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경영학과
현대의 예술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경영은 단순한 예술 행위의 유통과정이 아닌 관련 조직은 물론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필연적으로 수반한다.
따라서 과거와 같은 텍스트에 의존한 학습만으로는 예술 현장이 필요로 하는 경영인을 배출할 수가 없다고 하겠다.
따라서 우리 문화예술대학원의 ‘예술경영’은 현장 예술가들의 예술 행위에 대한 가치 제고는 물론 다양한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그 특수성을 배제한 채 획일화되고 있는 경영에 대한 인식 전환
그리고 실질적이고 구체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전략에 대한 새로운 학문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학문적 노력을 통해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패러다임을 선도적으로 이끌어갈 문화예술 전문 경영인을 양성함을 그 목표로 한다.
문화예술정책론 / 문화예술론 / 문화예술 인적자원경영 / 21세기 문화기획 / 문화공간경영론 / 예술관객개발 / 문화예술 관련법 연구 / 지역문화 축제마케팅 / 예술경영컨설팅 / 예술소비자 행동분석 / 공연문화연구 / 문화예술재정론 / 현대예술론 / 문화예술 마케팅 / 문화예술 국제교류연구 / 문화예술관객개발 연구 / 문화예술정책론 / 예술경영
부교수
소속
문화예술대학원
약력
강의·전공
행정학
담당과목
한국문화,공연예술미학
임정은
초빙교수
소속
문화예술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예술경영전공
약력
강의·전공
예술경영
담당과목
공연문화연구, 문화예술홍보기획, 예술관객개발, 문화예술 국제교류, 공연기획 및 제작
초빙교수
소속
문화예술대학원
약력
(현)용인문화재단 대표이사
강의·전공
문화예술경영
담당과목
예술경영
강사
소속
문화예술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약력
강의·전공
-
담당과목
-
LINK
| 구분 |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 전공 | 072567 | 예술경영컨설팅 | 3 |
| 전공 | 072729 | 문화예술관객개발연구 | 3 |
| 전공 | 072730 | 공연문화연구 | 3 |
| 전공 | 072731 | 문화예술의이해 | 3 |
| 전공 | 072937 | 문화예술홍보기획 | 3 |
| 전공 | 072993 | 축제연구실습 | 3 |
| 전공 | 073332 | 문화예술정책론 | 3 |
| 전공 | 073604 | 문화예술론 | 3 |
| 전공 | 073605 | 공연예술미학론 | 3 |
| 전공 | 073607 | 논문연구방법론 | 3 |
| 전공 | 073933 | 지역문화 축제 마케팅 | 3 |
| 전공 | 074299 | 문화철학 | 3 |
| 전공 | 074787 | 문화콘텐츠의이해 | 3 |
| 전공 | 074788 | 문화공간세미나 | 3 |
| 전공 | 075155 | 공연 분석과 이해 | 3 |
| 전공 | 076008 | 한류와문화예술콘텐츠세미나 | 3 |
| 전공 | 076168 | 프로그램 기획 | 3 |
| 전공 | 076405 | 사회문화와심리 | 3 |
| 전공 | 076481 | 문화예술교육의현장과실제 | 3 |
| 전공 | 076847 | 한류와문화경영 | 3 |
| 전공 | 076559 | 공연예술경영의실제 | 3 |
| 교과목명(영문명) | 교과목개요(한글) | 교과목개요(영문) |
| 예술경영컨설팅 ( Arts management consulting ) | 예술경영 전반에 관한 다양한 사례와 직,간접적인 현장 경험 등을 컨설팅함으로써, 예술경영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다양한 정보를 학습. |
To understand wide ranges of informations about arts management through various arts management case consulting. |
| 문화예술관객개발연구 ( Study on Development of arts and culture ) | 본 교과목은 공연을 비롯한 문화예술 관객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을 다각도에서 연구하는 과목이다. 특히 마케팅 관점은 물론 프로그램 개발 측면, 경영적 측면에서 관객개발 방안을 이론적으로 탐구한다. 이와 더불어 현장 사례 분석 및 현장 학습을 통해 더욱 직접적으로 이해하며 향후 새로운 환경에 대응하는 관객개발 방안을 모색한다. | |
| 공연문화연구 ( Show cultural studies ) | 본 교과목은 국내 공연문화의 역사와 일련의 흐름을 다각도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공연문화의 역사와 현황을 살피기 위해 공연예술 기획&제작 방식의 흐름을 비롯한 환경적 요소(공연장, 재원, 관객 등)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사례를 분석합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향후 새로운 환경에 대응하는 공연문화의 전환을 모색합니다. |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history and series of trends of domestic performance culture from various angles. In order to examine the history and status of performance cultur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examples of environmental factors (performance halls, financial resources, audiences, etc.) including the flow of performing arts planning and production methods are analyzed. Through such research, we seek to change the performance culture in response to the new environment in the future. |
| 문화예술의이해 (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art ) | 문화예술의 이해는 문화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과정이다. 문화정책 수립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인문철학의 세계를 접목하고 이를 통해 문화정책의 토대를 구축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arts is a basic course for cultural policy. Combining the world of philosophy, humanities appearing invarious cultural policy making process and to contribute to building a foundation for cultural policy through them. |
| 문화예술홍보기획 ( PR planning on culture and arts ) | 문화예술홍보기획은 문화예술 기관 및 단체의 홍보 담당자들이 현장에서 부딪힐 수 있는 사안들을 중심으로 홍보담당자의 역할, 홍보의 이론적 배경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 언론과의 관계 등 홍보의 기본 지식을 습득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또 홍보수단으로써 PR과 광고, 홍보의 개념과 차이를 설명한다. 특히 온라인과 모바일 등 뉴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홍보 방안에 대해서도 탐구한다. 무엇보다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홍보 역량을 배양할 수 있도록 보도자료 작성의 전 과정, 기자간담회와 제작발표회 준비 사항, 인터뷰와 사진, 프레스 리허설 등 세부적인 실무 사항을 사례 중심으로 살펴본다. | PR planning on culture and arts focus on learning of the basic knowledge of PR, rela tionship with media,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the role of culture an arts pro motion manager who is faced with the matters occurred in the field. Also this curriculum will explain the concept of PR, the difference between PR and AD. Particularly, we study the promotion methods that suit for new media environment like the online, the mobile. Above all, students learn methods of making press release, meeting with reporters, interview, photos, press rehearsal, etc through this curriculum, so they can build up their PR abilities used in the field. |
| 축제연구실습 ( The research exercise ) | 문화의 시대와 함께 축제는 전국 곳곳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하지만 그 의미와 성과는 많은 논란을 불러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축제를 그 지역의 대표 브랜드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문화예술경영에 있어서 축제는 가장 중요한 분야로 자리잡게 되었다. 따라서 축제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정보 그리고 평가 능력을 갖추는 과목이 필요한 것이다. | Along with the age of the culture, Festivals are rapidly expanding all over the country. However the meaning and achievement have caused a lot of controversy. Nevertheless each local government has strived for the festival to present the brand. Accordingly Festivals are situated as the most important areas in Arts & Cultural Managemen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courses provided with the evaluation capacity, accur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the festival. |
