1973.02.20 |
김광수 |
양서 신라전 |
9 |
1973.03.21 |
송항룡 |
사기 노자전 |
10 |
1973.04.25 |
이장우 |
진신당서전 |
11 |
1973.05.17 |
박천규 |
북사 우문술전 |
12 |
1973.06.19 |
이휘교 |
구당서 두보전 |
13 |
1973.08.28 |
김광수 |
삼국지 위지 한전 |
14 |
1973.09.21 |
송항룡 |
사기 장자전 |
15 |
1973.10.12 |
이장우 |
진서 진수전 |
16 |
1973.11.23 |
박천규 |
북사 백제전 |
17 |
1973.12.21 |
이휘교 |
위지 왕찬전 |
18 |
1974.01.25 |
김광수 |
금사 고려전 |
19 |
1974.02.22 |
송항룡 |
사기 공자세가 |
20 |
1974.03.26 |
이장우 |
오지 손견, 손책전 |
21 |
1974.04.23 |
박천규 |
북사 백제전 |
22 |
1974.06.25 |
이휘교 |
구당서 이백전 |
23 |
1974.07.27 |
김광수 |
원사 기황후전 |
24 |
1974.08.27 |
송항룡 |
송사 주돈이전 |
25 |
1974.09.26 |
신승하 |
명사 조선전 |
26 |
기록 없음 |
||
27 |
1974.11.28 |
이장우 |
신당서 맹교전 |
28 |
1974.12.17 |
박천규 |
진서 동이, 진한 |
29 |
1974.12.17 |
이휘교 |
신당서 문예전(중) |
30 |
1975.01.31 |
김광수 |
원사 탐라전 |
31 |
1975.02.25 |
송항룡 |
송사 도학전 |
32 |
1975.03.27 |
이휘교 |
구당서 송지문전 |
33 |
1975.04.23 |
이장우 |
사기 백이열전 |
34 |
1975.06.24 |
김광수 |
북사 권94, 열전82 |
35 |
1975.09.29 |
송항룡 |
송사 권 427, 도학전一 장재 |
36 |
1975.10.28 |
장석권 |
조선왕조형벌법의 특징 |
37 |
1975.11.28 |
김광수 |
25사 발췌자료범례 설명 |
38 |
1975.12.23 |
신승하 |
송사 고려전 |
39 |
1976.01.28 |
박천규 |
사기 권124, 어협열전 제64 |
40 |
1976.02.24 |
이휘교 |
한서 권54, 이광,소건전 제24(이릉전) |
41 |
1976.04.24 |
송병기 |
하여장의 주지외교의에 관하여 |
42 |
1976.05.21 |
이호영 |
승신미 사호 시비 |
43 |
1976.07.23 |
송항룡 |
노장에서의 언어문제 |
44 |
1976.09.23 |
장석권 |
조선왕조 형벌법의 특징 |
45 |
1976.10.25 |
이호영 |
괘안 이수온의 일연구 |
46 |
1976.11.17 |
장석권 |
兪吉濬의 법사상 |
47 |
1977.03.28 |
송병기 |
대한제국의 성립에 관하여 |
48 |
1977.04.25 |
박천규 |
사대부에 관하여 |
49 |
1977.05.20 |
井上秀雄 |
일본에 있어서 한국학 연구 근황 |
50 |
1977.06.27 |
송항룡 |
동양인의 신관 |
51 |
1978.05.20 |
이호영 |
성읍국가설에 관하여 |
52 |
1978.06.22 |
김상현 |
삼국유사를 통해본 일연의 불교사 인식 |
53 |
1978.08.31 |
김상홍 |
다산의 사회시에 관한 연구 |
54 |
1979.10.10 |
황패강 |
내가 본 일본과 그 문화 |
55 |
기록 없음 |
||
56 |
1981.04.06 |
김원모 |
견미사절 홍영식복명문답기 |
57 |
1981.04.30 |
김상현 |
만파식적설화의 구조적 분석 |
58 |
1981.05.28 |
서영수 |
광개토대왕비문의 「朝貢」기사에 대하여 |
59 |
1981.06.25 |
강재철 |
삼국유사의 漢讚에 대하여 |
60 |
1981.07.15 |
윤내현 |
중국원시시대연구의 문제점 |
