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eadcrumb

예술경영전공

현대의 예술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경영은 단순한 예술 행위의 유통과정이 아닌 관련 조직은 물론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필연적으로 수반한다.
따라서 과거와 같은 텍스트에 의존한 학습만으로는 예술 현장이 필요로 하는 경영인을 배출할 수가 없다고 하겠다.
따라서 우리 문화예술대학원의 ‘예술경영’은 현장 예술가들의 예술 행위에 대한 가치 제고는 물론 다양한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그 특수성을 배제한 채 획일화되고 있는 경영에 대한 인식 전환
그리고 실질적이고 구체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전략에 대한 새로운 학문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학문적 노력을 통해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패러다임을 선도적으로 이끌어갈 문화예술 전문 경영인을 양성함을 그 목표로 한다. 


문화예술정책론 / 문화예술론 / 문화예술 인적자원경영  / 21세기 문화기획 / 문화공간경영론 / 예술관객개발 / 문화예술 관련법 연구 / 지역문화 축제마케팅 / 예술경영컨설팅 / 예술소비자 행동분석 / 공연문화연구 / 문화예술재정론 / 현대예술론 / 문화예술 마케팅 /  문화예술 국제교류연구 / 문화예술관객개발 연구 / 문화예술정책론 / 예술경영

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전공 072567 예술경영컨설팅 3
전공 072729 문화예술관객개발연구 3
전공 072730 공연문화연구 3
전공 072731 문화예술의이해 3
전공 072937 문화예술홍보기획 3
전공 072993 축제연구실습 3
전공 073332 문화예술정책론 3
전공 073604 문화예술론 3
전공 073605 공연예술미학론 3
전공 073607 논문연구방법론 3
전공 073933 지역문화 축제 마케팅 3
전공 074299 문화철학 3
전공 074787 문화콘텐츠의이해 3
전공 074788 문화공간세미나 3
전공 075155 공연 분석과 이해 3
전공 076008 한류와문화예술콘텐츠세미나 3
전공 076168 프로그램 기획 3
전공 076405 사회문화와심리 3
전공 076481 문화예술교육의현장과실제 3
전공 076847 한류와문화경영 3
전공 076559 공연예술경영의실제 3
  

 