| 문화예술정책론 ( Culture and Arts Museum ) | 문화와 예술의 정책적 이론을 행정학적 관점에서 ‘공공성’의 개념과 준거를 통해 살펴본다. 이는 구체적인 현실의 정책 영역에 대한 분석보다는 개념적 정의에 좀 더 초점을 맞추어 ‘공공성’ 논의를 문화 예술과 문화정책이라는 현실세계 속에서 검토한다. 한편 한국예술의 원형 정책과 콘텐츠에 관련해 존재하고 있는 문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한국문화예술의 기존의 논의들이 지나쳤을지도 모르는 ‘공공성’에 관한 새로운 방안까지 논의해 볼 것이다. | We will examine the policy theories of culture and art through the concept and reference of 'publicness' from an administrative point of view. This focuses on conceptual definition rather than analyzing concrete realistic policy areas, and examines 'publicness' in the real world of culture and arts and cultural policy.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problems that exist in relation to the prototype policy and content of Korean arts, we will discuss new ways of 'publicity' that may have passed the existing discussions of Korean culture and arts. |
| 문화예술론 ( Cultural art theory ) | 문화예술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문화예술이 우리 사회에 필요한 존재 이유를 발견함. 나아가 실제 우리 사회에 적용 가능한 자신만의 차별화된 문화예술의 사회적 역할 모델을 개발, 탐색하는 과정. |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ulture and art and developing and exploring a differentiated social role model of culture and art that can be applied to our society. |
| 공연예술미학론 ( Performing Arts Aesthetics ) | 공연예술과 관련한 문화예술 전반에 관한 미학적 지식 또는 철학적 이론에 관한 학문 | A study on the aesthetic knowledge or the philosophical theory about the overall arts and culture related to performing arts |
| 논문연구방법론 ( Method of essay research I ) | 논문연구방법은 문화예술학과가 가야한 새로운 학문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의 질적 태도를 함양하기 위한 심화 수업이다. 즉 문화예술에 관한 어떠한 주제에 대해 연구한 결과나 의견 등을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글을 쓰기 위한 객관적인 방법론을 익히기 위한 교과목이다. | Thesis research method is deepening class to cultivate the qualitative attitude of research in order to search for a new discipline that the Department of Culture and Arts should go. In other words, it is a course to learn objective methodology to write a text based on a research result or opinion about a certain subject about culture and arts |
| 지역문화 축제 마케팅 ( Regional Culture Festival Marketing ) | 지역문화의 중심이 축제라는 사실에 더 이상 이견이 없을 만큼 축제는 우리의 생활 속에 자리잡고 있다. 특히 전국 각 지역에서 열리는 지역 축제는 다양성을 넘어 부정적 결과를 낳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시점에 문화예술 경영의 시각에서 축제의 전문성과 정체성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축제와 행사가 무분별하게 펼쳐지는 이 시점에 과연 진정한 축제는 무엇인가? 또한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축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무엇보다 그러한 인력과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가? 이러한 문제를 축제의 현장에서 직접 경험하며 분석함으로써 그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Festivals are located in our lives so that there is no more disagreement over the fact that festivals are the center of local culture. In particular, local festivals held in different regions of the country are producing negative results beyond diversity. At this point, it is compelling to consider the professionalism and identity of the festival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e and art management. What is the real festival at this time when festivals and events are held indiscriminately? Also, how are festivals created that reflect the specificity of the region? Above all, are they equipped with such manpower and expertise? I would like to suggest the direction by directly experiencing and analyzing these problems at the festival site. |
| 문화철학 ( Cultural philosophy ) | 문화철학은 문화를 논의 대상으로 삼는다는 측면에서 관념론의 영역에 속한다. 즉 단순한 문화현상을 역사라는 끈에 묶어내는 방식, 또는 원인과 결과라는 연속적 관계에서 고려하는 방식 외에도 문화현상들이 의존하고 있는 서로 다른 기능들의 본성에 탐구다. 즉 문화가 작용하는 힘들, 정신적인 활동들의 연구라고 볼 수 있다. | Cultural philosophy belongs to the domain of idealism in that culture is the object of discussion. In other words, we explore the nature of the different functions on which cultural phenomena depend, in addition to the way we tie a simple cultural phenomenon to the string of history, or a consecutive relationship of cause and effect. In other words, it is a study of the forces and mental activities that culture operates. |
| 문화콘텐츠의이해 ( Understanding Cultural Contents ) | 문화콘텐츠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사례 연구를 통해 우수한 문화콘텐츠 기획 및 개발 역량을 학습한다. |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of cultural contents and learn the ability to plan and develop excellent cultural contents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utilizing them. |
| 문화공간세미나 ( Cultural Space Seminar ) | 문화공간의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와 같은 하나의 목적을 위한 공간 개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예술 세계를 담을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이 요구된다. 문화공간 세미나는 이러한 변화를 적극 수용하고 관련 학습 능력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 The paradigm of cultural space is rapidly changing. Therefore, a new perspective is needed that can contain a variety of artistic worlds away from the concept of space for one purpose as in the past.The Cultural Space Seminar will be able to actively accommodate such changes and enhance related learning skills. |
| 공연 분석과 이해 ( Performance analysis and understanding ) | 시대 정신의 변화와 함께 문화의 다양성이 강조되면서 예술 분야 특히 공연예술 분야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무대 위에서의 표현 양식은 물론 과거와 같은 획일적인 제작 기획 방식 역시 달라질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 결과 현재의 공연예술은 시간과 공간을 넘나드는 새로운 정서를 통해 감동과 카타르시스를 전해주고 있다고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한 이론적 배경은 충분하지 않아 현장 예술가 및 관련 학생들이 학문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공연예술의 새로운 개념 정립을 위한 분석 체계를 정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Cultural diversity was emphasized along with changes in the spirit of the times, and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the field of art, especially the performing arts field.The reality is that not only the form of expression on the stage but also the uniform production planning method as in the past has to change.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current performing arts convey emotion and catharsis through new emotions that move back and forth between time and space.Nevertheles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ssociated with this is inadequate. It is true that on-site artists and related students are experiencing academic difficulties.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nalysis system for establishing a new concept of performing arts. |
