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eadcrumb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예술치료전공은 예술치료전문가를 양성하는 데에 목표를 두고 있다.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현대인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심리치료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또한 현장에서 적용된 치료사례를 통해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예술치료 접근방법을 연구하며, 더불어 전문자격을 취득하는 데에 연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예술치료전문가로서의 자질 함양은 물론, 치료대상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예술치료를 실행해 개인적 성장과 정신의 건강을 돕는 활동을 이끌어나가는 것을 지향한다.


예술치료개론 / 예술 감성교육 / 정신의학과 예술치료 / 상담이론과 실제 /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 미술심리 진단 평가 / 장애아동 발달과 재활미술치료 / 아동 및 청소년 미술치료 / 성인 및 노인미술치료 / 가족미술치료 / 스포츠 심리와 미술치료 / 모래 놀이치료의 이론과 실제 / 임상실습 및 슈퍼비젼 / 색채심리학 /  아동음악치료 / 노인음악치료 / 음악재활기술 / 음악치료세미나 / 음악치료 임상 실습 / 드라마 치료 / 무용치료의 이론과 실제 / 연극치료 슈퍼비젼 / 사이코 드라마 및 대안 연극 / 문학(독서)치료 / 영화 속의 심리학


권수정

초빙교수

소속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약력

(현)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예술치료전공 주임교수

강의·전공

교육학, 미술학

담당과목

미술교육,미술치료,심리학

 

E-mail

이원석

강사

소속

문화예술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약력

(현) 서울교육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연구원
(전) 한국행동과학연구소 연구원

강의·전공

예술치료전공

담당과목

상담이론과 실제

 

E-mail

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전공 075157 예술치료개론 3
전공 075158 아동음악치료 3
전공 075991 예술재활치료 세미나 3
전공 075992 음악치료 인턴쉽 3
전공 075993 미술매체연구 및 실습 3
전공 075994 디지털그래픽아트 기획과 제작 3
전공 076186 음악재활사례연구(음악치료사례연구) 3
전공 076192 예술치료 사례연구 방법론 3
전공 076193 이상심리학 3
전공 076194 무용동작치료 이해와 적용 3
전공 076394 예술철학을통한심리이해 3
전공 076395 아동·청소년 예술치료 3
전공 076396 정신병리와예술치료 3
전공 076469 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3
전공 076470 미술심리치료의이해와실제 3
전공 076809 예술감성교육 3
전공 076810 미술치료연구방법 3
전공 076811 힐링커뮤니티댄스의치료적접근 3
전공 076840 장애아동미술재활 3
전공 076841 상담이론과실제 3
  

 