교과목명(영문명) 교과목개요(한글) 교과목개요(영문)
문화예술논문세미나 ( Semianr paper art ) 논문 세미나 이 수업은 석사 과정에서 논문을 어떻게 써야하는지를 방법론과 실제 논문 내용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를 논하는 수업이다. 논문이란 연구자가 오랜 탐구와 연구의 결과를 학문의 글로 정리하는 것으로 내용적인 면에서 학문적 깊이를 요구할 뿐 아니라 방법적인 면에서는 글의 전개를 논리적으로 전개해야 한다. 논문을 쓰고자 하는 연구자는 우선 논문의 주제와 내용을 정해야 하고 많은 자료와 객관적 사실적 팩트를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자신이 정한 내용과 주제를 어떻게 논리적으로 체계화하고 전개해 나갈 것인가를 방법론적으로 찾아야 한다. 이 수업은 논문의 주제와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공부하는 수업이다.  수업참여자들은 학기말에 논문 연구계획서(Research Proposal)를 완성해야 한다. This course is designed to help master's students understand how to write a thesis, focusing both on methodology and the structure of the actual content. A thesis is a scholarly work that presents the results of a researcher's in-depth study and investigation. It not only requires academic depth in terms of content, but also demands logical organization and clear development in terms of methodology.
Anyone planning to write a thesis must first determine their topic and content, gather a wide range of resources, and prepare objective, factual information. Then, they need to find a methodological approach to logically and systematically develop their topic and content.
This course provides guidance on choosing a thesis topic and learning how to write about it effectively. By the end of the semester, all participants are required to submit a completed research proposal.
공연예술연출론 ( performing Arts Performance Theory ) 공연연출의 미학에 관하여 수업한다. 
연출가들의 철학과 작업 스타일에 관한 연구가 주요 내용이다.
This course explores the aesthetics of theatrical direction. The main focus is on studying the philosophies and working styles of various directors.
상업공연의 제작과 운영 ( Management and Producing for Commercial Theatrical Productions ) 이 수업은 브로드웨이의 선진 공연제작 기술과 정보를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상업 공연을 제작하는 과정과 운영하는 방법을 배우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공연제작을 상업적인 측면에서 하나의 비즈니스로써 인식하고 실제적으로 공연 제작사 또는 프로덕션 회사의 설립이나 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사업의 시작, 운영, 종료까지 전 과정을 배우게 된다. 학생들은 개개인의 생각을 수업시간의 발표나, 토론, 그리고 과제를 통해서 다른 학생들과 공유하게 된다. The main goal of this course is to introduce and study the advanced procedures of the atre management and creative producing on Broadway. On the basis of it, students lear n how to produce and operate commercial theatrical productions in Korea. Students als o learn the 
entire process (start, operation, and termination) of a production as a commercial point of view. This can actually help establish or manage a production company in real life. T he knowledge of management and producing will be examined through presentations, c lassroom discussions and assignments.
공연예술법 ( Law & Theatre Seminar ) 예술의 여러 장르 중에서 특히 공연예술 분야를 대상으로 한 관련법(지식재산권)에 대한 공부를 시작으로, 본 강의에서는 한국과 브로드웨이의 실제 사례를 통해 관련 종사자들의 법적 권리와 의무, 이들이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법적 쟁점들을 중심으로 다룬다.. 본 강의는 다양한 사례와 판례를 중심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발제와 토론 등 수강생들의 적극적 참여를 요구한다. Among the various genres of art, this course focuses on performing arts and begins with a study of relevant laws, particularl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t examines the legal rights and obligations of professionals in the field, as well as various legal issues they may face, using real cases from Korea and Broadway. As the course is centered around a range of case studies and legal precedents, active participation from students—such as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is required.
공연예술재원조성 ( Performing arts Fundraising ) 공연예술이 점점 산업화 되어감에 따라 재원조성의 중요성 또한 부각되고 있다. 학생들은 여러 예술단체들의 재원조성 사례를 분석하여 해당 예술단체들과 재원공급자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자신이 직접 선택한 프로젝트의 재원조성을 계획하여 실전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 지식으로 만든다. As the performing arts become more and more industrialized, the importance of financing is also rapidly increasing. Students analyze the fundraising cases of various arts organization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s and the funders. They choose their own projects and make a funding plan for the projects. Therefore, students acquire practical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오페라개론 ( Introduction to opera ) 본 수업은 서양 오페라의 발전에 대한 상세한 분석과 연구를 진행하다. 오페라는 서양 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장르 중의 하나이다.이번 수업에서는 오페라의 개념과 의미와 특징, 시기별 대표작품을 설명하여 이번 학기의 주요 학습 내용으로 삼을 것입니다. his course has done a detailed analysis and research on history of Opera, Oper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enres in Western music.This course will explain the concept,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opera, as well as representative works of different periods, as the main learning content of the semester.
성악 & 뮤지컬 발성분석 I ( Vocal & Musical Vocalization Analysis ) 뮤지컬의 대중화로 뮤지컬 노래 즉 뮤지컬 발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 뮤지컬 발성에 대한 심도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 그리고 뮤지컬 노래의 원조라고 볼 수 있는 성악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하여 성악 발성과 뮤지컬 발성에 대해 분석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An in-depth approach to musical vocalization is needed at a time when the popularization of musicals has raised interest in musical songs, or musical vocalization. 
And we need to study vocal music, which is the origin of musical songs, so we can analyze vocal and musical vocalization.
It'll be a great opportunity.
성악교육학 ( Vocal pedagogy ) 성악교육학은 음악교육학의 하위학과로서 전방위적인 리론시야로 성악예술교육의 계통적인 구조와 법칙을 깊이있게 개괄하고 론술하였다.이 책은 모두 10장으로 나뉘여 학과의 성격과 종속성에 대한 자리확정분석이 있는가 하면중외 성악도 있고 교육의 역사적 발전, 성악 성악과 심미적인 특징, 성악 가르 교육의 구조와 형태, 성악 성악과 가르 시스템의 심미적 관계와 방향, 교육 내용의 거시 체계 및 그 교수 원칙과 방법, 성악 성악과 교육 교수 평가와 교사의 전반 적자 질 등을 전면적으로리 론과 스캔 종횡으로 시스템을 통일적으로 평가 한다.성악교육의 과학화 전망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있다.이 책은 관점이 참신하고 립론이 선명한 바 우리 나라 건국 이래 최초로 지침성을 지닌 성악교육리론저서이다.