| 한류와문화예술콘텐츠세미나 | 1. 인간의 유희 본질을 호모루덴스의 문화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욕구이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쾌락주의 양상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여, 엔터테인먼트산업의 기본 바탕에 대해 학습한다. 2. 한류를 수용하는 각국의 고유한 문화의 특질을 문화다양성과 문화교류의 측면에서 이해한다. 3. 현 시대상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대중문화콘텐츠의 특징과 현황 등을 탐색하며 혐한류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한류의 확산을 위한 한류문화콘텐츠의 활용방안에 관해 고찰한다. |
|
| 프로그램 기획 ( Program Planning ) | 본 수업은 기획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다양한 영역의 기획 과정과 사례 분석 및 현장 탐방을 통해 예술을 통한 프로그램 기획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각자의 영역에서 탁월한 기획이 가능한 창의적 인재로 성장하기 위한 토대 마련을 목표로 함. |
This class aims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of planning, discover new possibilities for program planning through art through planning processes, case analysis, and field trips in various areas, and lay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creative talents who can plan excellently in their respective fields. |
| 사회문화와심리 ( Social culture and psychology ) | 인간은 사회문화 속에서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존재이다. 사회심리학은 인간의 사회적 본질을 이해하고 타인과의 상호작용 속에서의 인간의 사회적 행위를 형성하는 요인들을 설명하는 학문분야이다. 본 과목에서 다루는 기본적 개념들은 인간이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그 행동과 사고와 감정을 형성하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며 사회현상에 대한 많은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본 과목은 사회과학에 입문하는 행정학과 학생들에게 정부의 활동과 공공문제의 배경에 있는 인간의 다양한 조직행동과 사회적 행위를 이해하고 문제 해결의 대안을 찾아가는데도움을 주는 사회심리학의 기본 이론을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This course presents an introduction to the field of social psychology, and will examine theory and research as well as practical applications to social problems. We will learn about how we think about the social world, how we come to understand other people and ourselves, self-justification and the need to maintain self-esteem, influencing thoughts and feelings, influencing behavior, influence in social groups, interpersonal attraction, why people help, why people hurt other people, and causes andcures of prejudice. This course is appropriate for students interested in business, advertising, human services, education, and public administratio |
| 문화예술교육의현장과실제 (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 | 최근 예술경영 분야에서 예술의 다양한 사회적 역할 가능성 제시를 통해 그 중요성이 확장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함께 실제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자신만의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 기획 역량 제고를 위한 토대 마련을 목표로 함. |
Understanding culture and arts education, discover new possibilities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applied in the actual field, and enhance differenti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lanning capabilities. |
| 한류와문화경영 ( Hallyu & Cultural Management ) | 본 교과목은 K-POP, 드라마, 영화, 뷰티, 패션 등 한류의 글로벌 확산을 문화산업 및 문화경영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한국 문화콘텐츠의 기획, 제작, 유통, 마케팅을 형성하는 문화적 가치, 산업 전략, 정책 프레임워크, 기업 구조를 체계적으로 검토한다. 또한 한류의 지속가능성과 글로벌 영향력을 뒷받침하는 전략적 경영 접근법과 국내외 협력 사례를 탐구한다. 학생들은 문화경영의 핵심 원리와 방법론을 학습하고, 디지털 환경에서의 혁신적 실천 사례를 조사하여 문화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전략을 개발한다. | This course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global expansion of Hallyu (the Korean Wave)including K-POP, dramas, films, beauty, and fashionfrom the perspectives of cultural industries and cultural management. It systematically examines the cultural values, industrial strategies, policy frameworks, and corporate structures that shape the planning, production, distribution, and marketing of Korean cultural content. The course also explores strategic management approaches and case studi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that support the sustainability and global reach of Hallyu. In addition, students will learn core principles and methodologies of cultural management and investigate innovative practic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to develop strategies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cultural industries. |
| 공연예술경영의실제 ( The Practice of Performing Arts Management ) | 본 수업에서는 크게 공연예술 특성과 프로덕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세부적으로는 프리 프로덕션-프로덕션-포스트 프로덕션에 해당하는 구조를 통해 기획, 예산수립, 제작, 홍보 및 마케팅, 정리 및 평가 등 실제 공연예술 현장에서 활용되는 단계를 살펴볼 예정입니다. 더불어 공연예술의 미래를 염두에 두고, 다양한 접근과 방안을 모색하도록 합니다. | The purpose of this class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and the production structure. In detail, through the structure corresponding to pre-production-post-production, we will look at the stages used in the actual performing arts scene, such as planning, budgeting, production, promotion and marketing, organizing and evaluating. In addition, we will look for various approaches and plans with the future of performing arts in mind. |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예술치료전공은 예술치료전문가를 양성하는 데에 목표를 두고 있다.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현대인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심리치료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또한 현장에서 적용된 치료사례를 통해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예술치료 접근방법을 연구하며, 더불어 전문자격을 취득하는 데에 연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예술치료전문가로서의 자질 함양은 물론, 치료대상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예술치료를 실행해 개인적 성장과 정신의 건강을 돕는 활동을 이끌어나가는 것을 지향한다.