61 |
1981.09.09 |
이호영 |
신라삼국통일에 관한 재검토 |
62 |
1981.10.28 |
김상홍 |
다산시의 이미지에 대하여 |
63 |
1981.11.24 |
이강로 |
문법적 모호성과 그 사전처리의 문제점 |
64 |
1981.12.15 |
권영대 |
서보의 한시와 그 특징 |
65 |
1982.01.29 |
이호영 |
의려제련화설 |
66 |
1982.03.23 |
이충구 |
한국한자에 대한 문자학적 고찰 |
67 |
1982.04.26 |
이강로 |
차자어의 사전적 처리에 대하여 |
68 |
1982.11.29 |
김영만 |
한한사전에서의 한자음 |
69 |
1982.12.06 |
강재철 |
구미에 있어서의 한문학연구의 동향 |
70 |
1983.01.25 |
김원모 |
장인환 저격사건의 역사적 의의 |
71 |
1983.05.23 |
이강로 |
어휘의 고증과정에 대하여 |
72 |
1983.06.27 |
김원모 |
로즈함대의 내침과 양헌수의 항전 |
73 |
1983.11.30 |
김영수 |
여류문학연구의 몇 가지 검토 |
74 |
1983.12.07 |
윤내현 |
고조선의 재인식 |
75 |
1984.04.26 |
한시준 |
조소앙 연구: 독립운동을 중심으로 |
76 |
1984.09.14 |
이강로 |
동형어휘의 처리요령 |
77 |
1984.11.16 |
홍순석 |
한자어 주석상의 관련어 처리에 대하여 |
78 |
1984.12.11 |
김동길 |
한한대사전에서의 자전적 분리에 대한 소고(1) |
79 |
1985.01.30 |
이호영 |
거칠부전 검토 |
80 |
1985.02.19 |
김동길 |
한한대사전에서의 자전적 분리에 대한 소고(2) |
81 |
1985.02.22 |
김원모 |
원세개의 한글본 시사지무십관 |
82 |
1985.04.12 |
김동길 |
한한대사전에서의 자전적 분리에 대한 소고(3) |
83 |
1985.04.18 |
김윤우 |
한국 고지명에 대한 소고 |
84 |
1985.05.17 |
김동길 |
사전주석에 대한 제문제 |
85 |
1985.06.28 |
유덕상 |
원시불교에 있어서 無我의 개념 |
86 |
1986.05.09 |
서지원 |
한한대사전의 컴퓨터편찬조판에 대하여 |
87 |
1986.06.17 |
김동길 |
한한대사전편찬지침(시안)에 관한 연구(1) |
88 |
1986.07.08 |
김동길 |
한한대사전편찬지침(시안)에 관한 연구(2) |
89 |
1986.09.09 |
서지원 |
한한대사전의 편찬과 컴퓨터인쇄 |
90 |
1987.03.19 |
서지원 |
사전편찬과 컴퓨터인쇄(2) |
91 |
1987.06.10 |
유덕상 |
불교개혁의 필요성에 대한 연기론적 사고 |
92 |
1987.09.16 |
한시준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선전활동 |
93 |
1987.11.10 |
김영수 |
려말선초의 문학론 소고 |
94 |
1987.12.04 |
정용욱 |
3·1운동의 지역별 전개양태 및 그 특징 |
95 |
1987.12.21 |
정석용 |
김종직의 한시 고찰 |
96 |
1988.05.20 |
서지원 |
사전출판에 있어 컴퓨터이용의 국내외 동향 |
97 |
1988.07.08 |
강영순 |
유몽연의 문학연구 |
98 |
1988.08.12 |
정용욱 |
식민지시대 민족주의 좌파의 범위와 그 논리 |
99 |
1988.08.19 |
정석용 |
『遊頭流錄』소고 |
100 |
1988.09.23 |
김영수 |
조선전기시가논의 소고 |
101 |
1989.02.24 |
유덕상 |
민중불교의 개념고찰 |
102 |
1989.04.18 |
김윤우 |
신라말의 구사성과 진례성고 |
103 |
1989.06.13 |
김세봉 |
조선전기 사화의 성격에 대한 일고찰 |
104 |
1989.08.30 |
정용욱 |
