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혁신칼리지 소개
  • 퇴계혁신칼리지는 학문간 경계를 넘나들어 다양한 학문분야를 공부하는 통섭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신설되었으며, 광역모집으로 입학하는 학생(광역, 인문계열광역, 사회계열광역, 공학계열광역, SW융합계열광역)들의 학사/교과/비교과활동 등을 지원합니다.
  • 전공 선택의 유연성 확보를 통해 사회적 인력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처하고 미래지향적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며, 충분한 전공탐색 기간을 거쳐 본인에게 맞는 전공을 선택한 다음, 2학년부터 개별 전공의 심화과정을 이수하게 됩니다. 이와 더불어 학과(전공)의 전공교육과정을 주전공으로 이수하는 것 외에 복수전공, 부전공, 마이크로디그리를 이수할 수 있으며, 융합·연계 교과과정을 통하여 융합·연계전공을 이수할 수 있습니다.
  • 퇴계와 율곡은 학술·문화·교육의 성현으로 조선 성리학의 양대 지주로 일컬어지며, 두 위인의 진취적인 학문연구와 후학 양성 정신을 기리고 계승하고자 ‘퇴계(죽전캠퍼스) · 율곡(천안캠퍼스) 혁신칼리지'로 명명하였습니다.

※ ‘퇴계 이황(1501~1570)’은 조선 전기 성균관 대사성, 대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이자 학자로 『주자대전』 등 주자학 관련 서적을 주해·편찬하고 후진들을 양성하였음

※ ‘율곡 이이(1537~1584)’는 조선 전기 문신이자 학자로 9번의 과거에 모두 장원급제하여 구도장원공이라 불렸고, 학문연구와 후진 양성에도 힘썼으며 주자학의 핵심을 간추린 『성학집요』 등 많은 저술을 남겼음

교육목표

단국대학교 인재상 (D3)

  • 능동적 인재
    (Self-Determination)

    미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인재

  • 혁신적 인재
    (Discovery)

    국가·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끊임없이 도전하고 창조하는 인재

  • 헌신적 인재
    (Dedication)

    인류의 보편적 가치와 세계평화를 수호하기
    위하여 봉사하고 희생하는 인재


퇴계혁신칼리지 교육목표 (C3)

  • 통섭형 인재
    (Consilience)

    다양한 학문 영역 간 융합 능력을
    갖춘 통섭형 인재 양성

  • 창의적 인재
    (Creativity)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및 비판적
    사고능력을 가진 인재 양성

  • 헌신적 인재
    (Contribution)

    합리적 의사소통 능력으로 인류 공동체에
    기여할 수 있는 글로벌 리더 양성

퇴계혁신칼리지 특장점
  • 전공선택의 자유
    • 퇴계혁신칼리지(광역) : 배정가능 학부(과)·전공 범위 내 전공선택 가능
    • 퇴계혁신칼리지(인문계열광역, 사회계열광역, 공학계열광역, SW융합계열광역) : 동일계열 내 배정가능 학부(과)·전공 범위 내에서 전공선택 가능
    • 다전공제도(복수전공, 부전공, 연계전공, 마이크로디그리) : 주전공 외 관심있는 전공의 기준학점을 이수하여 학위를 취득하는 제도
      ※ 전공 배정 및 다전공제도 세부사항은 [퇴계혁신칼리지 홈페이지 → 전공배정] 참조
  • 전담교수제
    • 학사정보 제공 및 대학생활 관리, 융합전공·마이크로디그리 설계 지도 등 전담교수의 학생 진로목표 수립 지원과 잠재력 개발
  • 학생 역량강화 프로그램
    • 기초역량 진단 및 맞춤형 학습 컨텐츠 제공
    • 취창업지원처, 교육혁신원, 대학생활상담센터, 도서관 등 교내 전문부처의 특성화 프로그램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