예술치료개론 / 예술 감성교육 / 정신의학과 예술치료 / 상담이론과 실제 /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 미술심리 진단 평가 / 장애아동 발달과 재활미술치료 / 아동 및 청소년 미술치료 / 성인 및 노인미술치료 / 가족미술치료 / 스포츠 심리와 미술치료 / 모래 놀이치료의 이론과 실제 / 임상실습 및 슈퍼비젼 / 색채심리학 / 아동음악치료 / 노인음악치료 / 음악재활기술 / 음악치료세미나 / 음악치료 임상 실습 / 드라마 치료 / 무용치료의 이론과 실제 / 연극치료 슈퍼비젼 / 사이코 드라마 및 대안 연극 / 문학(독서)치료 / 영화 속의 심리학
권수정
초빙교수
소속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약력
(현)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예술치료전공 주임교수
강의·전공
교육학, 미술학
담당과목
미술교육,미술치료,심리학
이원석
강사
소속
문화예술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약력
(현) 서울교육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연구원
(전) 한국행동과학연구소 연구원
강의·전공
예술치료전공
담당과목
상담이론과 실제
| 구분 |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 전공 | 075157 | 예술치료개론 | 3 |
| 전공 | 075158 | 아동음악치료 | 3 |
| 전공 | 075991 | 예술재활치료 세미나 | 3 |
| 전공 | 075992 | 음악치료 인턴쉽 | 3 |
| 전공 | 075993 | 미술매체연구 및 실습 | 3 |
| 전공 | 075994 | 디지털그래픽아트 기획과 제작 | 3 |
| 전공 | 076186 | 음악재활사례연구(음악치료사례연구) | 3 |
| 전공 | 076192 | 예술치료 사례연구 방법론 | 3 |
| 전공 | 076193 | 이상심리학 | 3 |
| 전공 | 076194 | 무용동작치료 이해와 적용 | 3 |
| 전공 | 076394 | 예술철학을통한심리이해 | 3 |
| 전공 | 076395 | 아동·청소년 예술치료 | 3 |
| 전공 | 076396 | 정신병리와예술치료 | 3 |
| 전공 | 076469 | 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3 |
| 전공 | 076470 | 미술심리치료의이해와실제 | 3 |
| 전공 | 076809 | 예술감성교육 | 3 |
| 전공 | 076810 | 미술치료연구방법 | 3 |
| 전공 | 076811 | 힐링커뮤니티댄스의치료적접근 | 3 |
| 전공 | 076840 | 장애아동미술재활 | 3 |
| 전공 | 076841 | 상담이론과실제 | 3 |
| 교과목명(영문명) | 교과목개요(한글) | 교과목개요(영문) |
| 예술치료개론 ( Introduction to arts therapy ) | 예술치료는 음악, 미술, 춤, 동작, 연극, 영화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 의학과 심리학이 통합된 치료기법을 적용하여 몸과 마음을 변화시키고 행동을 변화시키는 치료임. 학생들은 예술치료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대상 영역별 예술치료의 목적 및 적용방법 등의 이론적 과정과 예술치료의 실제 적용방법을 배우게 됨. |
Arts therapy is a therapy that changes the body and mind and changes behavior by applying a therapeutic technique integrating medicine and psychology to various arts fields such as music, art, dance, movement, theater, and film.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of arts therapy and learn theoretical processes such as the purpose and application method of arts therapy in each subject area,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method of arts therapy. |
| 아동음악치료 ( Music therapy for children ) | 아동음악치료는 태아에서부터 청소년기에 이르는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정상아동과 장애아동의 특성을 알아보며 음악치료의 이론과 적용방법을 배우는 과목임. 학생들은 아동에 대한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정상아동과 장애아동에 대한 영역별 음악치료의 목적 및 적용방법 등의 이론적 과정과 음악치료의 실제 적용방법을 배우게 됨. |
Children's Music Therapy is a subject to understand the overall development process of children from the fetus to adolescenc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normal and disabled children, and to learn the theory and application methods of music therapy.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hildren and learn theoretical processes such as the purpose and application method of music therapy for each area for normal and disabled children, and practical application methods of music therapy. |
| 예술재활치료 세미나 ( Seminar of arts rehabilitation therapy ) | 예술재활치료 세미나는 통합예술치료와 재활치료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 및 토론 세미나를 통해 어린이, 노인 및 트라우마 환자들의 재활을 위해 요구되는 실제적인 다양한 예술치료적 매체와 기법들을 숙지하도록 한다. 또한 대상별 예술재활치료 프로그램 계획, 시연 및 평가를 통해 전문적인 예술치료사로써의 자질을 향상하도록 하고, 임상 장면에서 발달 및 트라우마 환자들의 심리적인 지원과 외상 후 성장을 도모하여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이도록 한다. | It arrows to study of theoretical background of integral arts therapy and rehabilitation therapy and to be familiar with practical approaches of various media and arts therapies through seminar(study and discussion) for children, oldman and patients who required rehabilitation, further to this, it is to improve capacities as an professional arts therapist through design of arts therapy program by objects, practical trial performances and evaluation of the result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promoting psychological support and post traumatic growth for traumatic patients in clinical session. |
| 음악치료 인턴쉽 ( Internship in Music Therapy ) | 음악치료 인턴쉽은 학생들이 6개월 동안 학교에서 인정하는 임상 기관에서 치료대상자의 진단, 영역별 음악치료의 목적 및 적용방법 등의 이론적 과정과 음악치료의 실제 적용기술을 사용하여 client를 치료하는 임상기술을 훈련한다. 또한 Client에게 필요한 치료와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시행하고, 수업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연구분석 및 토의한다. | The music therapy internship is a clinical technique in which students treat clients using theoretical processes such as diagnosis of treatment subjects, purpose and application method of music therapy by area, and actual application technology of music therapy at a clinical institution recognized by the school for 6 months. to train In addition, treatment and education programs necessary for clients are created and implemented, and in class, research is analyzed and discussed based on them. |
| 미술매체연구 및 실습 ( Art Media Research and Practce ) | 미술매체연구 및 실습은 조형의 표현에 있어 매우 중요하게 연구 되어져야 한다. 특히 다양성을 요구하는 현대미술에서는 더욱 중심이 되고 있으며, 도상의 표현 수단으로 다채로운 감정 표현에서 흥미성을 유발한다. 본 과정은 시각예술의 표현기법에서 다양한 매체를 선택하여 접근하고 이론과 간단한 실기를 경험함으로 흥미 있는 시각문화를 활용해 미술치료학습에 연계성을 활용 할 수 있다. | Art Media Research and Practce/ Itshuld be studid very importtantly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form. Especially in modern art, which requires diversity, it is becoming more central, It creates interest by expressing variousemotions as a means of expression ofsculpture. This course can utilize the connecting by using interapy learningby using interesing time culture byselecting various media from visual art expression techniques and expeeriencing theory and simple peactical skills. |
| 디지털그래픽아트 기획과 제작 ( Digital Graphic Art Production ) | 본 수업은 미술심리치료에서의 디지털 그래픽 활용에 대해 알아보는 한편, 그래픽을 운용하는 기능을 함께 터득한다. 컴퓨터그래픽스 분야의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활용한 미술심리치료의 새로운 역할과 가능성을 모색한다. | This course introduces students to the use of computer graphics as a tool for artistic and visual expression. Students will learn to use graphics as an important tool in their creative pursuits. Through skills learned in class, students will develop an individual portfolio. |