As a sub-discipline of music pedagogy, the systematic structure and rules of vocal music art education are thoroughly summarized and discussed from a comprehensive theoretical perspective. The book consists of ten chapters, including the analysis of the nature of the subject and its subordination; And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inese and foreign vocal music education, vocal music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vocal music education and vocal music education, teaching structure and the form of vocal music teaching system and guide the relationship of beauty appreciation, the macroscopic system of the vocal music education content and teaching principles and methods, evaluation of the teaching of vocal music education and vocal music teachers' whole quality and so on to conduct a comprehensive theory of scanning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system as a whole are reviewed; The scientific outlook of vocal music education is analyzed objectively. The book is the first instructive theoretical work on vocal music education since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성악 & 뮤지컬 발성분석 II ( Vocal & Musical Vocalization Analysis II ) 뮤지컬의 대중화로 뮤지컬 노래 즉 뮤지컬 발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 뮤지컬 발성에 대한 심도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 그리고 뮤지컬 노래의 원조라고 볼 수 있는 성악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하여 성악 발성과 뮤지컬 발성에 대해 분석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An in-depth approach to musical vocalization is needed at a time when the popularization of musicals has raised interest in musical songs, or musical vocalization. 
And we need to study vocal music, which is the origin of musical songs, so we can analyze vocal and musical vocalization.
It'll be a great opportunity.
연극미학 연극은 미학적 관점에서 그 시대의 여러 학문의 결집체이다. 그 내용과 사상은 그 시대의 철학적 사고를 담고 있다. 많은 시대 문학자와 철학자들이 연극을 정의하며 연극 속에 담아야 할 우주와 삶의 본질을 이야기해 왔다. 연극/공연예술과 철학 이론들을 동시에 공부하면 연극/공연예술이 가져할 철학적 본질의 정체에 도달 할 것이다. <연극과 미학> 이 과목은 공연예술을 기능적 방법론이 아닌 예술의 본질을 철학 이론 연구와 함께 학문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과목이다.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theatre is an embodiment of various disciplines of its time. Its themes and ideas reflect the philosophical thinking of the era. Throughout history, many writers and philosophers have attempted to define theatre, exploring how it should express the essence of the universe and human life.
By studying both theatre/performance art and philosophical theories together,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essence that lies at the core of performance.
This course, Theatre and Aesthetics, approaches performance art not merely as a set of functional methodologies, but as an academic exploration of its artistic essence through the study of philosophical theory.
뮤지컬 가창 분석 I ( Musical Singing Analysis I ) 본 과목은 전문적인 방법으로 뮤지컬 노래를 실제로 부르기 위한 발성 및 호흡, 대사 전달을 배우게 된다.
그리고 다양한 뮤지컬 노래들을 대학원생들이 직접 분석, 이해함으로 
무대에서 뮤지컬 배우로 본인이 원하는 표현을 위해 노래와 발성을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is class, you will learn vocalization, breathing, and transmission of lines to actually sing musical songs in a professional way.
And through th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various musical songs,
As a musical actor on stage, to express what you want, you can sing and vocalize
It's for the purpose of learning.
신체극과 피지컬 I ( Body and physicality I ) 이 교과목은 연기의 신체적 접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시도로, 신체적 접근을 통해 신체연극적인 새로운 변화와 행동의 원리를 탐구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신체극과 피지컬이란 무엇인가? 에서는 신체극과 피지컬의 개념과 이론, 근원 그리고, 최근 흐름까지의 다양한 작업방식과 훈련방식의 새로운 변화를 알아보고, 신체를 통한 작업의 주요 원리를 이론적인 접근방식을 통해 소개하고 이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연습과 게임들을 통해 행동의 원리를 분석한다. 또한, 신체를 통해 실천적인 연기의 신체적 접근을 활성화시키는 목적을 시도를 함으로써, 공동의 신체언어를 형성하고 해방시키는데 효과적인 훈련방법을 터득하며, 실질적인 접근 방식을 통한 경험으로, 공연예술 작업 또는 작품의 아이디어를 향상시키고 예술적인 감수성을 발전시키는데 교과목의 의의를 둔다. This course aims to facilitate an understanding of physical expression and how the body can be used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and principles within physical theatre. What are the bodys modes of expression and physicality? We will examine the concepts, theories, origins, and innovative solutions informing various works and training methodologies, including the latest developments in body performance and physical theatre. The main principles employed when working with and through the body are introduced as part of a theoretical framework, as well as analyzed using games and exercises that make them manifes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n understanding of the bodys physicality and modes of engagement, students can learn to identify effective strategies to create meaning and communicate through a shared body language. In addition, by providing a key to the complexities of expression through the body, the course develops essential performance appreciation abilities and fosters artistic sensibility.
공연예술 세미나와 워크숍 I ( Seminar & Workshop on Performing Arts I ) 본 수업에서는 국내외 주요 뮤지컬, 연극, 퍼포먼스를 관람하고 세미나를 한다. 또한 워크숍으로서 공연제작실습을 병행한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공연예술의 본질과 주요 포인트들에 대한 통찰과 기술을 획득한다. In this class, the students conduct seminar about musical, theatre, and performance from Korea to other countries. Also in this class the students produce a show as workshop. Through these programs, the student get insight and skills about the essences and the main points of Performing Arts.
뮤지컬 오페라 스파르티토 ( Musical Opera Spartito ) 오페라나 뮤지컬 전체 오케스트레이션이 들어있는 악보는 흔히 스코어score 독일어로는 Klavierauszug 이탈리아에서는 Spartito 라고 부릅니다.국제적으로 많은 언어중에 이탈리아어가 음악적 용어로 소통이 되고 있어 Spartito라함은 오케스트라 총보로 소통이 됩니다. 뮤지컬 음악이나 오페라 음악에서 총보 오케스라의 분석은 필수적이며  공연에서의 음악을 보다 더 풍성하고 수준높고 예민하게 음악을 준비 할수있는 가장 기본적인 공부입니다. 오케스트라의 분석을 통해 싱어나 피아니스트들에게 보다 더 공연에 가까운 퀄리티의 연주준비를  할 수 있는 교과목입니다. A music score that shows the entire orchestration of an opera or musical is often referred to as a full score. In German, it's called Klavierauszug and Spartito in Italy. Among the many international languages, Italian is communicated in musical terms often so Spartito is communicated as the general referral of the orchestra score(full score). In musical or in opera , the analysis of full score study is essential and it is the most basic preparation to prepare music and to be thrived to reach in
