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eadcrumb

대중음악제작·경영전공


근대 이후 세계사 속에 등장한 대중음악은 20세기를 거치면서 지배적인 음악문화로 성장하였으며, 영화와 더불어 현대 자본주의 대중문화를 견인하는 쌍두마차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대학에서는 대중음악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나 산업적 접근이 거의 전무한 상태이며, 이에 우리 대학원에서는 지난 2001년 한국 최초로 대중음악에 대한
인문학적, 산업적 연구를 핵심으로 하는 전공과정을 개설하여 많은 대중예술지도자들을 배출해 왔다.

특히, 본 ‘대중음악 제작ㆍ경영 전공’ 과정에서는 과거 예술에 대한 대중들의 무관심과 예술의 엘리트화를 낳았던 대중예술과 고급예술의 케케묵은 이분법을 넘어
대중들의 일상 속으로 스며들 수 있는 새로운 예술적 인식의 패러다임을 제시하기 위해 다양한 커리큘럼과 대중음악산업 현장 중심의 실무적인 교육을 시행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현대는 대중사회이다. 문화예술도 대중문화가 주도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에서는 정통예술인재만 키워왔다. 이제 대학에서 대중문화를 주도하는 지도자를 양성할 때가 된 것이다.
우리 대학원이 선도적으로 대중예술지도자를 키워내기 위해서 이런 학과를 만들었고 한국 유일의 대중음악전공을 시도한 것이다.
가령 대중음악의 철학적 배경에서부터 대중음악사, 대중음악제작, 공급 등 다양한 커리큘럼으로 양질의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현역 가수들이 많이 입학하고 있으며 제작자들도 공부하고 있다.


대중음악제작실무 / 음악과 경영 / 음악과 비평 / 음악분석 / 대중음악 예술 관객 개발론 / 대중음악사 / 대중음악 장르론 / 재즈 화성학 / 대중음악작 ․ 편곡법 / 현대대중 음악과양식 / 한국대중음악사 /뮤직퍼블리싱 / 공연예술과 마케팅 / 현대사회와 대중음악 / 공연기획론 /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 뮤직비즈니스현장의 이해 / 뉴뮤직이론 / 음악저작권과 뮤직비지니스 / 음반제작실습 / 음악극연구 / 음악학개론1 / 음악미학과 실용교육

준 비 중 입 니 다

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전공 072581 뮤직비즈니스 현장의 이해 3
전공 072984 현대사회와 대중음악 3
전공 073597 아티스트를 위한 인문학기초 3
전공 073926 예술인을 위한 경영학원론 3
전공 074303 세계의 대중음악 I 3
전공 074525 세계의 대중음악 II 3
전공 074628 대중음악 장르의 이해 3
전공 074631 엔터테인먼트 마케팅 3
전공 074785 한국대중음악사개론 3
전공 075159 음악교육학총론 3
전공 075160 대중음악 아티스트 연구 I 3
전공 075393 대중음악 아티스트 연구 II 3
전공 075987 음악 저작권 I 3
전공 075988 인문학속 대중음악 I 3
전공 075989 서구권 아티스트의 이해 I 3
전공 076163 음악 저작권 II 3
전공 076164 인문학 속 대중음악 II 3
전공 076165 서구권 아티스트의 이해와 감상 3
전공 076166 대중음악 장르의 이해 II 3
전공 076167 엔터테인먼트 비지니스의 기초 3
전공 076409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 3
전공 076473 한국 대중가요와 문화 3
전공 076474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 II 3
전공 076475 음악 지식 재산권 3
전공 076566 음악 지식 재산권 II 3
전공 076567 한국 대중음악 이해 3
전공 076828 한국 대중음악 역사 3
전공 076829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 4 3
전공 076568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 3 3
  

 

교과목명(영문명) 교과목개요(한글) 교과목개요(영문)
뮤직비즈니스 현장의 이해 ( An understanding of the music business scene )