| 음악재활사례연구(음악치료사례연구) ( Case Study In Music therapy ) | 음악재활사례연구(음악치료사례연구)는 음악치료의 학문 발전과 임상분야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연구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연구수행에 필요한 방법과 기술 및 지식을 습득하고 실행하는 과목이다. 양적연구, 질적연구에 대한 개요부터 대상별 임상실습과 사례연구에서 숙지하고 있어야 할 요점을 다루고 사례연구를 치료논문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 Case Study In Music therapy is a subject that understands the importance of research for the academic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and securing expertise in the clinical field, and acquires and executes methods, skills, and knowledge necessary for research. The purpose is to cover the points that should be familiar with in clinical practice and case studies by subject, from an overview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and to write case studies as treatment thesis. |
| 예술치료 사례연구 방법론 ( Approaches to case study on an arts therapy ) | 예비전문가로서 예술치료 선행연구를 읽고 분석하는 방법을 습득하며, 자신의 임상연구에 적용해봄으로써 연구 역량을 향상시킨다. 이를 통해 자신의 임상수행에서 효과적인 평가방법과 사례개념화 방안을 계획할 수 있다. | |
| 이상심리학 | 본 과목은 DSM-5를 바탕으로 임상 장면에서 만나게 되는 내담자들의 이상 행동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치료 계획 및 개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불안장애와 성격장애, 아동이나 청소년 등 DSM-5의 카테고리들을 전반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abnormal behavior of clients encountered in clinical settings based on the DSM-5, and to develop treatment plan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accordingly. The course will cover a broad range of DSM-5 categories, including anxiety disorders, personality disorders, and child and adolescent disorders. |
| 무용동작치료 이해와 적용 | 무용의 의미와 무용치료의 개념, 역사, 배경을 이론적으로 이해한다. 무용과 심리학이 만나서 현재 어떤 학문적, 실제적 적용이 일어나는지 알아보고 그 한가운데 자리잡고 있는 '몸'의 의미를 현상학적, 생리학적, 심리학적, 신경학적 접근을 하며 몸과 마음의 관계에 대한 탐구를 움직임을 통한 나 자신의 경험과 실험을 통해나 자신을 이해하며 삶으로 확대한다. 나의 내면과의 소통을 통한 자기 치유과정을 거치며 이 경험이 타인에게 나누어지며 예술치유의 주체가 될수 있는 기반을 만든다. |
Gain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ance and the concept, history, and background of dance therapy. Learn about the current academic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dance and psychology, and explore the meaning of body in the middle of it through phenomenological,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neurological approaches, and extend the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mind to life through my own experiences and experiments through movement and understanding myself. Through the process of self-healing through communication with my inner self, this experience is shared with others and creates a foundation for becoming a subject of artistic healing. |
| 예술철학을통한심리이해 ( Understanding Psychology through Art Philosophy ) | 예술철학의 기본 개념과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통한 인간의 심리와 감정상태를 다각도로 분석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It cultivates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and theories of art philosophy and analyze huma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s from various angles. |
| 아동·청소년 예술치료 ( Art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 아동청소년 예술치료는 아동청소년 정상발달과 발달의 지연 및 이상을 갖는 장애아동의 전반적 특성을 이해하고 발달을 돕는 예술매체의 치료적 사용에 대해 습득한다. | |
| 정신병리와예술치료 ( Psychopathology and Art Therapy ) | 이 과목의 목적은 정신병리에 대한 개념을 습득하고 예술(음악, 미술, 무용 등)이 어떻게 정신병리 환자(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학습하는데 있다. 예술의 심미적이고 창의적인 특성이 내담자의 정신건강에 도움을 주는지를 근거중심적인 측면에서 수업이 진행됨으로써 정신병리에 대한 이해와 함께 예술치료의 효과에 대한 다양한 치료적 근거를 확립해 나갈 수 있다. | |
| 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rt therapy programs ) | 이 수업은 임상 대상자에게 예술치료를 적용하는데 필요한 치료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적용하여 예술치료사로서의 실행 능력을 증진시키고자 합니다. 수업 과정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합니다. 우선 이론을 습득하고, 모의세션을 통해 임상 기술 습득하며, 5회는 실제 대상자에게 본인이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실행능력을 증진시킵니다. 이에 신규 과목으로 개설합니다. | This class aims to improve the execution ability as an art therapist by planning and applying the treatment programs necessary to apply art therapy to clinical subjects. There are three main categories of courses. First of all, you acquire theories, acquire clinical skills through simulation sessions, and improve your execution ability by applying the program you developed to the actual subject five times. Therefore, we are opening a new subject. |
| 미술심리치료의이해와실제 ( Understanding and Realizing Art Psychotherapy ) | 미술심리치료는 예술치료의 일환으로 미술활동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거나, 심리적인 어려움이나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하는 과목입니다. 이론과 더불어 실기 수업 방식으로 진행되어, 미술심리치료를 보다 직접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에 신규 과목으로 개설합니다. | Art psychotherapy is a subject that learns how to express one's feelings or alleviat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r problems through art activities as part of art therapy. In addition to the theory, practical classes will be conducted in a way that allows you to learn art psychotherapy more directly. Therefore, we are opening a new subject. |
| 예술감성교육 ( Art sensibility education ) | 이 과목은 예술과 감성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이를 교육과 치료적 맥락에서 활용하는 방법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습자들은 다양한 예술 형식(시각예술, 음악, 문학, 공연예술 등)을 통해 감성적 경험을 체험하고, 이를 통해 창의성과 공감 능력을 개발한다. 수업에서는 예술작품의 분석, 창작 활동, 감성적 소통 전략 등이 포함되며, 이를 통해 감성 지능을 함양하고 인간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중점을 둔다. | This course aims to explore the interaction between art and emotions and how it can be utilized in educational contexts. Students will engage in various art forms (visual arts, music, literature, performing arts, etc.) to experience emotional expression and develop creativity and empathy. The class will include the analysis of artworks, creative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emotional communication, focusing on foster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human experiences. |
