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농업
웰니스케어융합학과(Department of Wellness Care-Convergence) 치유농업 전공
교육 목적
교육목적 |
보건의료의 패러다임이 치료를 넘어, 예방 중심의 일생 건강관리로 변화함에 따라 치유웰니스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치유웰니스 전문인력 양성 및 헬스케어 연구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치유웰니스전공은 기존의 의학적 접근의 한계를 보완하여 개인의 건강증진 및 질병 관리에 필요한 보건의료적, 사회환경적, 제도적, 문화적 측면을 고려한 교과목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림치유, 치유농업, 해양치유 국가자격증 과정의 주요 공통 교과목을 핵심교과로 구성하였다. 각 분야의 심화학습 및 치유 프로그램 연구개발을 통한 고급 전문가 과정을 기반으로 치유웰니스분야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리더십을 가진 전문인력 육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
교과 과정
구분 |
과목명 |
학점 |
연구지도 (논문대체) |
비고 |
||
치유농업전공 |
공통 |
공중보건 및 인체생리학,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테라피 이론 및 실제(1), 치유제도 및 정책 이해 |
24학점 이상 |
6학점 |
|
|
전필 |
진단 및 평가, 영양요법 및 운동요법, 심리요법, 연구방법론 |
|||||
전선 |
예방의학, 치유 수요조사, 테라피 이론 및 실제(2), 고급산림휴양, 고급수목생리, 산림약용자원론, 치유농업 식물소재, 치유농업 동물소재, 해양치유자원 및 건강관리, 필라테스 원리와 이해, 자세교정 및 근육촉진학, 기능해부학 특론 |
교수 현황
교수명 |
전공 |
학위 수여대학 |
연구 및 교육분야 |
여상석 |
재활과학 |
대구대학교 |
신경물리치료학 |
장태수 |
약학 |
영남대학교 |
웰니스케어, 힐링 |
이애경 |
농학 |
단국대학교 |
화훼원예 |
이정만 |
경제학 |
Univ. Trier |
헬스케어, 치유농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