교과목명(영문명) 교과목개요(한글) 교과목개요(영문)
예술치료개론 ( Introduction to arts therapy ) 예술치료는 음악, 미술, 춤, 동작, 연극, 영화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 의학과 심리학이 통합된 치료기법을 적용하여 몸과 마음을 변화시키고 행동을 변화시키는 치료임.
 학생들은 예술치료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대상 영역별 예술치료의 목적 및 적용방법 등의 이론적 과정과 예술치료의 실제 적용방법을 배우게 됨.
Arts therapy is a therapy that changes the body and mind and changes behavior by applying a therapeutic technique integrating medicine and psychology to various arts fields such as music, art, dance, movement, theater, and film.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of arts therapy and learn theoretical processes such as the purpose and application method of arts therapy in each subject area,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method of arts therapy.
아동음악치료 ( Music therapy for children ) 아동음악치료는 태아에서부터 청소년기에 이르는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정상아동과 장애아동의 특성을 알아보며 음악치료의 이론과 적용방법을 배우는 과목임.
  학생들은 아동에 대한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정상아동과 장애아동에 대한 영역별 음악치료의 목적 및 적용방법 등의 이론적 과정과 음악치료의 실제 적용방법을 배우게 됨.
Children's Music Therapy is a subject to understand the overall development process of children from the fetus to adolescenc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normal and disabled children, and to learn the theory and application methods of music therapy.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hildren and learn theoretical processes such as the purpose and application method of music therapy for each area for normal and disabled children, and practical application methods of music therapy.
예술재활치료 세미나 ( Seminar of arts rehabilitation therapy ) 예술재활치료 세미나는 통합예술치료와 재활치료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 및 토론 세미나를 통해 어린이, 노인 및 트라우마 환자들의 재활을 위해 요구되는 실제적인 다양한 예술치료적 매체와 기법들을 숙지하도록 한다. 또한 대상별 예술재활치료 프로그램 계획, 시연 및 평가를 통해 전문적인 예술치료사로써의 자질을 향상하도록 하고, 임상 장면에서 발달 및 트라우마 환자들의 심리적인 지원과 외상 후 성장을 도모하여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이도록 한다. It arrows to study of theoretical background of integral arts therapy and rehabilitation therapy and to be familiar with practical approaches of various media and arts therapies through seminar(study and discussion) for children, oldman and patients who required rehabilitation, further to this, it is to improve capacities as an professional arts therapist through design of arts therapy program by objects, practical trial performances and evaluation of the result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promoting psychological support and post  traumatic growth for traumatic patients in clinical session.
음악치료 인턴쉽 ( Internship in Music Therapy ) 음악치료 인턴쉽은 학생들이 6개월 동안 학교에서 인정하는 임상 기관에서 치료대상자의 진단, 영역별 음악치료의 목적 및 적용방법 등의 이론적 과정과 음악치료의 실제 적용기술을 사용하여 client를 치료하는 임상기술을 훈련한다. 또한 Client에게 필요한 치료와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시행하고, 수업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연구분석 및 토의한다. The music therapy internship is a clinical technique in which students treat clients using theoretical processes such as diagnosis of treatment subjects, purpose and application method of music therapy by area, and actual application technology of music therapy at a clinical institution recognized by the school for 6 months. to train In addition, treatment and education programs necessary for clients are created and implemented, and in class, research is analyzed and discussed based on them.
미술매체연구 및 실습 ( Art Media Research and Practce ) 미술매체연구 및 실습은 조형의 표현에 있어 매우 중요하게 연구 되어져야 한다. 특히 다양성을 요구하는 현대미술에서는 더욱 중심이 되고 있으며, 도상의 표현 수단으로 다채로운 감정 표현에서 흥미성을 유발한다. 본 과정은 시각예술의 표현기법에서 다양한 매체를 선택하여 접근하고 이론과 간단한 실기를 경험함으로 흥미 있는 시각문화를 활용해 미술치료학습에 연계성을 활용 할 수 있다. Art Media Research and Practce/ Itshuld be studid very importtantly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form. Especially in modern art, which requires diversity, it is becoming more central, It creates interest by expressing variousemotions as a means of expression ofsculpture. This course can utilize the connecting by using interapy learningby using interesing time culture byselecting various media from visual art expression techniques and expeeriencing theory and simple peactical skills.
디지털그래픽아트 기획과 제작 ( Digital Graphic Art Production ) 본 수업은 미술심리치료에서의 디지털 그래픽 활용에 대해 알아보는 한편, 그래픽을 운용하는 기능을 함께 터득한다. 컴퓨터그래픽스 분야의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활용한 미술심리치료의 새로운 역할과 가능성을 모색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students to the use of computer graphics as a tool for artistic and visual expression. Students will learn to use graphics as an important tool in their creative pursuits. Through skills learned in class, students will develop an individual portfolio.
음악재활사례연구(음악치료사례연구) ( Case Study In Music therapy ) 음악재활사례연구(음악치료사례연구)는 음악치료의 학문 발전과 임상분야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연구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연구수행에 필요한 방법과 기술 및 지식을 습득하고 실행하는 과목이다. 양적연구, 질적연구에 대한 개요부터 대상별 임상실습과 사례연구에서 숙지하고 있어야 할 요점을 다루고 사례연구를 치료논문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Case Study In Music therapy  is a subject that understands the importance of research for the academic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and securing expertise in the clinical field, and acquires and executes methods, skills, and knowledge necessary for research. The purpose is to cover the points that should be familiar with in clinical practice and case studies by subject, from an overview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and to write case studies as treatment thesis.