뮤지컬 디렉팅 I ( Musical Directing for Composers ) 공연예술의 꽃인 뮤지컬에서 음악감독으로써 활동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과 현장에서 필요한 다양한 기술을 훈련하는 수업입니다. 이번 학기에는 최근에 공연중인 스티븐 손드하임의 “스위니토드”작품을 선정하여 작품의 대본을 읽으면서 드라마를 분석하고 음악적인 아이디어를 만들어나감과 동시에 어떻게 배우들을 캐스팅하고, 연습을 시키며, 편곡을 진행하고 오케스트라를 운용할 수 있는지, 음악감독이 하는 전반적인 역할들에 대한 공부를 진행합니다. This is a class that trains the basic knowledge required to act as a music director in musicals, the flower of the performing arts, and various skills required in the field. In this semester, Stephen Sondheim's Sweeney Todd work, which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is selected. And we will analyze script of the work, design musical ideas for the show, and discuss about how to cast actors, rehearsal process, and musical arrangements which are normally required to Musical director
스토리 창작워크숍 ( Story Creating Workshop ) 본 수업은 창의적 스토리 창작에 관한 워크숍을 진행한다. 학생들은 수업에서 제시하는 창작의 방법에 따라  스토리의 본질과 구성 기술에 관하여 연구하며 실제 창작을 한다. 자유롭고 과감한 실험을 추구한다. 실제 공연 제작이 아닌 아이디어 개발에 중점을 둔다. This class is about creating a story. The students study about the essence and compositional technique of creating a story. Free and bold approach need to be done. This class persuades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deas, instead of real performance.
뮤지컬 음악분석 I ( Musical Score Analysis I ) 이 과목은 뮤지컬을 이해하는데 가장 기초가 되는 음악의 여러 형식들과 그 사례들을 분석하면서 하나의 이야기가 어떻게 음악안에서 효과적으로 풀어나가지는지를 공부합니다. 초창기 뮤지컬 작품부터 최근의 작품까지 다양한 레파토리를 다룸으로써 여러 스타일의 뮤지컬 작품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하는것이 이번 수업의 목표입니다. This course studies how a story is effectively solved in music while analyzing the various forms of music that are the most basic for understanding musicals and their cases. The goal of this class is to have a broad understanding of musical works of various styles by dealing with various repertoires from early musical works to recent works.
신체극과 피지컬 2 ( Body and physicality II ) 이 교과목은 연기의 신체적 접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시도로, 몸을 주된 표현 매개체로 텍스트 화 하는 신체극의 새로운 변화와 행동의 원리를 탐구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신체극은 신체라는 무대의 장을 바탕으로 몸의 언어를 재생산하는 움직임과 동작의 신체적 표현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접근하여 신체를 통해 재생산된 언어의 작업과정을 분석하고 구체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신체 놀이의 게임들을 실질적으로 수행하여 신체의 행동 원리를 이해한다. 이러한 연습방법을 통해 실천적인 연기의 신체적 접근을 활성화시키는 목적을 시도를 함으로써, 공동의 신체언어를 형성하고 해방시키는데 효과적인 훈련방법을 터득하며, 실질적인 접근 방식을 통한 경험으로, 공연예술 작업 또는 작품의 아이디어를 향상시키고 예술적인 감수성을 발전시키는데 교과목의 의의를 둔다. This course aims to facilitate an understanding of physical expression and how the body can be used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and principles within physical theatre. What are the bodys modes of expression and physicality? We will examine the concepts, theories, origins, and innovative solutions informing various works and training methodologies, including the latest developments in body performance and physical theatre. The main principles employed when working with and through the body are introduced as part of a theoretical framework, as well as analyzed using games and exercises that make them manifes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n understanding of the bodys physicality and modes of engagement, students can learn to identify effective strategies to create meaning and communicate through a shared body language. In addition, by providing a key to the complexities of expression through the body, the course develops essential performance appreciation abilities and fosters artistic sensibility.
뮤지컬 가창 분석 II ( Musical Singing Analysis II ) 본 과목은 전문적인 방법으로 뮤지컬 노래를 실제로 부르기 위한 발성 및 호흡, 
대사 전달을 배우게 된다.그리고 다양한 뮤지컬 노래들을 대학원생들이 직접 분석, 이해함으로 무대에서 뮤지컬 배우로 본인이 원하는 표현을 위해 노래와 발성을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is class, you will learn vocalization, breathing, and transmission of lines to actually sing musical songs in a professional way. And through th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various musical songs, As a musical actor on stage, to express what you want, you can sing and vocalize. It's for the purpose of learning.
공연예술 마케팅 ( Performing Arts Marketing ) 기본적인 마케팅과 소비자 이론에 대해 공부하면서 공연예술을 만들어 가는 입장이 아닌 소비하는 입장을 이해한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 외 여러 가지 마케팅 사례를 분석하여 잠재고객을 개발하고 그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여러 관객의 needs를 파악하는 훈련을 한다. 최종적으로 특정 프로덕션을 선택해 자신만의 마케팅 전략을 만들어 발표한다. While studying basic concept of marketing and consumer theory, students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rather than that of creators in performing arts. Building on this foundation, they analyze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ing cases to cultivate potential customers and develop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m effectively, while identifying the needs of diverse audience members. Through this training, students ultimately select a specific production and create their own marketing strategy to present.
오페라 코치 I ( Opera Coaching ) 오페라 제작 과정에서 성악가와 피아니스트의 관계는 긴밀할 수밖에 없다. 성악가는 객관적으로 소리와 뉘앙스를 들어줄수 있는 것이 필요하며 피아니스트는 리허설시 오케스트라를 피아노로 연주하며 딕션 및 캐릭터를 잘 표현할수 있는 점을 코칭해 줄수 있어야 한다.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n oper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calist and the pianist must be close and collaborative. The vocalist needs someone who can objectively listen to their sound and nuances, while the pianist, during rehearsals, must be able to play the orchestral parts on the piano and provide coaching on diction and character expression.