현대 음악산업은 과거에 비해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음악이 케이팝이라는 장르로 일부 아시아국가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2000년초로부터  20여년이 지난 현재 케이팝은 아시아를 넘어 팝의 본고장인 북미와 유럽등 글로벌시장에서 하나의 거대장르로 입지를 다져 전세계 음악시장으로 부터 주목을 받고있습니다. 이 강의는 뮤직비즈니스현장에서 펼쳐지는 다양하고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알아보며 최신 비즈니스동향과 트랜드를 자연스럽게 습득해보는 기회를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The modern music industry has seen explosive growth compared to the past. Since the early 2000s, when Korean music first began gaining attention in parts of Asia under the genre of K-pop, more than 20 years have passed. Today, K-pop has established itself as a major genre not only in Asia but also in global markets such as North America and Europe—traditionally the home of pop music—drawing significant attention from the global music industry.
This course offers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diverse and fascinating aspects of the music business and to naturally gain insight into the latest industry trends and developments.
현대사회와 대중음악 ( Modern society and pop music ) 본 교과목의 목적은 현대사회와 문화를 대표하는 대중음악을 몇 가지 핵심어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본 교과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진행될 것이다. 하나는 대중음악의 생산과 수용이고, 다른 하나는 대중음악과 사회, 주요 논점들이 그것이다. 대중음악의 생산과 수용에서는 산업, 기술, 수용자로 나누어서 각각의 공시적 통시적 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대중음악과 사회, 주요논점들 부문에서는 지리(공간, 장소), 세대, 정치 여성으로 나누어서 고찰할 것이다. 이를 통해, 몇 가지 핵심어를 통해 대중음악을 공시적인 방법과 통시적인 방법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대중음악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안목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course is to examine popular music—one of the key representations of contemporary society and culture—through a set of central keywords. The course will be divided into two main parts: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of popular music,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music and society, along with major issues. In the first part, we will explore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of popular music by looking at the industry, technology, and audience, considering both synchronic and diachronic perspectives. In the second part, we will discuss popular music in relation to society by focusing on topics such as geography (space and place), generation, politics, and gender. Through this approach, students will gain an understanding of popular music using both synchronic and diachronic methods, while also developing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subject.

아티스트를 위한 인문학기초 ( Basic humanities for Artist )

인문학이란 과연 무엇인가? 
그리고 왜 인문학이 최첨단 기술의 집약시대인  4차산업혁명시대에 더 중요하게 대두되고있는가.
국내외에서  존경받고  많은 사람들로 부터 선망의 대상이되는 사람들이 그들의 성공의 키워드로 왜 인문학을 강조하는가.
이 수업을 통해 여러가지 사례들을 알아보고 그 속에 숨겨져있는 인문학적 요소들을 찾아내어 연구하고 토론한다

What exactly is the humanities?
And why is it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a time defined by cutting-edge technology?
Why do respected and admired figures, both in Korea and around the world, often cite the humanities as a key to their success?
Through this course, we will explore various real-world cases, uncover the underlying humanistic elements within them, and engage in research and discussion around these findings.
예술인을 위한 경영학원론 ( The principle of management for Artists ) 최근 기존의 예술경영학과 다른 현실적인 비즈니스스킬이 예술인들에게 점차 요구되고 있다.  이에 예술인들이 꼭 알아야할 경영학원론을 기초로 기본적인 경영기법을 학습하여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적응하는 예술인으로서 사회에서 예술적 경영적 역량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Recently, artists are increasingly expected to possess practical business skills that go beyond the traditional scope of arts management. In response to this shift, this course introduces fundamental principles of business management that every artist should know. By learning basic management techniques, artists will be better equipped to adapt to the rapidly evolving landscap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pply both artistic and managerial competencies in society.
세계의 대중음악 I ( Popular Musics in World I ) 흔히 대중음악을 생각할 때 한국의 K-POP과 미국의 팝송만을 떠올리기 마련이다. 이 수업을 통해 국가와 장르, 가사, 내용을 모두 아우르는, 순수하고 본질적이게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 대중음악의 개념을 확장한다. 수많은 국가들에 존재하는 각각의 대중들이 사랑하는 음악을 살펴본다. When people think of popular music, they often focus only on Korean K-pop or American pop songs. This course aims to broaden that perspective by exploring the concept of popular music in a more inclusive and essential way—music created for and embraced by the public, regardless of country, genre, lyrics, or content. We will examine the music loved by different audiences across various nations and cultures.
세계의 대중음악 II ( Popular Musics in World II ) 팝(Pop)이라고 일컬어지는 미국을 포함한 영어권 나라들의 대중음악, 그리고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케이팝(K-pop, Korean Pop)의 고장 한국. 이 두 문화권의 대중음악에 대한 정보와 그것들을 접할 수 있는 기회는 정말 많다. 하지만 이 두 문화권을 제외한 수많은  나라들의 팝(Pop.)을 접할 기회는 흔치 않다. 다른 나라들의 대중음악-프랑스의 샹송, 아일랜드 등-을 살펴보며 두 문화권으로만 국한되어지는 대중음악이라는 개념의 확장을 목표로 한다.
앞선 세계의 대중음악 수업을 통해 미국, 라틴아메리카, 유럽의 대중음악을 심도있게 살펴보았다. 두 번째 세계의 대중음악 수업을 통해서 가장 근원적인 아프리카의 음악과 아시아의 음악들을 살펴본다.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including USA, they called their popular music as Pop. Also South Korea, the county in which we are living, we called our popular music as K-Pop(Korean Pop).Therefore we have a plenty of informations or opportunities to enjoy those kinds of mass culture of music. But how about the other countries? Do they NOT have their Pop? Their own mass culture of music? Only particular sides of mass culture we are oversupplied, but lack of the others. We aim to expend the concept Mass Culture of Music, from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South Korea to all over the world.
We studied about USA, Latin America, and Europes popular music during 1st semester. We will study about Africa and Asia in this semester.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including USA, they called their popular music as Pop. Also South Korea, the county in which we are living, we called our popular music as K-Pop(Korean Pop).Therefore we have a plenty of informations or opportunities to enjoy those kinds of mass culture of music. But how about the other countries? Do they NOT have their Pop? Their own mass culture of music? Only particular sides of mass culture we are oversupplied, but lack of the others. We aim to expend the concept Mass Culture of Music, from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South Korea to all over the world.
We studied about USA, Latin America, and Europes popular music during 1st semester. We will study about Africa and Asia in this semester.