예술치료 사례연구 방법론 ( Approaches to case study on an arts therapy ) 예비전문가로서 예술치료 선행연구를 읽고 분석하는 방법을 습득하며, 자신의 임상연구에 적용해봄으로써 연구 역량을 향상시킨다. 이를 통해 자신의 임상수행에서 효과적인 평가방법과 사례개념화 방안을 계획할 수 있다.  
이상심리학 본 과목은 DSM-5를 바탕으로 임상 장면에서 만나게 되는 내담자들의 이상 행동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치료 계획 및 개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불안장애와 성격장애, 아동이나 청소년 등 DSM-5의 카테고리들을 전반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abnormal behavior of clients encountered in clinical settings based on the DSM-5, and to develop treatment plan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accordingly. The course will cover a broad range of DSM-5 categories, including anxiety disorders, personality disorders, and child and adolescent disorders.
무용동작치료 이해와 적용 무용의 의미와 무용치료의 개념, 역사, 배경을 이론적으로  이해한다. 무용과 심리학이 만나서 현재 어떤 학문적, 실제적 적용이 일어나는지 알아보고 그 한가운데 자리잡고 있는 '몸'의 의미를 현상학적, 생리학적, 심리학적, 신경학적 접근을 하며 몸과 마음의 관계에 대한 탐구를 움직임을 통한 나 자신의 경험과 실험을 통해나 자신을 이해하며  삶으로 확대한다.
나의 내면과의 소통을 통한 자기 치유과정을 거치며 이 경험이 타인에게 나누어지며 예술치유의 주체가 될수 있는 기반을 만든다.
Gain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ance and the concept, history, and background of dance therapy. Learn about the current academic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dance and psychology, and explore the meaning of body in the middle of it through phenomenological,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neurological approaches, and extend the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mind to life through my own experiences and experiments through movement and understanding myself.
Through the process of self-healing through communication with my inner self, this experience is shared with others and creates a foundation for becoming a subject of artistic healing.
예술철학을통한심리이해 ( Understanding Psychology through Art Philosophy ) 예술철학의 기본 개념과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통한 인간의 심리와 감정상태를 다각도로 분석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It cultivates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and theories of art philosophy and analyze huma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s from various angles.
아동·청소년 예술치료 ( Art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아동청소년 예술치료는 아동청소년 정상발달과 발달의 지연 및 이상을 갖는 장애아동의 전반적 특성을 이해하고 발달을 돕는 예술매체의 치료적 사용에 대해 습득한다.  
정신병리와예술치료 ( Psychopathology and Art Therapy ) 이 과목의 목적은 정신병리에 대한 개념을 습득하고 예술(음악, 미술, 무용 등)이 어떻게 정신병리 환자(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학습하는데 있다. 예술의 심미적이고 창의적인 특성이 내담자의 정신건강에 도움을 주는지를 근거중심적인 측면에서 수업이 진행됨으로써 정신병리에 대한 이해와 함께 예술치료의 효과에 대한 다양한 치료적 근거를 확립해 나갈 수 있다.  
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rt therapy programs ) 이 수업은 임상 대상자에게 예술치료를 적용하는데 필요한 치료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적용하여 예술치료사로서의 실행 능력을 증진시키고자 합니다. 수업 과정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합니다. 우선 이론을 습득하고, 모의세션을 통해 임상 기술 습득하며, 5회는 실제 대상자에게 본인이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실행능력을 증진시킵니다. 이에 신규 과목으로 개설합니다. This class aims to improve the execution ability as an art therapist by planning and applying the treatment programs necessary to apply art therapy to clinical subjects. There are three main categories of courses. First of all, you acquire theories, acquire clinical skills through simulation sessions, and improve your execution ability by applying the program you developed to the actual subject five times. Therefore, we are opening a new subject.
미술심리치료의이해와실제 ( Understanding and Realizing Art Psychotherapy ) 미술심리치료는 예술치료의 일환으로 미술활동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거나, 심리적인 어려움이나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하는 과목입니다. 이론과 더불어 실기 수업 방식으로 진행되어, 미술심리치료를 보다 직접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에 신규 과목으로 개설합니다. Art psychotherapy is a subject that learns how to express one's feelings or alleviat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r problems through art activities as part of art therapy. In addition to the theory, practical classes will be conducted in a way that allows you to learn art psychotherapy more directly. Therefore, we are opening a new subject.
예술감성교육 ( Art sensibility education ) 이 과목은 예술과 감성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이를 교육과 치료적 맥락에서 활용하는 방법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습자들은 다양한 예술 형식(시각예술, 음악, 문학, 공연예술 등)을 통해 감성적 경험을 체험하고, 이를 통해 창의성과 공감 능력을 개발한다. 수업에서는 예술작품의 분석, 창작 활동, 감성적 소통 전략 등이 포함되며, 이를 통해 감성 지능을 함양하고 인간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중점을 둔다. This course aims to explore the interaction between art and emotions and how it can be utilized in educational contexts. Students will engage in various art forms (visual arts, music, literature, performing arts, etc.) to experience emotional expression and develop creativity and empathy. The class will include the analysis of artworks, creative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emotional communication, focusing on foster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human experiences.