| 미술치료연구방법 ( Art Therapy Research Methods ) | 이 과목은 미술치료 분야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연구 방법과 기법을 배우고 이를 실제 연구에 적용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량적 및 정성적 연구 방법을 모두 다루며, 미술치료의 효과성과 관련된 연구 설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법을 익힌다. 또한, 윤리적 문제와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This course aims to equip students with the knowledge of various research methods and techniques used in the field of art therapy and to develop their ability to apply these in practical research. It cover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cusing on research desig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echniques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Additionally, the cours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thical considerations and understanding cultural diversity in research. |
| 힐링커뮤니티댄스의치료적접근 ( The Therapeutic Approach of Healing Community Dance ) | 이 강좌는 춤의 본질적 가치와 커뮤니티댄스의 사회적, 치유적 역할에 초점한다. 춤은 인간 존재의 본질적이며 순수하고 자연스러운 생명의 욕구이다. 힐링커뮤니티댄스는 즐겁고 단순하고 인체의 메커니즘을 따르는 움직임을 통해 심신의 이완을 도모하며, 참여자의 감각을 회복시키고 창조성을 일깨우는 전인적 치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몸을 통한 자각과 표현을 통해 개인과 공동체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한다. 보결소매틱 무브먼트, 감각운동 심리치료, 안나 할프린의 표현예술 심리치료 등의 이론적 기반과 다양한 해외 커뮤니티댄스와 국내 힐링커뮤니티댄스의 풍부한 실제 사례를 다루고,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춤의 치유적 효과를 체험하고 창조적이고 전문적인 치유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
This course focuses on the intrinsic value of dance and the social and healing role of community dance. Dance is an essential part of human existence, a pure and natural life need. Through movement that is joyful, simple, and follows the mechanisms of the human body, healing community dance provides holistic healing that relaxes the mind and body, restores the senses, and awakens creativity in participants. Specifically, it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hrough awareness and expression through the body. The course will cover theoretical foundations such as Embodied Somatic Movement, Sensorimotor Psychotherapy, and Anna Halprin's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as well as rich practical examples from various international and domestic healing community dances. Through this, learners will experience the healing power of dance and develop the ability to design creative and professional healing programs. |
| 장애아동미술재활 (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 본 교과목은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장애를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재활의 이론과 실제를 다룹니다. 다양한 장애 유형을 이해하고, 그에 적합한 미술 활동을 계획·적용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특히 미술활동이 아동의 심리적 안정, 자기표현, 감각·운동 기능 향상 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탐색 가능합니다. 장애아동의 발달 특성과 요구를 이해하고, 미술재활의 이론적 기반과 다양한 미술치료기법을 장애유형별로 적용하는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재활 미술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역량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합니다. |
This course covers both the theory and practice of art rehabilitation for children with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disabilities. Students will learn to understand various types of disabilities and how to plan and implement appropriate art activities accordingly. The course explores, through both theory and practice, the positive effects of art activities on children's emotional stability, self-expression, and improvement of sensory and motor functions. The aim of the course is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develop their ability to apply theoretical foundations of art rehabilitation and various art therapy techniques tailored to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Additionally, the course fosters the ability to design and implement art rehabilitation programs based on real-life cases. |
| 상담이론과실제 ( Theories and Practices in Counseling ) | 상담에 대한 여러 가지 이론과 접근 기술 및 방법을 학습하고 이들 이론의 방법에 기초하여 실제 상담에서 제시되는 사례를 학습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기른다. 특히 상담이론들이 실제로 적용되는 사례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심리학적 이론들의 응용 가능성을 학습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시행되고 있고 이론적 체계를 갖춘 상담적 입장을 설명한다. 상담이론의 모태라고도 할 수 있는 정신분석이론에서부터 현실상담이론에 이르기까지 각 이론적 입장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격 이론, 정신병리 이론, 상담 원리, 상담과정과 기법, 그리고 실제 사례에의 적용 가능성까지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상담의 개념적 이해와 더불어 실제 상담기법을 적용해 보는 실습과정을 통해 상담가로서의 역할과 능력을 진단하고 경험하게 한다. | Learn various theories, approaches, and methods of counseling, and develop the ability to learn and analyze cases presented in actual counseling based on the methods of these theories. In particular, learn the applicability of psychological theories through analysis of cases where counseling theories are actually applied. Explain the counseling position that is currently most widely practiced and has a theoretical system in the world. From psychoanalysis theory, which can be said to be the mother of counseling theory, to reality counseling theory, we will examine in depth the personality theory, psychopathology theory, counseling principles, counseling process and techniques presented in each theoretical position, and the applicability to actual cases. In addition, through a practical course that applies actual counseling techniques along with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ounseling, we will diagnose and experience the role and ability as a counselor. |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 스포츠의 융복합인 미디어스포테인먼트경영(Media Spotainment Management)전공은 MBA(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과정에서 배우는 경영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고도의 실무적 경영 훈련을 실시, 기업의 전문 엘리트 배출을 목표로,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기술적 이해를 기반으로, 미디어운영 경영, 콘텐츠기획 및 제작생산 경영, 마케팅·홍보·커뮤니케이션 등 미디어스포테인먼트 융합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키우며, 각 분야의 콘텐츠 제작, 브랜드화, 마케팅에 대한 기획➜생산➜저장➜유통되는 미디어스포테인먼트 콘텐츠산업에
실제 적용될 수 있는 경영 수업을 일컫는다.