논문 특강 세미나 논문 세미나 이 수업은 석사 과정에서 논문을 어떻게 써야하는지를 방법론과 실제 논문 내용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를 논하는 수업이다. 논문이란 연구자가 오랜 탐구와 연구의 결과를 학문의 글로 정리하는 것으로 내용적인 면에서 학문적 깊이를 요구할 뿐 아니라 방법적인 면에서는 글의 전개를 논리적으로 전개해야 한다. 논문을 쓰고자 하는 연구자는 우선 논문의 주제와 내용을 정해야 하고 많은 자료와 객관적 사실적 팩트를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자신이 정한 내용과 주제를 어떻게 논리적으로 체계화하고 전개해 나갈 것인가를 방법론적으로 찾아야 한다. 이 수업은 논문의 주제와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공부하는 수업이다.  수업참여자들은 학기말에 논문 연구계획서(Research Proposal)를 완성해야 한다.

This seminar on thesis writing is a course designed for graduate students to explore both the methodology and structure involved in writing a thesis. A thesis is the result of extensive inquiry and research, organized into an academic text. It not only requires intellectual depth in terms of content, but also demands logical coherence and structure in its methodological approach.

Students intending to write a thesis must first determine their topic and content, and gather a substantial amount of material and objective factual data. They must then identify a methodological framework to logically and systematically develop and present their chosen subject matter.

This course focuses on how to select a thesis topic and how to approach the writing process. By the end of the semester, all participants are expected to complete a research proposal outlining their thesis project.

연기예술 I ( art of Acting ) 본 수업에서는 연기에 관한 다양한 아이디어들, 접근방법들 그리고 기초 훈련들에 대해 다룬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연기에 관한 다양한 기초 지식과 창의력 및 통찰을 터득한다. This class deals with diverse ideas, methods, and basic training about acting. The students obtain diverse basic knowledge, creativity, insight into the art of acting.
뮤지컬 발성 테크닉 I ( Musical Vocalization Technique I ) 본 과목은 전문적인 방법으로 뮤지컬 노래를 실제로 부르기 위한 발성테크닉과
다양한 뮤지컬 넘버들을 학생이 직접 분석, 이해함으로
무대에서 뮤지컬 배우가 되기 위한 노래와 발성을 배우는 것을 기초로 한다.
This course is a professional course To actually sing a musical song
Vocal Technique Department A lot of musical numbers with direct analysis, understanding To become a musical actor on stage
Based on learning singing and vocalization do.
오페라 코치 II ( Opera Coaching 2 ) 오페라 제작 과정에서 성악가와 피아니스트의 관계는 긴밀할 수밖에 없다. 성악가는 객관적으로 소리와 뉘앙스를 들어줄수 있는 것이 필요하며 피아니스트는 리허설시 오케스트라를 피아노로 연주하며 딕션 및 캐릭터를 잘 표현할수 있는 점을 코칭해 줄수 있어야 한다.많은 레퍼토어로 성악가와  피아니스트의 협력을 실습해 보는 교과목이다.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n opera, the relationship between a vocalist and a pianist is bound to be close. Vocalists need to be able to objectively listen to sounds and nuances, and pianists should be able to play the orchestra on the piano during rehearsals and coach them on how to express diction and characters well.It is a subject that practices the cooperation of vocalists and pianists in many repertoire languages.
서양연극사 ( History of Western Drama ) 이 연극사 강의는 공연예술 중에서 언어와 표현적 행위를 중심으로 하는 연극의 예술의 역사를 배우는 수업이다. 단지 시간의 연속의 의미와 사건의 기록을 공부하는 수업이 아니라, 각 시대의 철학과 연극미학을 언어와 몸으로 표현한 연극 예술가들의 철학과 개인에 영향을 끼친 시대적 환경과의 관련성을 공부할 것이다. 수업은 각 시대의 철학과 종교, 그리고 미학적이고 학문적 공연 이론, 각 시대의 극작가, 배우, 연출, 무대 디자인너, 그리고 공연비평가들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룰 것이다.

This Theatre History course focuses on the history of theatre as an art form within the performing arts, particularly emphasizing language and expressive physical action. It is not merely a chronological study of events or a record of historical occurrences. Rather, the course explores how the philosophies and theatrical aesthetics of each era were embodied through language and physical performance by theatre artists, and how these expressions were shaped by the socio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of their time.The course will delve deeply into the philosophies, religions, and aesthetic or scholarly performance theories of each period, as well as the works and contributions of playwrights, actors, directors, stage designers, and theatre critics throughout history.

