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eadcrumb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 스포츠의 융복합인 미디어스포테인먼트경영(Media Spotainment Management)전공은 MBA(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과정에서 배우는 경영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고도의 실무적 경영 훈련을 실시, 기업의 전문 엘리트 배출을 목표로,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기술적 이해를 기반으로, 미디어운영 경영, 콘텐츠기획 및 제작생산 경영, 마케팅·홍보·커뮤니케이션 등 미디어스포테인먼트 융합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키우며, 각 분야의 콘텐츠 제작, 브랜드화, 마케팅에 대한 기획➜생산➜저장➜유통되는 미디어스포테인먼트 콘텐츠산업에
실제 적용될 수 있는 경영 수업을 일컫는다. 
 스마트미디어로 디지털 융-복합이 본격화되면서 미디어스포테인먼트 콘텐츠 수요의 빠른 증가와 함께, 수익 기반도 크게 확장되고 있다.
이렇게 미디어스포테인먼트 콘텐츠 전반을 다룰 수 있는 인재가 필요한 상황에 있지만 대학과 대학원에서 일체형 교육을 하는 전공이 미흡 본 전공의 장점을 살려
대중의, 대중에 의한, 대중을 위한 대중문화의 핵심인 미디어스포테인먼트경영을 배우고 실천하며, 연구하는데 학습의 주안점을 두고 있다. 
 특히, 미디어스포테인먼트경영 전공은 미디어/연예/스포츠/게임분야 및 문화산업 전반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에게 미디어스포테인먼트 콘텐츠 전반을 다룰 수 있는 일체형 교육을 통하여
대중문화의 핵심인 미디어스포테인먼트 경영을 배우고 익혀 실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엔터테인먼트 경영원론 / 엔터테인먼트 경영연구 / 엔터테인먼트 산업론 / 엔터테인먼트 창업론 / 엔터테인먼트 기업분석 / 엔터테인먼트 문화콘텐츠 / 엔터테인먼트 창조성연구 /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론 / 엔터테인먼트 역사 / 엔터테인먼트 마케팅 / 엔터테인먼트 산업관계법 / 엔터테인먼트 스타분석 / 엔터테인먼트 산업 정책론 / 엔터테인먼트 저작권법 / 엔터테인먼트 문화콘텐츠 / 언론학 개론 / 미디어와 사회 / 디지털미디어개론 /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 방송의 이해 / 방송콘텐츠 기획, 제작 / 홍보론 / 통합마케팅 커뮤니케이션 / 스포츠 산업론 / 스포츠 문화콘텐츠 기획론 / 스포츠마케팅 커뮤니케이션 / 스포츠 이벤트기획론 / 스포츠 마케팅 / 스포츠 홍보기획운영전략 / 논문연구세미나Ⅰ / 독립연구 (Ⅰ) 


조인희

초빙교수

소속

문화예술대학원

약력

(현)미디어스포테이먼트경영학회 회장

강의·전공

미디어스포테인먼트경영

담당과목

엔터테인먼트경영원론, 미디어연구

 

LINK

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전공 0742959 미디어와 사회 3
전공 074375 엔터테인먼트경영원론 3
전공 074546 엔터테인먼트경영연구 3
전공 074640 홍보론 3
전공 074793 사이버커뮤니케이션 3
전공 074794 스포츠이벤트기획론 3
전공 075165 스포츠홍보기획운영전략 3
전공 075397 엔터테인먼트IMC전략경영론 3
전공 075762 스포츠와 프로모션 3
전공 075995 미디어와 문화관광 3
전공 075996 미디어스포테인먼트경영론 3
전공 076174 이미지 메이킹 & 연출론 3
전공 076175 프로스포츠구단운영론 3
전공 076867 미디어연구 3
  

 