스마트미디어로 디지털 융-복합이 본격화되면서 미디어스포테인먼트 콘텐츠 수요의 빠른 증가와 함께, 수익 기반도 크게 확장되고 있다.
이렇게 미디어스포테인먼트 콘텐츠 전반을 다룰 수 있는 인재가 필요한 상황에 있지만 대학과 대학원에서 일체형 교육을 하는 전공이 미흡 본 전공의 장점을 살려
대중의, 대중에 의한, 대중을 위한 대중문화의 핵심인 미디어스포테인먼트경영을 배우고 실천하며, 연구하는데 학습의 주안점을 두고 있다.
특히, 미디어스포테인먼트경영 전공은 미디어/연예/스포츠/게임분야 및 문화산업 전반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에게 미디어스포테인먼트 콘텐츠 전반을 다룰 수 있는 일체형 교육을 통하여
대중문화의 핵심인 미디어스포테인먼트 경영을 배우고 익혀 실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엔터테인먼트 경영원론 / 엔터테인먼트 경영연구 / 엔터테인먼트 산업론 / 엔터테인먼트 창업론 / 엔터테인먼트 기업분석 / 엔터테인먼트 문화콘텐츠 / 엔터테인먼트 창조성연구 /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론 / 엔터테인먼트 역사 / 엔터테인먼트 마케팅 / 엔터테인먼트 산업관계법 / 엔터테인먼트 스타분석 / 엔터테인먼트 산업 정책론 / 엔터테인먼트 저작권법 / 엔터테인먼트 문화콘텐츠 / 언론학 개론 / 미디어와 사회 / 디지털미디어개론 /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 방송의 이해 / 방송콘텐츠 기획, 제작 / 홍보론 / 통합마케팅 커뮤니케이션 / 스포츠 산업론 / 스포츠 문화콘텐츠 기획론 / 스포츠마케팅 커뮤니케이션 / 스포츠 이벤트기획론 / 스포츠 마케팅 / 스포츠 홍보기획운영전략 / 논문연구세미나Ⅰ / 독립연구 (Ⅰ)
초빙교수
소속
문화예술대학원
약력
강의·전공
미디어스포테인먼트경영
담당과목
엔터테인먼트경영원론, 미디어연구
LINK
| 구분 |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 전공 | 0742959 | 미디어와 사회 | 3 |
| 전공 | 074375 | 엔터테인먼트경영원론 | 3 |
| 전공 | 074546 | 엔터테인먼트경영연구 | 3 |
| 전공 | 074640 | 홍보론 | 3 |
| 전공 | 074793 | 사이버커뮤니케이션 | 3 |
| 전공 | 074794 | 스포츠이벤트기획론 | 3 |
| 전공 | 075165 | 스포츠홍보기획운영전략 | 3 |
| 전공 | 075397 | 엔터테인먼트IMC전략경영론 | 3 |
| 전공 | 075762 | 스포츠와 프로모션 | 3 |
| 전공 | 075995 | 미디어와 문화관광 | 3 |
| 전공 | 075996 | 미디어스포테인먼트경영론 | 3 |
| 전공 | 076174 | 이미지 메이킹 & 연출론 | 3 |
| 전공 | 076175 | 프로스포츠구단운영론 | 3 |
| 전공 | 076867 | 미디어연구 | 3 |
| 교과목명(영문명) | 교과목개요(한글) | 교과목개요(영문) |
| 미디어와 사회 ( The media and society ) | 현대 사회에 구조화 되어 있는 미디어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미디어 이해에 필요한 기초적이고 배경이 되는 지식을 제공한다. 현대의 미디어는 단순히 메시지를 전달하는 도구를 넘어서 인간 신체기능의 연장이며 미디어 자체가 곧 메시지가 될 수 있는 위력을 학습한다. | |
| 엔터테인먼트경영원론 ( Principles of entertainment management ) | 엔터테인먼트 경영에 필요한 문화경제이론과 경영이론, 마케팅에 대하여 연구하고 엔터테인먼트 경영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엔터테인먼트 경영의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한다. | Research on cultural economic theory and business theory and marketing for entertainment management and present problems and alternatives in entertainment management through case study of entertainment management. |
| 엔터테인먼트경영연구 ( Management Study on Entertainment ) | 엔터테인먼트기업을 일반적 경영학적으로 분석하고, 전략적인 의사결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의 적용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 Analyze entertainment enterprises in general management and systematically study the application of various techniques to solve strategic decision problem. |
| 홍보론 ( Theory of Promotion ) | 본 강좌는 효과적인 PR 전략 수립의 수단을 파악해 보고, 현대사회의 커뮤니케이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사회에서 중요성을 더해가는 PR의 정의와 형태, 역사를 알아본다. 특히, PR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각종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며, PR의 사회적 기능과 윤리적 문제를 점검한다. | This course introduces you to the history, principles and practice of public relations in a global context. You will look at prominent areas of PR practice and specialisation, and consider environments in which PR practitioners work, relating them to ethical dimensions for the practitioner, the PR industry and society. In this course you will also examine major issues facing the PR industry, including current international trends and developments. |
| 사이버커뮤니케이션 ( Cyber Communication ) | 사이버커뮤니케이션 관련 다양한 개념 및 기본 속성을 익히고,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현상 및 사례 살펴봄으로써 사이버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한 변화에 대한 심층 탐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 By learning various concepts and basic attributes related to cyber communication, and studying cyber communication phenomena and cases, an in-depth exploration of changes due to cyber communication can be made. |
| 스포츠이벤트기획론 ( Planning of Sports event ) | 스포츠 이벤트의 조직운영, 재정문제, 마케팅관리 내용을 알아보고 스포츠 이벤트를 위해서 준비해야 되는 시설과 그 시설에 따른 환경문제 스포츠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해서 확인해야 되는 부분 등을 실제 스포츠 이벤트사례를 통해서 이론과 실제적인 스포츠 이벤트의 기획과 실행에 대해 연구한다. | We will study the organization, financial problems, marketing management of sporting events, facilities that should be prepared for sporting events, and areas that need to be checked in order to run environmental events according to those facilities, and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actual sporting events through real-world sports event examples. |