성악언어학 ( Vocal linguistics ) 본 과정은 성악 언어학의 필수 과목으로 성악 언어 예술의 체계와 규율을 해설하였습니다.
 이 과정에는 중국과 외국의 성악 언어의 역사적 발전, 성악 및 성악 언어의 미적 특성, 성악 언어 내용 시스템 및 방법이 포함되어 있으며 성악 언어의 과학화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이 수행되었습니다.
This course is a required course in vocal music linguistics, which explains the system and discipline of vocal language art.
This course includ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vocal music language in China and foreign countries,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vocal music and vocal music language content system and methods, and an objective analysis of the scientification of vocal music language has been conducted.
뮤지컬 역사 I ( Musical History I ) 뮤지컬은 오랜 세월동안 민감한 대중을 중심으로 유연하게 발전을 거듭해 왔고, 현재 공연예술 장르 중에 가장 주목할 만한 분야가 되었다. 대중들이 뮤지컬을 좋아하게 된 것은 아마도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그 역사에 이유가 있을텐데 150년 넘는 역사를 간략하게 살펴봄으로써 우리가 접하는 작품들과 시장에 대한 이해를 입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Musicals have developed flexibly over the years, with a focus on sensitive audiences, and are now one of the most remarkable performing arts genres. The reason why the public has come to like musicals is probably because of their history of not being afraid of change, and by briefly examining the history of more than 150 years, we can approach the works we encounter and the market in a three-dimensional way.
뮤지컬 발성 테크닉 II ( Musical Vocal Technique II ) 본 과목은 전문적인 방법으로 뮤지컬 노래를 실제로 부르기 위한 발성 및 호흡, 
대사 전달을 배우게 된다.
또한 다양한 뮤지컬 노래들을 대학원생들이 직접 분석, 이해함으로 
무대에서 뮤지컬 배우로써 본인이 원하는 표현을 위해 노래와 발성을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subject teaches musical singing in a professional manner.
To actually sing, vocalize, and deliver lines. You will learn techniques
also
Graduate students sang various musical songs. On stage by directly analyzing and understanding
Each person's interpretation as a musical actor. 
Expressing yourself by singing songs. The purpose is to explain this subjec
연기예술 II ( Art of Acting II ) 이 과목은 장면연기에 관하여 수업한다. 학생들이 장면을 연기하기 위해 어떻게 작품을 분석하고 실행하는 지에 관하여 수업한다. 이 수업에서는 서양 고전 작품 1개와 한국 유명 희곡 1개를 다룬다. This class is about acting for scene. This class focuses on the analysis and performance of plays as an actor. A Western classic play and a Korean famous play will be worked.
공연예술종합실천 ( Comprehensive performing arts practice ) 과목 <공연예술종합실천>은 학생들이 동서양 음악 (오페라) 비교연구를 통해 작품을 분석하고 종합적으로 실천에 실행하는것에 관하여 수업을 전개한다. 이수업은 이론교육과 비교연구를 통해 1개의 공연작품을 완성하도록 한다. The subject <Comprehensive Performance Arts Practice> develops classes on students' analysis of work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Eastern and Western music (opera) and comprehensively implemented them. In this class, one performance work is completed through theoretical education and comparative research.
뮤지컬 역사 II ( Musical History II ) 공연예술의 꽃인 미국과 영국의 뮤지컬의 역사를 다루는 수업으로 2학기에는 격변의 시기를 지난 1990년대 초부터 2024년 현재의 브로드웨이의 움직임까지, 더 나아가 한국 뮤지컬 시장의 현주소까지 다루어보면서 우리가 창작자로써 배우로써, 또 공연관련 스태프로써 어떠한 시각으로 각각의 작품과 산업을 바라보아야 할지 인사이트를 배워봅니다. This class deals with the history of musicals in the U.S. and the U.K., the flower of the performing arts. In the second semester, we will learn insights on how we should look at each work and industry as creators, actors, and performance-related staff by covering the period of upheaval from the early 1990s to the current Broadway movement in 2024.
극장경영 수업은 극장의 전반적인 운영과 관리에 대해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연예술산업의 메카브로드웨이의 역사적 배경부터 현대 극장 경영의 실무까지 포괄적으로 다루며, 극장 경영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과 실무를 다룬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극장의 재정 관리, 마케팅 전략,프로그램 기획 등 다양한 경영적 측면을 학습하게 된다. The course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aters. It covers everything from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Broadway, the epicenter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to the practical aspects of modern theater management. The course focuses on equipping students with essential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required for theater management, including financial management, marketing strategies, and program planning.
오페라실습 I ( Opera Rehearsal I ) 오페라 나 뮤지컬 전체 오케스트레이션이 들어있는 악보는 흔히 스코어score 독일어로는 Klavierauszug 이탈리아에서는 Spartito 라고 부릅니다.국제적으로 많은 언어중에 이탈리아어가 음악적 용어로 소통이 되고 있어 Spartito라함은 오케스트라 총보로 소통이 됩니다. 뮤지컬 음악이나 오페라 음악에서 총보 오케스라의 분석은 필수적이며  공연에서의 음악을 보다 더 풍성하고 수준높고 예민하게 음악을 준비 할수있는 가장 기본적인 공부입니다. 오케스트라의 분석을 통해 싱어나 피아니스트들에게 보다 더 공연에 가까운 퀄리티의 연주준비를  할 수 있는 교과목입니다. The score that contains the entire orchestration of an opera or musical is commonly called a score, in German it is called Klavierauszug, and in Italian it is called Spartito. Since Italian is one of the many languages used internationally as a musical term, Spartito is communicated as an orchestral score. Analysis of the orchestral score in musical or opera music is essential and is the most basic study to prepare music for a performance more richly, at a higher level, and with greater sensitivity. This is a subject that allows singers and pianists to prepare for a performance with a quality closer to a performance through orchestra analysis.
