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학과
화예디자인전공은 화훼를 매개로 한 예술의 한 분야로서 철학적,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학문 방법을 통한 이론 성찰의 기회, 그리고 다른 예술 장르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실천적 응용 기회를 제공하는
학문이다. 또한 화예(꽃 예술)와 연관된 인접 학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예술창작 담론에 담긴 사유체계의 학습과 디자인을 둘러싼 문화, 예술 전반에 걸친 동ㆍ서양의 사상적인 문제의식을 탐구하여 이를 토대로 완성도 높은 화예작품을 제작 및 비평할 수 있는 시각과 능력을 갖춘 전문적인 인력을 양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화예미학 / 동아시아 문화와 예술 / 화예디자인 트랜드Ⅰ,Ⅱ,Ⅲ / 디자인사 / 조형·디자인·예술 / 색채학 / 환경디자인특론 / 화예와 문화콘텐츠 / 공간디스플레이 / 화훼학 특론 / 논문 연구 세미나 / 한국화예사 / 조경·정원예술론 / 동양회화론 / 동양미학 / 재료와 기법연구 / 화예와 도자예술 / 화예디자인 세미나 / 한국화예사 / 화예디자인 트랜드 / 동양미학과 문화예술
문영란
초빙교수
소속
문화예술대학원
약력
(현)한국화예디자인학회 자문위원
(전)한국화예디자인학회 학회장
강의·전공
화예디자인전공
담당과목
강사
소속
문화예술대학원 디자인학과
약력
강의·전공
-
담당과목
-
LINK
| 구분 |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 전공 | 072586 | 화예디자인 세미나 | 3 |
| 전공 | 072944 | 화예미학연구 | 3 |
| 전공 | 072945 | 디자인사 | 3 |
| 전공 | 073296 | 재료와 기법연구 | 3 |
| 전공 | 073297 | 동아시아문화와 예술 | 3 |
| 전공 | 073490 | 한국화예사 | 3 |
| 전공 | 074643 | 조형예술디자인 | 3 |
| 전공 | 075169 | 화예디자인세미나2 | 3 |
| 전공 | 075856 | 동아시아문화와 예술2 | 3 |
| 전공 | 075871 | 조형예술디자인 II | 3 |
| 전공 | 076169 | 화예와 조형예술 | 3 |
| 전공 | 076393 | 화예와공간조형 | 3 |
| 교과목명(영문명) | 교과목개요(한글) | 교과목개요(영문) |
| 화예디자인 세미나 ( Floral Art Design Seminar ) | 본 교과목은 화예디자인과 인접학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새로운 연구방법을 익히는 이론 수업이다. 이를 토대로 화예분야의 전문 연구자를 배출하는 과정에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학문적 글쓰기와 학술논문 작성 능력의 배양 및 이에 필요한 제반 지식을 습득하는 교육을 실시한다. 이와 더불어 전문 연구자로서 갖추어야할 연구윤리성에 대한 실증적 체험교육을 시행한다. | This subject is a theory class that helps students to analyze research trend and learn new research approaches in the field of floral art design and related studies. Based on it, additional education is implemented to develop capability to write academic thesis and academic writing essential for producing professional researchers in this field, and to gain necessary knowledge for it. Along with it, positive experience-based education on research ethicality that professional researchers should have, is also implemented. |
| 화예미학연구 ( Study of floral art esthetic ) | 화훼를 매개로하여 창작활동을 하는 화예(꽃예술)가 지니는 예술적 가치와 의미를 규명하고 창작과정에 수반되어야 할 화예작가의 예술정신은 무엇인지? 창작과정에 따른 구상과 과정, 방법은 어뗘해야 하는지를 철학과 미학적 측면에 촛점을 맞추어 학습한다. 또한 다양한 동.서양미학 개념들을 분석하여 화예와 연계하여 오늘날 화예의 예술적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인문학적 사유의 학습을 통하여 동양에서 화예의 예술행위는 기교적 활동이 아니라 화예작가의 정신을 담아내는 화도(華道)로 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더 나아가 한국화예의 정체성을 연구한다. | What is the artistic value and meaning of floral arts that engage in creative activities through flowers, and what is the artistic spirit of the floral arts artist that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creative process? Learn how to conceive, proces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creative process by focusing on the philosophical and aesthetic aspects. In addition, by analyzing various Eastern and Western aesthetic concepts, I would like to present an artistic approach to today's painting arts in connection with painting arts. Through the learning of humanistic thinking like this, the artistic activity of painting arts in the East will not be a technical activity, but an opportunity to recognize it as an artistry that captures the spirit of a painting artist. Furthermore, it studies the identity of Korean painting arts. |
| 디자인사 ( History of Design ) | 미술공예운동에서부터 바우하우스, 안티모던디자인에 이르기까지 디자인의 역사는 철학, 예술, 경제, 사회, 문화의 분야와의 교류를 통해 융 복합의 산물이 되어 왔다. 디자인사는 디자인에 대한 개념 이해 및 명제를 철학적 사고와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해석하고 "디자인사라는 학문의 연구 대상"에 대한 이론수업이다. 본 수업은 기능주의적 모던디자인, 포스트 모던디자인 등 근현대 디자인에 대한 역사적인 맥락을 이해하여 다른 학문과 소통을 할 수 있는 연구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 |
| 재료와 기법연구 ( Materials and techniques ) | 21세기는 다문화주의 (multi-culturalism)시대이다. 예술에서도 다른 분야 간에 콜라보레이션(collavoration) 작업을 통해 상승효과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 점에서 화예분야도 다른 분야간의 다양한 협업을 통해 새로운 형식의 종합예술로 변모해 갈 수 있는 조형시각을 갖추도록 한다. 따라서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를 기본으로, 화훼디자인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실험하고 새로운 소재를 개발함으로써 독창적인 디자인을 모색한다. |