교과목명(영문명) 교과목개요(한글) 교과목개요(영문)
미디어와 사회 ( The media and society ) 현대 사회에 구조화 되어 있는 미디어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미디어 이해에 필요한 기초적이고 배경이 되는 지식을 제공한다. 현대의 미디어는 단순히 메시지를 전달하는 도구를 넘어서 인간 신체기능의 연장이며 미디어 자체가 곧 메시지가 될 수 있는 위력을 학습한다.  
엔터테인먼트경영원론 ( Principles of entertainment management ) 엔터테인먼트 경영에 필요한 문화경제이론과 경영이론, 마케팅에 대하여 연구하고 엔터테인먼트 경영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엔터테인먼트 경영의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한다. Research on cultural economic theory and business theory and marketing for entertainment management and present problems and alternatives in entertainment management through case study of entertainment management.
엔터테인먼트경영연구 ( Management Study on Entertainment ) 엔터테인먼트기업을 일반적 경영학적으로 분석하고, 전략적인 의사결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의 적용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Analyze entertainment enterprises in general management and systematically study the application of various techniques to solve strategic decision problem.
홍보론 ( Theory of Promotion ) 본 강좌는 효과적인 PR 전략 수립의 수단을 파악해 보고, 현대사회의 커뮤니케이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사회에서 중요성을 더해가는 PR의 정의와 형태, 역사를 알아본다. 특히, PR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각종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며, PR의 사회적 기능과 윤리적 문제를 점검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you to the history, principles and practice of public relations in a global context. You will look at prominent areas of PR practice and specialisation, and consider environments in which PR practitioners work, relating them to ethical dimensions for the practitioner, the PR industry and society. In this course you will also examine major issues facing the PR industry, including current international trends and developments.
사이버커뮤니케이션 ( Cyber Communication ) 사이버커뮤니케이션 관련 다양한 개념 및 기본 속성을 익히고,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현상 및 사례 살펴봄으로써 사이버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한 변화에 대한 심층 탐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By learning various concepts and basic attributes related to cyber communication, and studying cyber communication phenomena and cases, an in-depth exploration of changes due to cyber communication can be made.
스포츠이벤트기획론 ( Planning of Sports event ) 스포츠 이벤트의 조직운영, 재정문제, 마케팅관리 내용을 알아보고 스포츠 이벤트를 위해서 준비해야 되는 시설과 그 시설에 따른 환경문제 스포츠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해서 확인해야 되는 부분 등을 실제 스포츠 이벤트사례를 통해서 이론과 실제적인 스포츠 이벤트의 기획과 실행에 대해 연구한다. We will study the organization, financial problems, marketing management of sporting events, facilities that should be prepared for sporting events, and areas that need to be checked in order to run environmental events according to those facilities, and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actual sporting events through real-world sports event examples.
스포츠홍보기획운영전략 ( Sport Promotion ) 현대사회는 광고 및 홍보가 넘쳐나는 시대다. 홍보의 차별화된 전략 없이 소비자의 기대와 관심을 이끌어내기는 어렵다. 본 강좌를 통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한 분야인 홍보의 제작과정 및 컨셉을 이해하고 각종 스포츠 및 스포츠 시설의 홍보를 기획운영하고 전략수립 및 집행이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 되는지 연구 한다. The modern society is an era full of advertisements and promotions. It is difficult to elicit consumer expectations and interest without a differentiated strategy of promotion.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production process and concept of public relations, a field of marketing communication, plan and operate various sports and sports facilities, and study how strategy establishment and execution are applied in the field.
엔터테인먼트IMC전략경영론 ( Entertainment IMC Strategy Management Theory )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개념에 대한 이해와 현대 마케팅과 광고/PR과의 관계와 통합의 필요성을 살펴보며, 효과적인 마케팅커뮤니케이션의 전략수립을 그 목적으로 하며, 기업이 마케팅과 커뮤니케이션 도구들을 어떻게 조합하여 경영 할지를 배우게 된다. 본 강좌는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전반적 이해 달성을 목표로 한다.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and the need for integration with modern marketing and advertising/PR, the purpose of which is to establish effective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learn how the company will operate a combination of marketing and communication tools. This course aims to achieve an overall understanding of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스포츠와 프로모션 ( sports & prpmotion ) 스포츠와 관련해 진행하는 세일즈 프로모션에 관한 기본 이론은 물론 오늘날 스포츠 세일즈 프로모션의 각종 현안과 전략 및 테크닉을 소개하고 알아본다. Introduce and learn the basic theory of sales promotion related to sports, as well as the various issues, strategies, and techniques of today's sports sales promotion.
미디어와 문화관광 ( The Cultural Tourism of Media ) 미디어와 문화 및 관광산업에 대한 이해를 알아보며, 미디어 관광산업의 전략경영 및 관광마케팅에 관하여 습득하고 이 시대의 문화관광산업의 산업적 측면에서 문화관광산업의 콘텐츠산업 시대로의 도래에 대하여 학습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학습에 목표를 둔다. Learn about media, culture, and tourism industry, learn about strategic management and tourism marketing of the media tourism industry, and learn about the advent of the cultural tourism industry from the industrial aspect of the cultural tourism industry to the content industry era. Focus on and aim for learning.
미디어스포테인먼트경영론 ( Media Sportainment Management ) 미디어와 스포츠 그리고 엔터테인먼트의 분야가 확장되고 융합되면서 미디어스포테인먼트가 대중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미디어스포테인먼트경영의 기본원리와 기능을 이해하고 본질적 접근방법의 제시를 통하여 이 분야의 경영 조직 및 관련 현장에서 보다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경영을 위한 능력을 배양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The fields of media, sports and entertainment have expanded and converged. Media Sportainment is attracting public attention. It guides the development of capabilities for more productive and efficient management in organizations and related sites through understanding the basic principles and functions of media sportainment management and presenting essential approaches.
이미지 메이킹 & 연출론 ( Image Making and Directing Theory ) 이미지는 내적 이미지, 외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로 구분되며, 이미지 메이킹이란 개인이 추구하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자신의 이미지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행위이자 자기 향상을 위한 노력을 통칭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교과목은 이미지 메이킹&연출에 대한 이론과 실체에 대하여 비교 분석 연구하는데 주안점을 둔 교과목이다. Images are divided into internal images, external images, and social images, and image making is an act of integrated management of one's image to achieve the goals pursued by individuals and collectively refers to efforts to improve oneself. Therefore, this subject focuses on comparative analysis and research on the theory and substance of image making and directing.
프로스포츠구단운영론 Professional sports club operation theory ) 프로스포츠구단운영의 다양한 마케팅 기법을 비롯한 방법과 관중들의 관람도 만족을 높이기 위한 서비스 품질 개선 노력, 관람자의 마케팅 믹스 인식이 재 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다양한 프로스포츠 종목과 각 프로스포츠구단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단을 운영하는 과정 및 방법을 알아보는데 주안점을 두는 교과목. Studying methods including various marketing techniques of professional sports club operation, efforts to improve service quality to increase satisfaction of spectators, and the effect of marketing mix perception of spectators on re-viewing intentions. A course that focuses on various professional sports events and how each professional sports team manages the process and method.
미디어연구 ( Media Studies ) 신문, 잡지, 책, 텔레비전, 라디오, 인터넷이 연결된 스마트 기기 등 일상 어디에나 미디어가 존재하는 세상으로, 미디어는 인간의 삶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미디어는 누가 소유하고 콘텐츠는 어떻게 만들어 지는지에 대한, 연구와 학습에 주안점을 둔다. In a world where media exists everywhere in our daily lives,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books, television, radio, and smart devices connected to the Internet, media is deeply embedded in human life. The focus is on research and learning about who owns media and how content is cre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