발레 I ( BALLET ) 뮤지컬 과목에 필수 조건인 발레 수업 
배우의 기본자세,배우의 테크니컬 움직임,무대에서의 테크닉등
러시아 바가노바 베소드를 기본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a ballet class that is a prerequisite for musical subjects
The actor's basic posture, the actor's technical movement, the technique on stage, etcLectures based on the Russian Baganova Besod
브로드웨이역사 ( History of Broadway ) 뉴욕 브로드웨이는 전 세계에서 모인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예술가들이 활약하며,
상업성과 예술성, 전통과 혁신이 역동적으로 교차하는 세계 공연예술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해 왔다. 본 강의는 브로드웨이의 역사적 흐름을 연대기적으로 조망함으로써, 브로드웨이라는 문화적 공동체의 정체성과 진화를 탐색한다. 
각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 예술가, 산업적 변화, 그리고 사회적 맥락을 함께 분석하며, 브로드웨이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탐구한다. 이를 통해 수강생들은 단지 뮤지컬이나 연극 작품에 대한 이해를 넘어, 공연예술과 도시, 예술과 정체성, 대중성과 예술성 사이의 관계에 대한 폭넓은 통찰을 갖추게 된다.
Broadway in New York has become a global hub of performing arts, where artists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come together, and where commercial success and artistic ambition, tradition and innovation intersect in dynamic ways.
This course offers a chronological exploration of Broadway's historical development, focusing on how it has evolved as a cultural community and artistic institution.
Students will examine representative productions, influential artists, major industry changes, and the broader social contexts that shaped each era, in order to understand how Broadway has transformed over time.
By doing so, the course aims to foster a deeper understanding not only of musical and theatrical works, but also of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performance and the city, art and identity, and popular culture and artistic expression.
뮤지컬 연기 I ( Musical Acting I ) 본 수업에서는 뮤지컬에서의 독백과 아리아 연기에 대해 다룬다. 학생들은 배우의 관점에서 뮤지컬 작품의 분석, 이해, 그리고 극화에 대해 학습한다. This class deals with monologues and arias in the musical works. The students will study about analyzing, understanding, and dramatizing musical works from the actors point.
뮤지컬 성악 노래의 표현과 해석 I ( Expression and Interpretation in Musical theatre and Classical Vocal Performance I ) 이 과목은 뮤지컬과 성악(클래식 보컬)의 보컬 기법, 표현 방식, 해석 방법의 차이와 공통점을 비교·분석하여, 두 장르 모두에서 음악적·연기적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학생들은 각 장르에서 요구되는 발성법, 딕션, 감정 표현, 무대 표현 등을 실습을 통해 익히며, 다양한 레퍼토리를 통해 실제 적용 능력을 기르게 됩니다.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무대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 역량과 예술적 감각을 갖춘 보컬리스트 양성을 지향합니다. This course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vocal techniques, expressive methods, and interpretative approaches in musical theatre and classical vocal (opera) performance. The goal is to enhance students musical and dramatic expressiveness in both genres.
Through practical exercises, students will learn genre-specific vocal production, diction, emotional expression, and stage performance techniques. They will also develop the ability to apply these skills through a variety of repertoire selections.
오페라 실습 II ( Opera Practice II ) 오페라 제작 과정에서 성악가와 피아니스트의 관계는 긴밀할 수밖에 없다. 성악가는 객관적으로 소리와 뉘앙스를 들어줄수 있는 것이 필요하며 피아니스트는 리허설시 오케스트라를 피아노로 연주하며 딕션 및 캐릭터를 잘 표현할수 있는 점을 코칭해 줄수 있어야 한다.많은 레퍼토어로 성악가와  피아니스트의 협력을 실습해 보는 교과목이다.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n opera, the relationship between a vocalist and a pianist is bound to be close. Vocalists need to be able to objectively listen to sounds and nuances, and pianists should be able to play the orchestra on the piano during rehearsals and coach them on how to express diction and characters well.It is a subject that practices the cooperation of vocalists and pianists in many repertoire languages.
중급 발레 I ( an intermediate ballet ) 본 교과목은 발레의 직관적인 신체표현을 통해 창작의 안목과 구상력을 확장시키기 위한 중급발레를 실습을 한다. 기본적으로 바 센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바(bar) 대해 학습하고, 유연성과 순발력에 대한 센터(center)훈련을 하며, 발레음악에 대한 분절적 리듬분석 트레이닝을 통해 무대에서의 필요한 몸 움직임과의 교감을 이끌어낸다 This course practices intermediate ballet to expand the perspective and imagination of creation through intuitive body expression of ballet. Basically, to help you understand the bar center, you learn about the bar, conduct center training on flexibility and quickness, and draw communication with the body movements required on stage through segmental rhythm analysis training on ballet music
  