The 21st century is in multi-culturalism era. In the field of arts, many different genres are in collaboration with each other, creating synergic effects. Along this trend, students learn new viewpoints toward the formative art to develop floral art and design into synthetic art in a new style through diverse collaboration with other domains. Therefore based on the elements and principles of design, originality of design is be searched by experimenting various media and developing materials. They can be used in designing the flowering plants. |
| 동아시아문화와 예술 ( East Asian culture and art ) | 동아시아의 의식구조 및 예술창작에 담론이 되었던 사상과 사유체계를 학습한다. 동아시아 예술의 성격과 양식은 어떠한지, 예술창작에는 어떤 메카니즘이 있는지의 이론적 학습을 토대로 하여 완성도 높은 작품을 제작 할 수 있도록 연구한다. | |
| 한국화예사 ( History of Flowers ) |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화예 역사를 소개하고 이에 관련된 타 장르 문학을 비롯하여 회화, 조각, 건축 분야를 연구하여 한국화예의 역사적 변천을 이해함으로써 한국적 화예의 자생력을 모색할 수 있는 시각을 갖추도록 한다. | It examines the history of painting art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By studying other genres of literature, painting, sculpture, and architecture related to this,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changes of Korean painting, we will have a perspective to explore the self-sustaining power of Korean painting. |
| 조형예술디자인 ( Art and Design ) | 미래지향적인 화예조형예술 전문교육 구현의 방향은 연관분야에서의 기술적, 미학적, 실용적, 문화체화적 창의성을 이해하고 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정체성으로 체득함. | This topics for future-oriented FAD(Floral Art and Design) expert education system is to comprehension technical, aesthetical, practical and cultural embodied creative power in the relate field, understanding identity to create a new added value creation. |
| 화예디자인세미나2 ( Floral Art & Design Seminar 2 ) | 화예디자인(Floral Art & Design)과 관련성있는 인접학문의 다양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화예에 대한 예술 철학적, 미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이와 같은 학습으로 화예실기와 화예이론이 병행하여 화예작품을 객관적으로 비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It examines various research trends of adjacent studies related to Floral Art & Design, and analyzes them from the artistic philosophical and aesthetic perspectives of flower art. With such learning, the ability to objectively criticize flower art works by combining flower art practice and flower art theory. |
| 동아시아문화와 예술2 ( Culture and Art in East Asia 2 ) | 동아시아의 의식구조 및 예술창작에 담론이 되었던 사상과 사유체계를 학습한다. 동아시아 예술의 성격과 양식은 어떠한지, 예술창작에는 어떤 메카니즘이 있는지의 이론적 학습을 토대로 하여 완성도 높은 작품을 제작 할 수 있도록 연구한다. | Learn thoughts and thinking system that have been discussions of mindsets and artistic creation in East Asia . Conduct research how to create higher quality works, based on theoretical learning of characteristics and styles of the East Asian Art, and mechanisms in artistic creation. |
| 조형예술디자인 II ( Plastic Art & Design II ) | 사고력 확장의 바탕으로 조형예술의 구조와 형식을 학습한다. | Learn about a form and construction of plastic art based on expansion of thinking ability |
| 화예와 조형예술 ( Floral Art & Plastic Arts ) | 조형예술의 원리를 기본으로 하여 화예작품 제작의 변용과 조형적 사고의 확장을 목표로 한다. 조형적 실험과 다양한 재료를 경험함으로써 화예작품 연구과정에서 실제적인 작품의 구현과 공간을 이해하는 기회를 갖는다. 작품제작에 필요한 기초실습과정을 통하여 화예작품에 활용가능 한 창작물을 제작한다. |
Based on the principles of formative arts, we aim to transform the production of floral art and expand formative thinking. Through formative experiments and experiences with various materials, students have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realization and space of actual works in the process of researching floral art. Produce creative works that can be used for floral art works through the basic practice process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works. |
| 화예와공간조형 ( Floral art and Space formation ) | 1.본 수업은 화예디자인전공생들의 창작활동 범위를 넓히고 인문학적 가능성으로 대중과의 소통을 공간조형의 다양한 재료와 기법으로 조형요소와 원리를 실습한다. 2.조형언어를 통하여 열린사고, 대중과의 소통을 이루어나가며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통하여 개개인의 시각적 형상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여 화예디자이너의 전문성을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
1.This class expands the scope of creative activities of flora art & design students and practices the elements and principles of spatial design using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rough humanistic possibilities. 2.The purpose is to develop the expertise of flower designers by achieving open thinking and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through formative language, and improving each individual's visual shaping ability through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
이론과 실기를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전문교육을 통해서 미용 학문의 예술성을 완성하는 미용전문가 · 미용경영자 · 미용교육지도자 등 다양한 미용분야의 전문성을 지닌 인재로 성장하는데 있다.