북한역사학계의 민족해방운동사 인식의 특징 |
105 |
1989.09.27 |
정석용 |
김종직의 기행문학고: 유두류록을 중심으로 |
106 |
1989.11.22 |
유덕상 |
미륵사상의 현대적 고찰 |
107 |
1990.03.26 |
이강로 |
사전적 처리에서 본 중국음과 한국음 |
108 |
1990.04.30 |
변종현 |
고죽 최경창 한시의 당풍적 성격 |
109 |
1990.05.28 |
김상현 |
삼국유사의 역사방법론적 고찰 |
110 |
1990.06.18 |
이호영 |
신라 · 고구려의 재정관서 |
111 |
1990.09.28 |
강영순 |
금계필담의 유형분류와 구전소설의 관련양상 |
112 |
1999.03.29 |
김병기 |
대동칠십일갑사에 대하여 |
이은상 |
중국문학사 서술을 위한 일반원칙 |
||
113 |
1999.06.28 |
김현수 |
구미인의 생사관에 대한 일고찰 |
김호연 |
부민관 연구를 위한 시론 |
||
114 |
1999.09.28 |
윤승준 |
한·중 우언의 비교연구(1) |
신재의 |
조선에 치과의학의 도입 |
||
115 |
1999.12.28 |
홍성남 |
이우준의 <몽유연행록>에 대하여 |
116 |
2000.06.12 |
김태석 |
모리스 꾸랑의 생애와 저술 |
117 |
2001.06.20 |
오인영 |
서양의 여행기와 신문에 나타난 한국과 오리엔탈리즘 |
118 |
2002.07.02 |
박원길 |
몽골의 행정체제 변천사 |
이은상 |
순욱의 목천자전 인식 |
||
119 |
2003.01.27 |
김기선 |
대마도 지명에 나타나는 몽골 지명 요소에 관한 고찰 |
김호연 |
한국 근대 악극에 관한 일고찰 |
||
120 |
2003.10.02 |
박승범 |
해적의 나라 |
121 |
2004.07.29 |
신선희 |
Demosthenes와 아테나이의 대외정책 |
이현우 |
오유란전에 대하여 |
||
122 |
2004.12.09 |
권동순 |
天草版平家物語의 시간표현 |
박상진 |
제1차 검인정시대 학교문법서의 품사론 |
||
123 |
2005.05.18 |
이재령 |
중국 향촌 교육공동체의 사상적 모색 |
송재용 |
구한말 순국열사 주영공사서리 이한응 |
||
124 |
2005.07.11 |
장두식 |
강경애 소설 연구 |
박상진 |
영화광고 언어 연구 |
||
125 |
2005.11.28 |
권동순 |
중세말 일본어 시간표현 |
이현우 |
화랑세기 소재 향가 1수의 대비적 고찰 |
||
126 |
2005.11.28 |
송재용 |
송덕봉론 |
장두식 |
연애소설의 공식성 연구 |
||
127 (125) |
2006.12.15 |
윤성주 |
미국에서의 최근 동아시아 연구동향 |
조춘리 |
신좌파와 자유파의 세기논쟁 |
||
126 |
2007.06.22 |
김난주 |
일본 중세극의 그로테스크성 고찰 |
이현우 |
민요에 나타난 採詩觀 연구 |
||
127 |
2007.12.06 |
김문식 |
연민문고 필사본의 가치 |
Eugene Y. Park |
한국 근현대 족보담론과 전문직 중인층의 동향 |
||
128 |
2008.06.20 |
Li Feng |
Managing the World through Writing |
김정렬 |
빈공수 명문과 그 역사적 의의 |
||
129 |
2008.12.09 |
표광종 |
문화콘텐츠 산업 현황과 전망 |
김재훈 |
디지털 문명과 융합의 경쟁력 |
||
130 |
2009.02.16 |
장두식 |
홍사용의 「저승길」 연구 |
유용태 |
한국 근대 문학정전의 미적 범주 연구 |
||
131 |
2009.06.23 |
E.Shaugh nessy |
중국 고대 점복과 시의 상관성 (Arousing Images: The Poetry of Divination and the Divination of Poetry) |
132 |
2009.09.21 |
魏存成 |