대중음악 장르의 이해 ( Understanding Popular Music Genre with Billboard chart History ) 전세계 대중 음악계의 목표이자 가장 공신력을 인정 받는 음악 차트 빌보드. 대중음악의 척도이자 중심인 빌보드차트를 통해 1960년대부터 등장한 다양한 음악 장르를 듣고, 시대별 흐름을 파악하며 연구한다. 빌보드 차트에는 메인차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브 차트들이 있고 그것들을 통해 시대의 변화에 따라 빌보드가 어떻게 진화해 왔으며 변화를 만든 상징적 전환점을 짚어본다. 뒤이어 그러한 흐름들이 한국의 대중음악에 미치는 장르적 영향들을 찾아보고 이해할 수 있다. The one and only chart that is considered as the ultimate goal by global pop industry; Billboard Charts. Through Billboard Charts of 1960s, Students will navigate different genres of different time. In Billboard Charts, there are much more than the main charts and those sub-charts shows how the Billboard Chart evolved globally with the supply of diverse genres. Students sill get to see how pop music industry faced changes with symbolic turning points through Billboard Charts. Furthermore, students will understand how those changes affected Korean Pop genres and industry as a whole.
엔터테인먼트 마케팅 ( entertainment marketing ) 현대사회에서 엔터테인먼트란 용어는 비즈니스를 떠나 일상에서도 가장 친숙하고 널리 사용되는 개념일것입니다. 하지만 엔터테인먼트란 정확히 어떤개념인지에 대해서는 추상적이거나 매우 협의적인 개념만 인지하고있는것이 현실입니다. 엔터테인먼트의 정확한 개념 함께 여기에 마케팅이 함께 융합 되었을 때 엔터테인먼트 마케팅이라는 새로운 융복합 개념이 생기게 됩니다. 우리의 일상과 비즈니스현장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깊이있으면서 단순한 엔터테인먼트 마케팅의 정의를 알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In modern society, the term "entertainment" is one of the most familiar and widely used concepts—not only in business but also in everyday life. However, the reality is that most people understand it in either an abstract or overly narrow sense. This course aims to clarify the true meaning of entertainment and explore how, when combined with marketing, it evolves into the hybrid concept of entertainment marketing. Through various real-life and business-related case studies, we will take a deeper yet accessible look at what entertainment marketing truly means and how it functions in both daily life and the business world.