1. 21C 글로벌 산업구조에 맞는 과학적 지식과 예술성을 겸비한 미용전문가 및 미용교육자를 육성한다.
2. 기초과학과 예술의 정립된 이론과 실기를 바탕으로 미용산업의 새로운 개념을 정립하여 한국의 미용문화를 발전에 이바지하는 미용전문가 및 미용교육자를 육성한다.
3. 궁극적으로 아름다움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미용전문가 및 미용교육자를 육성하여 인류 사회에 기여, 봉사할 수 있는 미용전문가 및 미용교육자를 육성한다.
미용연구방법론 / 미용이미지방법론 / 뷰티 디자인 세미나 / 뷰티 디자인 스튜디오 / 토탈 코디네이션학 / 헤어크리에이티브 / 뷰티 메이크업 / 동·서양 화장사 / 아트 메이크업 / 뷰티 일러스트레이션 / 이미지 메이킹 / 특수 메이크업 / 네일 아트 / 피부클리닉 / 뷰티 트랜드 분석 / 화장품학 / 뷰티교육의 이론 / 미용영양학 / 디자인 발상론 / 색채학 / 조명학 / 미용연구 방법론 / 건강뷰티산업 연구 / 미용 이미지 관리론 / 모발과 영양학연구 / 미용경영관리 / 기능성화장품학 연구 / 메이크업트랜드 연구 / 특수분장연구Ⅰ / 조명과메이크업연구
초빙교수
소속
문화예술대학원 뷰티예술디자인
약력
(사)한국맞춤미용산업협회 회장
강의·전공
미용학 전반, 대체의학, 교육학, 문학, 공연예술학
담당과목
미용학 전반, 대체의학, 교육학
이서현
강사
소속
약력
(현)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디자인학과(뷰티예술디자인) 외래교수
(현)대한미용학회 특수분장분과 상임이사
강의·전공
토탈미용예술, 특수분장, 뷰티매니지먼트와 컨설팅, 미용경영, 뷰티글로벌마케팅, 뷰티디자인, 인상학과 뷰디자인
담당과목
토탈미용예술, 특수분장, 뷰티매니지먼트와 컨설팅, 미용경영, 뷰티글로벌마케팅, 뷰티디자인, 인상학과 뷰디자인
| 구분 |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 전공 | 072128 | 미용복지연구 I | 3 |
| 전공 | 072132 | 미용치료연구 II | 3 |
| 전공 | 073319 | 미용교육연구 | 3 |
| 전공 | 073400 | 미용논문초독세미나 | 3 |
| 전공 | 073623 | 살롱매니지먼트 연구 | 3 |
| 전공 | 073626 | 조명과 메이크업 연구 | 3 |
| 전공 | 074714 | 뷰티디자인과 이미지 | 3 |
| 전공 | 074797 | 미용연구특론 | 3 |
| 전공 | 074798 | 인상학과뷰티디자인연구 | 3 |
| 전공 | 075166 | 미용논문연구세미나 | 3 |
| 전공 | 075167 | 뷰티매니지머트와컨설팅 | 3 |
| 전공 | 075399 | 미용문화연구 I | 3 |
| 전공 | 075400 | 분장과이미지디자인 | 3 |
| 전공 | 075997 | 뷰티트렌드세미나 | 3 |
| 교과목명(영문명) | 교과목개요(한글) | 교과목개요(영문) |
| 미용복지연구 I ( The Study Cosmetic Welfare ) | 미용의 주요 전문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복지의 방법론을 연구한다. | Utilizing the expertise of the major cosmetic skills, they are going to study of the social welfare methodology for solving the social problems. |
| 미용치료연구 II ( The Study of Cosmetology Therapy ) | 칼라세라피, 뮤직세라피, 스파세라피, 스톤세라피, 호르몬세라피 등 현재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미용세라피의 이론을 바탕으로 미용치료기술을 연구한다. | They are going to study the theory of a wide range of beauty therapies and beauty treatment technology that are currently being used actively such as color therapy, music therapy, spa therapy, stone therapy, hormone therapy. |
| 미용교육연구 ( The Study of Cosmetology Education ) | 교육자로서 미용예술의 이론과 실제를 피교육자에게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세부적, 구체적 방법론을 연구한다. | They are going to study the specific methodology of education and the systematic theory and practice of cosmetology art as a trainee teachers can teach effectively in detail. |
| 미용논문초독세미나 ( Seminar on the Reading of Beauty Literature ) | - 미용관련 주요 논문의 강독을 통해 미용분야의 관련 동향, 최근 추세, 연구방법론 등을 연구한다. | |
| 살롱매니지먼트 연구 ( The Study of Salon Management ) | 경영관리이론을 바탕으로 조직학적인 관계정립, 리더십 함양 등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성공적인 미용사업의 창업과 경영관리를 연구한다. | Students are going to study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successful beauty business by examining histological relations and fostering leadership based on the theory of management. |