중국 소재 고구려 ․ 발해 유적의 이해 |
133 |
2010.05.28 |
부유섭 |
燕行錄을 통해 본 康雍年間 中國書籍 유입에 대하여 |
134 |
2010.06.28 |
김재관 |
이광수의 근대교육의식 연구 - 문명·문화담론을 중심으로 |
서종원 |
「願堂重修記」를 통해 본 위도띠뱃굿의 위상과 역할 |
||
135 |
2010.08.26 |
함영대 |
조선 후기 韓日양국의 학술교류와 童子問 |
박영미 |
韓日지식인의 日光에 대한 시선과 그 양면성 |
||
엄태웅 |
영웅소설 속의 중국, 그리고 조선 |
||
안창수 |
韓日 초기 소설사 서술양상 고찰 |
||
서한석 |
<泛槎圖>와 김석준 ―그림에 깃든 문화교류의 단면 |
||
136 |
2010.10.23 |
권동순 |
17세기 일본인의 조선인식 - 杉村妥女의 <上京之時每日記>에 대하여 |
맹영일 |
조선 중기 화론의 전개양상 - 간이 최립의 미학사상을 중심으로 |
||
이종필 |
‘행복한 결말’을 통해 본 17세기 소설사의 변환 양상 |
||
137 |
2010.11.18 |
강인규 |
중국최초의 미국유학생 용굉의 일생 |
138 |
2010.11.26 |
김정숙 |
조선시대 문헌 속 琉球 체험과 문학적 형상화 |
손유경 |
17세기 초 明使 接伴 양상에 관한 고찰 |
||
배종석 |
梅泉 黃玹의 「李忠武公龜船歌」 고찰 |
||
139 |
2010.12.15 |
김홍겸 |
老殘遊記와 중국소설의 Storytelling |
이호석 |
宗密의 原人論의 시각에서 본 僧肇의 「涅槃無名論」 |
||
140 |
2011.01.27 |
김영옥 |
조선조 한자 자형의 전승 양상 |
부유섭 |
연행록을 통해 본 건륭 연간 중국 서적 유입에 대한 연구 |
||
141 |
2011.05.31 |
김홍겸 |
韓中日의 여우 이미지 비교연구 |
김난주 |
女狂言考-중세 사회와 여성 |
||
이호석 |
明鏡과 破鏡을 통한 頓漸論爭의 재해석 |
||
142 |
2011.07.20 |
함영대 |
여유량의 사서강의 수용과 조선후기 학술의 성격 |
박영미 |
韓客唱酬錄의 해제 |
||
김호연 |
한국 대중공연예술의 새로운 인식을 위한 시고 -일제강점기 소녀가극을 중심으로- |
||
143 |
2011.08.17 |
이종필 |
내재적 발전론을 통해 본 고소설 연구의 흐름과 향방 |
엄태웅 |
조선후기 설인귀 수용의 맥락 |
||
144 |
2011.09.27 |
김재관 |
李光洙 初期 論說에 나타난 文明化論 硏究 ―敎育論을 중심으로― |
김홍겸 |
西遊記 속 손오공의 사회화 과정 |
||
이호석 |
中論 「觀涅槃品第二十五」에서 涅槃의 의미 ―靑目(Pingala)과 月稱(Candrakīrti)의 註釋들의 비교를 중심으로― |
||
145 |
2011.10.7 |
劉釗 |
찬란한 유년기 ―고고학 발견과 중국 고대문명의 새로운 평가― |
146 |
2011.12.20 |
서한석 |
김석준의 범사도첩 연구 |
김정숙 |
조선인이 본 일본의 기생과 性文化 |
||
권동순 |
일본인의 조선기행문 2 |
||
이영수 |
장화홍련전 설화의 구비전승 양상에 관한 연구 |
||
김홍겸 |
중국창세신화 연구 - 혼돈과 개벽을 중심으로 |
||
이호석 |
僧肇의 緣起觀 ―肇論을 중심으로― |
||
147 |
2012.01.16 |
김철웅 |
강화도 마니산 참성단에 대한 재검토 |
이권희 |
메이지(明治) 전기 국민국가 형성과 교육 |
||
148 |
2012.05.18 |
이호석 |
肇論에 나타난 佛의 속성 ―佛敎는 汎神論인가 理神論인가?― |
조동영 |
퇴계기념중앙도서관 소장 고문서 정리의 학술적 가치 ―敎旨를 중심으로― |
||
이권희 |
메이지 唱歌 교육에 관한 小考 |
||
김홍겸 |
한중 고대신화 속 닭과 알의 이미지 |
||
149 |
2012.06.18 |
김재관 |
조선총독부의 식민지 지배정책과 「五道踏破旅行」의 상관성 연구 |
서종원 |