한국대중음악사개론 ( An Introduction to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 한국 대중음악 역사의 흐름을 통시적으로 이해하고 각 시기별 대중음악 갈래의 생성·변화·소멸에 따른 상호관련성을 시대사의 흐름과 연관시켜 이해한다. 
1) 한국 대중음악사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대중 음악사의 시대 구분과 갈래별 특징을 이해하여 역사 인식을 기른다.
2) 한국 대중음악의 생산자와 수용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시적으로 종합하여 대중음악사의 현재를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The aim of this class is to learn the trend of Korean popular music in a chronological manner and to understand interrelationship of generation, change, and extinction of popular music for each period in relation to the trend of the times.
1) In order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trend of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we develop historical awareness by understanding the division of popular music history into perio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of popular music history
2) We take a critical look at the present state of popular music history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charateristics of producers and audiences of Korean popular music and the chronological compilation of them
음악교육학총론 ( Introduction to Music Education ) 음악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풍요로운 삶의 방향을 규정짓고, 일상속에서 예술적 생활양식을 가꾸어 주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음악교육은 많은 시대적, 교육적, 사회적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작금의 음악교육은 음악의 잠재적 가능성을 극대화하고, 시대의 변화에 따른 음악적 가치관과 사회를 변화시키는 능동적인 역할을 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 음악교육은 수동적이고 제한적인 사고 영역안에서만 머물러서는 안되고 능동적이고 개방적인 사고 영역으로 확장하여야 한다. 본 수업에서는 음악교육에 헌신하려는 이들이 반드시 이해하고 알아야 할 음악교육학 이론과 다양한 교수방법론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Music serves as an important factor in defining the direction of human life's richness and cultivating an artistic lifestyle in everyday life. However, at present, music education in our country has many period, educational and social problems. Therefore, the current music education should play an active role in maximizing the potential possibilities of music and changing the musical values and society according to the specific eras. To do so, music education should not only stay within the passive and limited area of thinking, but should expand into the active and open area of thinking. In this class, we emphasize to music education in which will present music education theories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that must be understood.
대중음악 아티스트 연구 I ( Analyzing popular music artists )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들의 음악적 배경을 살펴보고, 이들의 작품을 분석해본다. 이들의 작품이 동시대의 그 어느 것보다도, 심지어는 현재까지도 뛰어날 수밖에 없는 이유를 다방면으로 연구해본다. The aim of the course is to analyze the works of the popular artists by understanding the musical backgrounds behind them and its era. Students will research on the factors and reasons of it being symbolic in different perspectives and approaches.
대중음악 아티스트 연구 II ( Analyzing popular music artists 2 ) 영미권 출신이 아님에도 불구,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영향력있는 아티스트들의 음악적 배경을 살펴보고, 이들의 작품을 분석해본다. 이들의 작품이 동시대의 그 어느 것보다도, 심지어는 현재까지도 뛰어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다방면으로 연구해본다. Studying and analyzing the musical background of the most influential artists in pop music history.
음악 저작권 I ( Music Copyright I ) 인터넷이 등장하고 디지털이 대표되는 기술이 도임되면서 예전에는 미처 예견하지 못했던 법적 쟁점이 발생하고 있다. 저작권도 그와 같은 법적 쟁점중 하나이다. 최근의 미니어 환경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하 여 음악이나 영화를 감상하거나 전자책을 읽기 위해 기본적으로 콘텐츠에 대한 복제가 수반되므로 자연 히 저작권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새로운 미디어 기기와 서비스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항상 창작자와 이 용자 사이에 갈등이 생기고 저작권 쟁점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 기기들은 저작 물의 창작과 이용에 크게 이바지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저작권 침해의 가능성을 높여주면서 저작권자 에게는 큰 위협이 되기도 한다.
본 수업에서는 저작권법이 과연 무엇을 보호하기 위한것인지, 근본적으로 보호의 대싱•은 무엇인지, 보호 받을 수있는 범위는 어디까지인지와 같이 본질적인 측면을 이해하기 위해서 저작권제도에 대한 이해와 습득이 선행되는 수업이다.
With the advent of the Internet and the introduction Of digital-represented technologies, legal issues are emerging that were previously unexpected. Copyright is one Of those legal issues. In recent media enuronments, copyright problems can occur naturally, since It basically involves cloning content to listen to music, movies, or read ebooks using the Internet. Whenever new media devices and service technologies emerge, conflicts between creators and users always anse and copyright issues become more complicated. 1lile new technologies, services and devices greatly contribute to the creation and use of the work, on the other hand, they pose a great threat to copyright holders while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copyright infringement.