| 조명과 메이크업 연구 ( The Study of Light & Make-up ) | 빛의 특성, 조명과 사물과의 관계 등의 이해를 통해 조명과 메이크업과 상관관계 속에서 메이크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 Students are going to study the effect of makeup in relation to lighting and makeup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ghting and objects. |
| 뷰티디자인과 이미지 ( Beauty Design and Image ) | 뷰티 디자인의 미학적 개념과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이미지를 시각화하기 위한 토탈 뷰티코디네이션의 필요요소들을 통해 퍼스널 아이덴티티 및 이미지와 이미지메이킹의 방향설정에 따른 객관적 분석과 관점을 연구한다. | Students are going to study the aesthetic concepts and processes of beauty design and visualizing images through the elements of beauty coordination, personal identity and image. |
| 미용연구특론 ( The Special lecture of Beauty Study ) | 미용연구를 위한 기초학문부터 응용학까지를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례별로 미용을 연구한다. | Students are going to review the basic studies for applied beauty research and applied science, and studies beauty on a case-by-case basis based on prior study. |
| 인상학과뷰티디자인연구 ( Impressionism and Beauty Design Study ) | 시각적인 대상인 인물의 인상을 형성하는 디자인적 요소를 분석하고 미적 구성과 조화를 이루는 종합적인 인상을 학문적으로 접근하여 연구한다. | Students are going to analyze design elements that form the impression of a person who is a visual object, and studies a comprehensive approach that harmonizes with the aesthetic composition with an academic approach. |
| 미용논문연구세미나 ( Cosmetology Paper Research Seminar ) | 미용연구의 기본이 되는 연구방법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미용연구의 트렌드를 미용학계와 산업현장의 흐름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 Students are going to study the trend of beauty research currently underway is centered on the flow of the beauty academia and industry based on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prior research. |
| 뷰티매니지머트와컨설팅 ( Beauty management and consulting ) | 미용현업 현장에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익을 창출하는 경영의 전략과 상담을 통해서 고객만족을 이끌어 내는 방법을 연구한다. | Students are going to study the strategy of providing services to customers in the beauty field and generating profits and ways to bring out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consultation. |
| 미용문화연구 I ( Beauty Culture Research ) | 미용학의 형성을 문화적 배경과 함께 시대적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여 향후 미용학의 심화연구에 근본이 되도록 한다. | The formation of cosmetology is categorized and considered in terms of the cultural background along with the cultural background so that it becomes the basis for further study of cosmetology in the future. |
| 분장과이미지디자인 ( Makeup and Image Design ) | 대상에게 분장을 시술하는데 있어서 색채학을 바탕으로 전체적인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 In applying makeup to the subject, we study the method of expressing the overall image based on colorology. |
| 뷰티트렌드세미나 ( Beauty Trend Seminar ) | 사회현상이 다변화함에 따라서 뷰티미용의 현장과 산업도 변화하여야 하며, 그 트렌드를 세미나를 통해 학문적 성과로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As the social phenomenon diversifies, the beauty field and industry must also change, and the goal is to derive the trend as a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e seminar. |
- 대학 홈페이지 add
- 대학원 홈페이지 add
- 부속/부설기관 홈페이지 add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