일제강점기 완구에 대한 고찰 |
||
유용태 |
한국 근대문학 정전의 구조 연구 |
||
150 |
2012.10.04 |
Lothar von Falkenhausen |
공자시대 중국 청동기 - 西周 後期 儀禮 改革 |
151 |
2014.02.05 |
김태국 |
중국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 문화정체성 |
152 |
2016.03.28 |
양지선 |
‘국내외 독립군가 수집 및 음악극 제작’을 위한 제안 |
오대양 ·이호석 |
‘근·현대 한반도 정착 이주민 관련자료 수집과 DB 구축’을 위한 제안 |
||
153 |
2016.05.30 |
이건식 |
한국한자어사전 未收錄 조선왕조실록 한국한자어에 대하여 |
박찬규 |
한한대사전 한자 字音의 갈래와 유형분류 |
||
154 |
2016.07.25 |
윤채근 |
동양 고전소설에 등장하는 惡의 기원과 윤리적 주체 -剪燈新話와 金鰲新話의 비교를 중심으로- |
장유승 |
민족 고전의 허상과 실상 -동국세시기의 편찬 배경과 의의- |
||
155 |
2016.09.30 |
정성권 |
태조 왕건 친제 운주 흥법사지 진공대사 탑비의 조성 배경 |
이재령 |
일제식민지시기 재중 한인유학생의 근대학문 수용 –북경을 중심으로- |
||
156 |
2016.12.15 |
심재훈 |
동아시아의 요람, 고대 중국문명: 한민족의 위대한 상고사 환상 깨기 |
157 |
2017.02.10 |
손성욱 |
淸朝의 盛衰와 朝鮮 使臣의 儀禮활동 |
이호석 |
東洋學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提言 |
||
158 |
2017.05.10 |
양지선 |
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항일음악 DB 구축 방안 |
이호석 |
조선후기부터 구한말까지 慶州지역 고문서 자료 DB 구축 방안 |
||
159 |
2017.07.06 |
김철웅 |
인문학 융성을 위한 고문서의 활용방안 ―단국대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
이충구 |
조선시대 고문서 자료의 DB 구축을 위한 제언 |
||
160 |
2017.11.27 |
임재완 |
조선후기 고문서 연구 ―민간 간찰을 중심으로― |
김명환 |
구한말 고문서 연구 ―초서 편지글을 중심으로― |
||
161 |
2017.12.26 |
권기갑 |
고문서의 사료적 가치와 활용방안 |
이충구 |
구한말 고문서를 통한 민간생활사 재구 |
||
162 |
2018.01.31 |
김수현 |
항일음악 연구 성과 검토 |
양지선 |
한유한의 생애와 항일음악 |
||
163 |
2018.04.06 |
박성진 |
여러면석기의 정의, 분류 및 기능에 관한 연구 |
이호석 |
동양학연구원 인문학 발전과 연구과제 수주 향상을 위한 중·장기 계획 |
||
164 |
2018.07.18 |
반혜성 |
창가의 음악성 |
염원희 |
항일가사의 존재양상과 의미 -의병가사와 만주망명가사를 중심으로- |
||
165 |
2018.09.27 |
오영삼 |
조선회화의 이상경 -몽유도원도 |
강소연 |
무명과 반야의 도상학: 조선시대 <감로탱>을 중심으로 |
||
166 |
2018.12.10 |
김철웅 |
이색의 ‘현화낙백우’설에 대한 재검토 |
차광호 |
삼국유사 탑상편 ‘오대산문수사석탑기’조의 검토 |
||
167 |
2019.01.24 |
한정한 |
한국어=베트남어 웹사전 개발 제안 |
168 |
2019.03.04 |
오대양 |
중국 산동지역 신석기시대문화의 변동과 연속성 -연구의 필요성과 방법론 검토- |
박선미 |
산동지역의 선사문화와 주민 |
||
169 |
2019.09.11 |
김효정 |
태호(太湖) 이원진(李元鎭)(1594~1675)의 시세계 고찰 |
이황진 |