In this class, understanding and learning Of copyright system is a prerequisite to understanding essential aspects such as what copyright law IS intended to protect, what is the fundamental Object Of protection,Id what is the extent to which it can be protected.
인문학속 대중음악 I ( Popular Music in the Humanities I ) 서양 고전 인문 작품(시,소설,희곡 등)속에 나오는 여러 주제들을 다양한 대중음악(유지걸, 영화음악,광고음악,서양음악 등)으로 재탄생한 곡들로 선정하여 음악감상과 배경지식을 설 명함으로 악곡분석 장면제시와 때에따라 원본 문학과 음악 스코어를 보면서 비교 감상시킨다 Various themes in Western classical humanities works (poems, novels, plays, etc.) are selected as songs reborn as ious popular TTlUSiC (musicals, film music, advertisement music, Western music, etc.), and music appreciation and background knowledge are explained. Comparing and appreclating while looking at the pesentation Of analysis scenes and the original I and music scores from time to time
서구권 아티스트의 이해 I ( Understanding of Western Artists ) 이 수업은 힙합, 팝, 트롯, 쿠바음약, 텍스멕스음악, 동남아음악. 중동음악 등 다양한 음악 장 로의 유명 아티스트들의 생애와 업적을 비롯하여 작품들을 살펴본다. 다양한 장르 스타일의 음악과 아티스트들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이해하며 아티스트로서의 예술적 영감, 사회적 현상 에 따른 문학예술반응, 아티스트로서의 주관적인 목표와 신념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is class includes hiphop, POP, trot, Cuban music, TexMex music, and Southeast Asian music. It examines the I jves and achievements Of famous artists in various music genres, including Middle Eastern IIUSiC, as well as their works. It aims to closely observe and understand music and artists Of various genres and styles, and learn artistic Inspiration as an artist, response to culture and art according to social phenomena, and subjective goals and bel iefs as an artist.
음악 저작권 II ( Music Copyright II ) 본 수업은 음악저작권1과목과 이어지는 수업으로써 음악저작권1에서 다루지 못했던 디지털 미디어 저작권과 관련된 내용을 주로 다룰 예정이다. This class is a class that follows the first subject of music copyright and will deal with the contents related to digital media copyright that was not covered in music copyright 1.
인문학 속 대중음악 II ( Popular Music in the Humanities II ) 서양 고전 인문 작품(시,소설,희곡 등)속에 나오는 여러 주제들을 다양한 대중음악(뮤지컬,영화음악,광고음악,서양음악 등)으로 재탄생한 곡들로 선정하여 음악감상과 배경지식을 설명함으로 악곡분석 장면제시와 때에따라 원본 문학과 음악 스코어를 보면서 비교 감상시킨다. Various themes in Western classical humanities works (poems, novels, plays, etc.) are selected as songs reborn as various popular music (musicals, film music, advertisement music, Western music, etc.), and music appreciation and background knowledge are explained. Comparing and appreciating while looking at the presentation of analysis scenes and the original literature and music scores from time to time.
서구권 아티스트의 이해와 감상 (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Western Artists ) 하나의 장르로 성립되기까지 많은 아티스들의 노력과 시간이 깃들어 있다. 장르안에서 활동하던 아티스트들의 작품과 작품을 만들기까지 아티스트의 인생사, 사회의 시대적 흐름을 살펴보고  1970년대와 1980년대의 가속화된 장르화를 통해 다시금 서로 크로스오버되는 장르음악 또 파생되는 음악의 정립을 통해 팝의 황금기를 살펴보고 현재 케이팝의 여자가수들이 강세를 보이는 것처럼 90년대에는 대형 여가수를 필두로 여성아티스트의 활약이 두드러 졌는데 이처럼 활발히  활동했던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감상하고 연구하는 수업이다. There are many artists' efforts and time to establish a genre. From the works of artists who were active in the genre to the creation of the work, the life history of the artist and the trend of the times in society are examined, and through the accelerated genreization, the works of artists who were active in the golden age of popular music, which crossover with each other again, are appreciated and analyzed.
The 1970s and 1980s cross over each other through accelerated genreization, and the 90s usher in the golden age of popular music.
The emphasis was prominent, and this kind of music flow is examined and analyzed.
대중음악 장르의 이해 II ( Understanding Popular Music Genre with Billboard Chart History II ) 지난 <대중음악 장르의 이해> 강의에서는 전세계 대중 음악계의 목표이자 가장 공신력을 인정받는, 대중음악의 척도인 빌보드차트를 통해 1960년대부터 등장한 다양한 음악 장르를 듣고, 시대별 흐름을 파악하며 연구했다. 빌보드 차트에는 메인차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브 차트들이 있고 그것들을 통해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음악 장르가 어떻게 진화해 왔으며 변화를 만든 상징적 전환점을 짚어 보았다. 
<대중음악 장르의 이해 2> 수업에서는 최근 빌보드를 장악했던 가장 사랑받고 대중적인 음악들의 장르는 무엇인지, 과거가 아닌 현재의 시점에서 새로운 장르들을 조명한다.
The one and only chart that is considered as the ultimate goal by global pop industry; Billboard Charts. Through Billboard Charts of 1960s, students navigated different genres of different time in the previous lecture <Understanding Popular Music Genre with Billboard Chart History>. In Billboard Charts, there are much more than the main charts and those sub-charts shows how the Billboard Chart evolved globally with the supply of diverse genres. Students got to see how pop music industry faced changes with symbolic turning points through Billboard Charts.