미술치료연구방법 ( Art Therapy Research Methods ) 이 과목은 미술치료 분야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연구 방법과 기법을 배우고 이를 실제 연구에 적용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량적 및 정성적 연구 방법을 모두 다루며, 미술치료의 효과성과 관련된 연구 설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법을 익힌다. 또한, 윤리적 문제와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This course aims to equip students with the knowledge of various research methods and techniques used in the field of art therapy and to develop their ability to apply these in practical research. It cover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cusing on research desig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echniques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Additionally, the cours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thical considerations and understanding cultural diversity in research.
힐링커뮤니티댄스의치료적접근 ( The Therapeutic Approach of Healing Community Dance ) 이 강좌는 춤의 본질적 가치와 커뮤니티댄스의 사회적, 치유적 역할에 초점한다. 춤은 인간 존재의 본질적이며 순수하고 자연스러운 생명의 욕구이다. 힐링커뮤니티댄스는 즐겁고 단순하고 인체의 메커니즘을 따르는 움직임을 통해 심신의 이완을 도모하며, 참여자의 감각을 회복시키고 창조성을 일깨우는 전인적 치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몸을 통한 자각과 표현을 통해 개인과 공동체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한다. 
보결소매틱 무브먼트, 감각운동 심리치료, 안나 할프린의 표현예술 심리치료 등의 이론적 기반과 다양한 해외 커뮤니티댄스와 국내 힐링커뮤니티댄스의 풍부한 실제 사례를 다루고,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춤의 치유적 효과를 체험하고 창조적이고 전문적인 치유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the intrinsic value of dance and the social and healing role of community dance. Dance is an essential part of human existence, a pure and natural life need. Through movement that is joyful, simple, and follows the mechanisms of the human body, healing community dance provides holistic healing that relaxes the mind and body, restores the senses, and awakens creativity in participants. Specifically, it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hrough awareness and expression through the body. The course will cover theoretical foundations such as Embodied Somatic Movement, Sensorimotor Psychotherapy, and Anna Halprin's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as well as rich practical examples from various international and domestic healing community dances. Through this, learners will experience the healing power of dance and develop the ability to design creative and professional healing programs.
장애아동미술재활 (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본 교과목은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장애를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재활의 이론과 실제를 다룹니다. 다양한 장애 유형을 이해하고, 그에 적합한 미술 활동을 계획·적용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특히 미술활동이 아동의 심리적 안정, 자기표현, 감각·운동 기능 향상 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탐색 가능합니다.
장애아동의 발달 특성과 요구를 이해하고, 미술재활의 이론적 기반과 다양한 미술치료기법을 장애유형별로 적용하는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재활 미술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역량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합니다.
This course covers both the theory and practice of art rehabilitation for children with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disabilities. Students will learn to understand various types of disabilities and how to plan and implement appropriate art activities accordingly. The course explores, through both theory and practice, the positive effects of art activities on children's emotional stability, self-expression, and improvement of sensory and motor functions.
The aim of the course is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develop their ability to apply theoretical foundations of art rehabilitation and various art therapy techniques tailored to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Additionally, the course fosters the ability to design and implement art rehabilitation programs based on real-life cases.
상담이론과실제 ( Theories and Practices in Counseling ) 상담에 대한 여러 가지 이론과 접근 기술 및 방법을 학습하고 이들 이론의 방법에 기초하여 실제 상담에서 제시되는 사례를 학습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기른다. 특히 상담이론들이 실제로 적용되는 사례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심리학적 이론들의 응용 가능성을 학습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시행되고 있고 이론적 체계를 갖춘 상담적 입장을 설명한다. 상담이론의 모태라고도 할 수 있는 정신분석이론에서부터 현실상담이론에 이르기까지 각 이론적 입장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격 이론, 정신병리 이론, 상담 원리, 상담과정과 기법, 그리고 실제 사례에의 적용 가능성까지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상담의 개념적 이해와 더불어 실제 상담기법을 적용해 보는 실습과정을 통해 상담가로서의 역할과 능력을 진단하고 경험하게 한다. Learn various theories, approaches, and methods of counseling, and develop the ability to learn and analyze cases presented in actual counseling based on the methods of these theories. In particular, learn the applicability of psychological theories through analysis of cases where counseling theories are actually applied. Explain the counseling position that is currently most widely practiced and has a theoretical system in the world. From psychoanalysis theory, which can be said to be the mother of counseling theory, to reality counseling theory, we will examine in depth the personality theory, psychopathology theory, counseling principles, counseling process and techniques presented in each theoretical position, and the applicability to actual cases. In addition, through a practical course that applies actual counseling techniques along with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ounseling, we will diagnose and experience the role and ability as a counsel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