쌍백당(雙柏堂) 이세화(李世華)(1630~1701)의 삶과 시세계 |
||
170 |
2019.12.03 |
조숙자 |
해외 동양학 연구동향과 전망 – 미국 내 중국학고 한국학을 중심으로 |
171 |
2020.01.30 |
류정민 |
한자 문화권과 양층 언어(diglossia)의 문제 |
허철 |
한자 어휘 교육의 방법 모색과 실행 방안 |
||
정승혜 |
물명류(物名類) 연구 현황과 DB 구축 |
||
172 |
2020.02.05 |
김명섭 |
한국 광복군과 조선 의용군의 항일음악 비교 |
김보희 |
재소고려인의 음악활동 – 항일음악의 보존과 전승 |
||
173 |
기록 없음. |
||
174 |
2020.10.22 |
반혜성 |
광복군가집 제1집으로 분석한 항일음악의 특징 |
노복순 |
동일곡조 다른 가사의 항일음악 연구 |
||
175 |
2020.11.13 |
김민호 |
서영해의 독립운동 |
박경목 |
일제강점기 대전감옥 개소와 확장 |
||
176 |
2021.01.14 |
권진옥 |
망자를 위한 글쓰기의 장르 간 관계성 연구 –겸재(謙齋) 조태억(趙泰億)을 중심으로- |
이승용 |
謙齋 趙泰億의 「前感君恩」과 「後感君恩」에 관한 일고찰 |
||
177 |
2021.02.03 |
차서연 |
성재허전의 심의 연구 |
임근실 |
16세기 영남지역 서원의 특징과 의미 |
||
178 |
2021.06.25. |
김우정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사전편찬사업 <한국역대한자자형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활용> |
허철 |
한국연구재단 일반과제 <인공지능번역 개발을 위한 한문 자료 코퍼스 구축방안> |
||
179 |
2021.08.24 |
박성진 |
울트라 마린 :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이집트 문명에서의 파란색의 상징적 의미 |
오대양 |
금강하류 청동기시대 묘제의 네트워크와 사회적 성격 |
||
180 |
2021.11.05 |
김수현 |
미국 하와이 김신일컬렉션 창가집 수록곡 연구 |
김명섭 |
1920년대 만주 민족학교에서 부른 항일노래 |
||
181 |
2021.12.09 |
이안나 |
몽골 민간신앙 |
강준영 |
내몽골 민간신앙 |
||
182 |
2022.07.27 |
김응교 |
신동엽의 역사인식과 단국대학교 |
홍승진 |
신동엽과 동학사상 |
||
183 |
2022.09.15 |
김명섭 |
1920년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기념행사에서 부른 항일노래 |
반혜성 |
항일가극 《아리랑》 삽입곡 <한국행진곡>의 음악 분석 |
||
184 |
2022.10.31 |
오대양 |
묘제의 변화상을 통해 본 고조선문화의 정체성 검토 |
이호석 |
승조(僧肇)의 반야 수행론 |
||
185 |
2023.01.30 |
오대양 |
요동~서북한지역 고인돌 사회의 성격과 경관성 - 고조선문화와의 관계성에 중점하여 |
반혜성 |
20세기 국내외 한민족의 ‘나라 사랑의 노래’ 연구 |
||
김명섭 |
만주 독립군의 독립전쟁과 항일노래(1910~1937) |
||
박성진 |
보이지 않는 선 지우기-모비우스의 이원론적 석기문화론 비판 |
||
186 |
2023.06.26 |
반혜성 |
구파발 금성당제의 복원과정에서 살펴본 서울굿 음악 |
김수현 |
불교가사가 담긴 창가집 『불세존창가』(1912) 연구 |
||
187 |
2023.07.18 |
오대양 |
금강 중상류역 초기 고인돌의 지역성과 문화성격 |
이호석 |
감산 덕청의 <중용직지> 제20~23장을 통해 본 '성(誠)'과 '치곡(致曲)'의 불교적 해석에 대한 고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