<Understanding Popular Music Genre with Billboard Chart History 2> will show you the newborn genres which has been loved and popular and also conquered the Billboard Chart.
엔터테인먼트 비지니스의 기초 ( study of entertainment business ) 엔터테인먼트분야의 확대로 인해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모델들이 속속 생겨나고있다.
NFT,IP와 같은 가상자산부터 음원 음반 콘서트와 같은 전통적인 비즈니스까지 다양한 미디어플랫폼들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어있다. 
이러한  비즈니스모델들로 인해 발생되는 새로운 가치들을 이해하여 급변하는 시장에 적응해본다.
Due to the expansion of the entertainment sector, new types of business models are emerging one after another.
New values have been created through convergence with various media platforms, from virtual assets such as NFTs and IPs to traditional businesses such as music record concerts. 
Understand the new values created by these business models and adapt to rapidly changing markets.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 ( digital sound technique I ) 본 강의의 목표는 학생들이 디지털 음향 기술과 음악 제작 분야에서 필요한 전문 지식을 습득하고, 레코딩 및 믹싱에 필요한 실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이전에 진행한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1이 언어학습에서의 철자의 기본 구성과 조합을 학습하는 것에 비유된다면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2에서는 단어를 만들고 문장을 구성하여, 수강생들이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대중에게 명확히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다루게 됩니다. 이 과정은 수강생이 실제 작업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전적인 기술과 창작물을 위한 원리와 방법을 배우게 합니다. 이는 작곡, 보컬, 기타, 사운드 엔지니어 등 어떤 전공이든 반드시 필요한 내용입니다.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 1이 주로 이론 중심이었다면,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 2에서는 음향 기술과 디지털 음악 제작의 실제 사례를 학습하고, 학생들이 직접 프로페셔널 수준의 음악 작업물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enable students to acquire the specialized knowledge required in the fields of digital sound technology and music production, and to enhance the practical skills needed for recording and mixing.
In the previous Digital Sound Techniques 1 course, we covered the basics of learn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Now, in Digital Sound Techniques 2, we will create words and construct sentences to help students clearly convey their messages to the audience. This course teaches practical techniques and principles for creating high-quality work, applicable to real-world scenarios. This knowledge is essential for students in all majors, including composition, vocals, guitar, and sound engineering.
While Digital Sound Techniques 1 was primarily theory-focused, Digital Sound Techniques 2 emphasizes learning sound technology and digital music production through real-life examples. The focus is on helping students develop the ability to produce professional-quality music projects independently.
한국 대중가요와 문화 ( Korean pop music and culture ) 193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대표적인 한국대중 가요작품을 선정하여 평가하면서 감상하고 시대적 상황과 음악적 분위기와 특징을 설명한다 한국 대중가요 음악의 순서로 쉬운 것부터 수준을 높여가며 악곡분석 장면제시와 때에 따라서 악보를 보면서 감상을 시킨다 Select representative Korean popular songs from the 1930s to the present, evaluate and appreciate them, and explain the historical situation, musical atmosphere, and characteristics. In the order of Korean popular songs, starting from easy to advanced, music analysis presents scenes and scores according to the time. Let's make an impression by looking at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 II ( Digital Sound Technic II ) 본 강의의 목표는 학생들이 디지털 음향 기술과 음악 제작 분야에서 필요한 전문 지식을 습득하고, 레코딩 및 믹싱에 필요한 실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이전에 진행한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1이 언어학습에서의 철자의 기본 구성과 조합을 학습하는 것에 비유된다면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2에서는 단어를 만들고 문장을 구성하여, 수강생들이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대중에게 명확히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다루게 됩니다. 이 과정은 수강생이 실제 작업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전적인 기술과 창작물을 위한 원리와 방법을 배우게 합니다. 이는 작곡, 보컬, 기타, 사운드 엔지니어 등 어떤 전공이든 반드시 필요한 내용입니다.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 1이 주로 이론 중심이었다면,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 2에서는 음향 기술과 디지털 음악 제작의 실제 사례를 학습하고, 학생들이 직접 프로페셔널 수준의 음악 작업물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enable students to acquire the specialized knowledge required in the fields of digital sound technology and music production, and to enhance the practical skills needed for recording and mixing.