| 스포츠홍보기획운영전략 ( Sport Promotion ) | 현대사회는 광고 및 홍보가 넘쳐나는 시대다. 홍보의 차별화된 전략 없이 소비자의 기대와 관심을 이끌어내기는 어렵다. 본 강좌를 통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한 분야인 홍보의 제작과정 및 컨셉을 이해하고 각종 스포츠 및 스포츠 시설의 홍보를 기획운영하고 전략수립 및 집행이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 되는지 연구 한다. | The modern society is an era full of advertisements and promotions. It is difficult to elicit consumer expectations and interest without a differentiated strategy of promotion.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production process and concept of public relations, a field of marketing communication, plan and operate various sports and sports facilities, and study how strategy establishment and execution are applied in the field. |
| 엔터테인먼트IMC전략경영론 ( Entertainment IMC Strategy Management Theory ) |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개념에 대한 이해와 현대 마케팅과 광고/PR과의 관계와 통합의 필요성을 살펴보며, 효과적인 마케팅커뮤니케이션의 전략수립을 그 목적으로 하며, 기업이 마케팅과 커뮤니케이션 도구들을 어떻게 조합하여 경영 할지를 배우게 된다. 본 강좌는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전반적 이해 달성을 목표로 한다. |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and the need for integration with modern marketing and advertising/PR, the purpose of which is to establish effective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learn how the company will operate a combination of marketing and communication tools. This course aims to achieve an overall understanding of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
| 스포츠와 프로모션 ( sports & prpmotion ) | 스포츠와 관련해 진행하는 세일즈 프로모션에 관한 기본 이론은 물론 오늘날 스포츠 세일즈 프로모션의 각종 현안과 전략 및 테크닉을 소개하고 알아본다. | Introduce and learn the basic theory of sales promotion related to sports, as well as the various issues, strategies, and techniques of today's sports sales promotion. |
| 미디어와 문화관광 ( The Cultural Tourism of Media ) | 미디어와 문화 및 관광산업에 대한 이해를 알아보며, 미디어 관광산업의 전략경영 및 관광마케팅에 관하여 습득하고 이 시대의 문화관광산업의 산업적 측면에서 문화관광산업의 콘텐츠산업 시대로의 도래에 대하여 학습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학습에 목표를 둔다. | Learn about media, culture, and tourism industry, learn about strategic management and tourism marketing of the media tourism industry, and learn about the advent of the cultural tourism industry from the industrial aspect of the cultural tourism industry to the content industry era. Focus on and aim for learning. |
| 미디어스포테인먼트경영론 ( Media Sportainment Management ) | 미디어와 스포츠 그리고 엔터테인먼트의 분야가 확장되고 융합되면서 미디어스포테인먼트가 대중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미디어스포테인먼트경영의 기본원리와 기능을 이해하고 본질적 접근방법의 제시를 통하여 이 분야의 경영 조직 및 관련 현장에서 보다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경영을 위한 능력을 배양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The fields of media, sports and entertainment have expanded and converged. Media Sportainment is attracting public attention. It guides the development of capabilities for more productive and efficient management in organizations and related sites through understanding the basic principles and functions of media sportainment management and presenting essential approaches. |
| 이미지 메이킹 & 연출론 ( Image Making and Directing Theory ) | 이미지는 내적 이미지, 외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로 구분되며, 이미지 메이킹이란 개인이 추구하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자신의 이미지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행위이자 자기 향상을 위한 노력을 통칭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교과목은 이미지 메이킹&연출에 대한 이론과 실체에 대하여 비교 분석 연구하는데 주안점을 둔 교과목이다. | Images are divided into internal images, external images, and social images, and image making is an act of integrated management of one's image to achieve the goals pursued by individuals and collectively refers to efforts to improve oneself. Therefore, this subject focuses on comparative analysis and research on the theory and substance of image making and directing. |
| 프로스포츠구단운영론 Professional sports club operation theory ) | 프로스포츠구단운영의 다양한 마케팅 기법을 비롯한 방법과 관중들의 관람도 만족을 높이기 위한 서비스 품질 개선 노력, 관람자의 마케팅 믹스 인식이 재 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다양한 프로스포츠 종목과 각 프로스포츠구단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단을 운영하는 과정 및 방법을 알아보는데 주안점을 두는 교과목. | Studying methods including various marketing techniques of professional sports club operation, efforts to improve service quality to increase satisfaction of spectators, and the effect of marketing mix perception of spectators on re-viewing intentions. A course that focuses on various professional sports events and how each professional sports team manages the process and method. |
| 미디어연구 ( Media Studies ) | 신문, 잡지, 책, 텔레비전, 라디오, 인터넷이 연결된 스마트 기기 등 일상 어디에나 미디어가 존재하는 세상으로, 미디어는 인간의 삶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미디어는 누가 소유하고 콘텐츠는 어떻게 만들어 지는지에 대한, 연구와 학습에 주안점을 둔다. | In a world where media exists everywhere in our daily lives,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books, television, radio, and smart devices connected to the Internet, media is deeply embedded in human life. The focus is on research and learning about who owns media and how content is created. |
- 대학 홈페이지 add
- 대학원 홈페이지 add
- 부속/부설기관 홈페이지 add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