In the previous Digital Sound Techniques 1 course, we covered the basics of learn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Now, in Digital Sound Techniques 2, we will create words and construct sentences to help students clearly convey their messages to the audience. This course teaches practical techniques and principles for creating high-quality work, applicable to real-world scenarios. This knowledge is essential for students in all majors, including composition, vocals, guitar, and sound engineering.
While Digital Sound Techniques 1 was primarily theory-focused, Digital Sound Techniques 2 emphasizes learning sound technology and digital music production through real-life examples. The focus is on helping students develop the ability to produce professional-quality music projects independently.
음악 지식 재산권 ( Music Copyrights ) 본 과목은 음악산업에 종사하는 이들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음악저작권과 지식재산권에 관련된 학문적 지식을 배우고 실제 사례 및 판례 등을 검토하여 저작권 전반에 걸친 올바른 인식을 배양하고자 한다. This course aims to cultivate correct awareness across copyrights by learning academic knowledge related to music copyright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at those in the music industry must know and reviewing actual cases and precedents.
음악 지식 재산권 II ( Music Copyrights II ) 인터넷이 등장하고 디지털이 대표되는 기술이 도입되면서 예전에는 미처 예견하지 못했던 법적 쟁점이 발생하고 있다. 저작권도 그와 같은 법적 쟁점중 하나이다. 최근의 미디어 환경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음악이나 영화를 감상하거나 전자책을 읽기 위해 기본적으로 콘텐츠에 대한 복제가 수반되므로 자연히 저작권문제가 발생할수 있다. 새로운 미디어 기기와 서비스기술이 등장할때마다 항상 창작자와 이용자 사이에 갈등이 생기고 저작권 쟁점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 기기들은 저작물의 창작과 이용에 크게 이바지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저작권 침해의 가능성을 높여주면서 저작권자에게는 큰 위협이 되기도 한다. With the advent of the Internet and the introduction of digital-represented technologies, legal issues are emerging that were previously unexpected. Copyright is one of those legal issues. In recent media environments, copyright problems can occur naturally, since it basically involves cloning content to listen to music, movies, or read e-books using the Internet. Whenever new media devices and service technologies emerge, conflicts between creators and users always arise and copyright issues become more complicated. While new technologies, services and devices greatly contribute to the creation and use of the work, on the other hand, they pose a great threat to copyright holders while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copyright infringement.
한국 대중음악 이해 ( Understanding Korean popular music ) 한국 사회의 변화와 함께 발전해온 『대중음악의 이해』. 대중음악을 둘러싼 역사적 맥락과 구조적 상황을 아우르는 입체적 시각을 키워주고 있다. 대중음악의 생산과 수용, 그리고 테크놀로지의 문제에 대해 다룬다. 공간, 세대, 정치, 그리고 성 등 대중음악을 둘러싼 다양한 사회적 논점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있다. 아울러 일제강점기에서 현재까지 한국 대중음악의 변화 과정에서 등장한 다양한 장르의 역사에 대해 논한다 Understanding popular music develops along with changes in Korean society. We are responsible for the mosaic that encompasses the understanding of popular music and its structural situation. Introduces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of popular music and the popularity of popular music. I am interested in various social issues that deal with popular music, including space, independence, politics, and gender. We discuss the history of various famous genres during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popular music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present
한국 대중음악 역사 ( Korean pop music history ) 한국 대중음악 하면 누구나 떠올리는 산업화된 한류, K-pop도 따지고 보면 100년이 넘은 역사의 산물이다. 아이폰이 핫(hot)하면 이를 탄생시킨 쿨(cool)한 스티브잡스의 전기가 궁금해지듯 이제는 열기가 정점에 달한 한국 대중음악에 대한 쿨한 역사가 궁금해질 때이다.싸이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가 유튜브에 올려져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고 페이스북같은 SNS로 기하급수적으로 퍼지면서 세계적인 화제가 되어 빌보드차트에 2위까지 오른 사실에 새로운 마케팅 기법을 분석하고 경제적 가치는 산출하면서도 그동안 돌아보지 않았던, 이러한 세계인과 공감대를 이루는 한류, 새로운 K-pop의 화려함을 낳은 한국 대중가요의 역사, 뿌리는 과연 어떤 것인지 궁금해 할 때가 된 것이다. 한국 역사의 큰 흐름과 대중음악의 큰 조류를 시대 구분을 하면서 순차적으로 서술하였고, 여기에 세부 주제를 정해 한국 대중음악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했다. 각 장이 끝나는 지점에서는 들을거리와 생각거리를 추가하여 들어야 할 한국 대중음악과 공부해야 할 내용을 짚어준다 Industrialized Korean Wave and K-pop, which everyone thinks of when they think of Korean pop music, are also products of more than 100 years of history. Just as the biography of the cool Steve Jobs, who gave birth to the iPhone when it is hot, now it is time to wonder about the cool history of Korean pop music, which has reached its peak.The fact that Psy's music video of "Gangnam Style" was posted on YouTube and received high views and spread exponentially to SNS such as Facebook, making it a global topic and reaching second place on the Billboard Chart is time to analyze new marketing techniques and wonder what the history and roots of Korean pop songs have been like, which have not been looked back on while calculating economic value.
The great flow of Korean history and the great trend of popular music were described sequentially by dividing the times, and detailed themes were set here so that the flow of Korean popular music could be grasped at a glance. At the end of each chapter, they add things to listen to and think about to point out Korean popular music and what to study.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 4 ( Digital Sound Technic 4 ) 본 과목은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 시리즈의 네 번째 단계로, 디지털 음악 제작의 핵심 기술을 심화하고, 실제 제작 환경과 유사한 구조 내에서 완성도 높은 음원 결과물을 구현하는 실습 중심의 수업입니다.
수강생들은 강사가 설계한 제작 기획에 따라 작곡, 편곡, 녹음, 믹싱, 마스터링의 주요 단계를 실전처럼 수행하며, 음악 프로덕션 전반에 걸친 기술적 이해와 실무 적용 능력을 체계적으로 향상시킵니다. 특히, 장르별 사운드 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실제 작업에 적용하면서, 보다 정교한 창작 감각과 응용 능력을 기르게 됩니다.
이 과정은 단순한 기술 습득을 넘어, 현장 지향적 제작 시스템 안에서의 역할 수행, 협업 기반의 실무 감각, 디렉션 이해 및 피드백 반영 능력 등 실제 음악 산업에서 요구되는 종합적인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합니다.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 4는 창작자의 정체성을 심화시키는 동시에, 후속 과정인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 5에서 보다 확장된 형태의 창작과 고급 기술 적용이 가능하도록 전문성과 완성도를 높이는 교두보 역할을 수행합니다.
This is the fourth course in the Digital Sound Technique series. It focuses on hands-on training in digital music production, helping students improve their skills in composition, arrangement, recording, mixing, and mastering.
Students work on instructor-planned projects that reflect real-world production settings. Through these tasks, they gain practical experience and learn how to apply sound design techniques for different genres.
The course also builds teamwork skills, helps students understand production roles, and teaches how to apply feedback to improve their work. It prepares students for Digital Sound Technique 5, where they will take on more advanced and creative production tasks.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 3 ( Digital Sound Technic 3 ) 본 강의는 현대음악산업의 디지털제작환경에서 학생들이 
디지털테크닉으로 음악, 음향제작에 필요한전문 지식을 습득하고, 
작곡과 편곡, 레코딩 및 믹싱에 필요한 실무 능력을 향상시켜 
최종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전에 진행한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1,2를 언어학습에서의 철자의 기본 구성과 조합, 단어를 이해하고 문장을 이해하여, 수강생들이 타인에게서 쓰여진 이야기를 받아적고 이해하는 과정으로 볼수 있었다면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3 에서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대중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의 첫 번째 스탭을 다루려 합니다.
이 과정은 수강생이 실제 작업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전적인 기술과 창작물을 위한 원리와 방법을 자세히 배우게 됩니다. 이는 작곡, 보컬, 기타, 사운드 엔지니어 등 어떤 전공이든 음원의 단독 작업또는 협업에서 반드시 필요한 내용입니다.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 2이 주로 이론과 실습의 5:5의 비율이었다면, 
디지털 사운드 테크닉 3에서는 음향 기술과 디지털 음악 제작의 실제 사례를 심화 학습하고, 학생들이 직접 프로페셔널 수준의 음악 작업물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This course aims to equip students in the digital production environment of todays music industry with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s essential for music and sound production using digital techniques. It focuses on developing practical abilities in composition, arrangement, recording, and mixing, ultimately leading to the creation of a polished final product.
While Digital Sound Technique 1 and 2 can be seen as a process of learning the fundamental elements of languageunderstanding the basic structure and combinations of letters, forming words, and grasping sentences to transcribe and interpret stories crafted by othersDigital Sound Technique 3 introduces students to the first step in conveying their own stories to a broader audience.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will gain a detailed understanding of practical skills, principles, and methods they can apply in real-world production scenarios, whether working independently or in collaborative projects. This content is essential across disciplines, including composition, vocals, guitar, and sound engineering, and is vital for both solo and collaborative sound production.
While Digital Sound Technique 2 maintained a balanced approach between theory and practice (50:50), Digital Sound Technique 3 emphasizes an in-depth exploration of real-world applications in sound technology and digital music production. The course focuses on empowering students to independently create professional-quality music projects.
  

 

준 비 중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