 

예술치료전공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예술치료전공은 예술치료전문가를 양성하는 데에 목표를 두고 있다.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현대인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심리치료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또한 현장에서 적용된 치료사례를 통해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예술치료 접근방법을 연구하며, 더불어 전문자격을 취득하는 데에 연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예술치료전문가로서의 자질 함양은 물론, 치료대상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예술치료를 실행해 개인적 성장과 정신의 건강을 돕는 활동을 이끌어나가는 것을 지향한다.


예술치료개론 / 예술 감성교육 / 정신의학과 예술치료 / 상담이론과 실제 /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 미술심리 진단 평가 / 장애아동 발달과 재활미술치료 / 아동 및 청소년 미술치료 / 성인 및 노인미술치료 / 가족미술치료 / 스포츠 심리와 미술치료 / 모래 놀이치료의 이론과 실제 / 임상실습 및 슈퍼비젼 / 색채심리학 /  아동음악치료 / 노인음악치료 / 음악재활기술 / 음악치료세미나 / 음악치료 임상 실습 / 드라마 치료 / 무용치료의 이론과 실제 / 연극치료 슈퍼비젼 / 사이코 드라마 및 대안 연극 / 문학(독서)치료 / 영화 속의 심리학

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전공 075157 예술치료개론 3
전공 075158 아동음악치료 3
전공 075991 예술재활치료 세미나 3
전공 075992 음악치료 인턴쉽 3
전공 075993 미술매체연구 및 실습 3
전공 075994 디지털그래픽아트 기획과 제작 3
전공 076186 음악재활사례연구(음악치료사례연구) 3
전공 076192 예술치료 사례연구 방법론 3
전공 076193 이상심리학 3
전공 076194 무용동작치료 이해와 적용 3
전공 076394 예술철학을통한심리이해 3
전공 076395 아동·청소년 예술치료 3
전공 076396 정신병리와예술치료 3
전공 076469 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3
전공 076470 미술심리치료의이해와실제 3
전공 076809 예술감성교육 3
전공 076810 미술치료연구방법 3
전공 076811 힐링커뮤니티댄스의치료적접근 3
전공 076840 장애아동미술재활 3
전공 076841 상담이론과실제 3
  

 

교과목명(영문명) 교과목개요(한글) 교과목개요(영문)
문화예술논문세미나 ( Semianr paper art ) 논문 세미나 이 수업은 석사 과정에서 논문을 어떻게 써야하는지를 방법론과 실제 논문 내용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를 논하는 수업이다. 논문이란 연구자가 오랜 탐구와 연구의 결과를 학문의 글로 정리하는 것으로 내용적인 면에서 학문적 깊이를 요구할 뿐 아니라 방법적인 면에서는 글의 전개를 논리적으로 전개해야 한다. 논문을 쓰고자 하는 연구자는 우선 논문의 주제와 내용을 정해야 하고 많은 자료와 객관적 사실적 팩트를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자신이 정한 내용과 주제를 어떻게 논리적으로 체계화하고 전개해 나갈 것인가를 방법론적으로 찾아야 한다. 이 수업은 논문의 주제와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공부하는 수업이다.  수업참여자들은 학기말에 논문 연구계획서(Research Proposal)를 완성해야 한다. This course is designed to help master's students understand how to write a thesis, focusing both on methodology and the structure of the actual content. A thesis is a scholarly work that presents the results of a researcher's in-depth study and investigation. It not only requires academic depth in terms of content, but also demands logical organization and clear development in terms of methodology.
Anyone planning to write a thesis must first determine their topic and content, gather a wide range of resources, and prepare objective, factual information. Then, they need to find a methodological approach to logically and systematically develop their topic and content.
This course provides guidance on choosing a thesis topic and learning how to write about it effectively. By the end of the semester, all participants are required to submit a completed research proposal.
공연예술연출론 ( performing Arts Performance Theory ) 공연연출의 미학에 관하여 수업한다. 
연출가들의 철학과 작업 스타일에 관한 연구가 주요 내용이다.
This course explores the aesthetics of theatrical direction. The main focus is on studying the philosophies and working styles of various directors.
상업공연의 제작과 운영 ( Management and Producing for Commercial Theatrical Productions ) 이 수업은 브로드웨이의 선진 공연제작 기술과 정보를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상업 공연을 제작하는 과정과 운영하는 방법을 배우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공연제작을 상업적인 측면에서 하나의 비즈니스로써 인식하고 실제적으로 공연 제작사 또는 프로덕션 회사의 설립이나 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사업의 시작, 운영, 종료까지 전 과정을 배우게 된다. 학생들은 개개인의 생각을 수업시간의 발표나, 토론, 그리고 과제를 통해서 다른 학생들과 공유하게 된다. The main goal of this course is to introduce and study the advanced procedures of the atre management and creative producing on Broadway. On the basis of it, students lear n how to produce and operate commercial theatrical productions in Korea. Students als o learn the 
entire process (start, operation, and termination) of a production as a commercial point of view. This can actually help establish or manage a production company in real life. T he knowledge of management and producing will be examined through presentations, c lassroom discussions and assignments.
공연예술법 ( Law & Theatre Seminar ) 예술의 여러 장르 중에서 특히 공연예술 분야를 대상으로 한 관련법(지식재산권)에 대한 공부를 시작으로, 본 강의에서는 한국과 브로드웨이의 실제 사례를 통해 관련 종사자들의 법적 권리와 의무, 이들이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법적 쟁점들을 중심으로 다룬다.. 본 강의는 다양한 사례와 판례를 중심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발제와 토론 등 수강생들의 적극적 참여를 요구한다. Among the various genres of art, this course focuses on performing arts and begins with a study of relevant laws, particularl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t examines the legal rights and obligations of professionals in the field, as well as various legal issues they may face, using real cases from Korea and Broadway. As the course is centered around a range of case studies and legal precedents, active participation from students—such as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is required.
공연예술재원조성 ( Performing arts Fundraising ) 공연예술이 점점 산업화 되어감에 따라 재원조성의 중요성 또한 부각되고 있다. 학생들은 여러 예술단체들의 재원조성 사례를 분석하여 해당 예술단체들과 재원공급자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자신이 직접 선택한 프로젝트의 재원조성을 계획하여 실전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 지식으로 만든다. As the performing arts become more and more industrialized, the importance of financing is also rapidly increasing. Students analyze the fundraising cases of various arts organization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s and the funders. They choose their own projects and make a funding plan for the projects. Therefore, students acquire practical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오페라개론 ( Introduction to opera ) 본 수업은 서양 오페라의 발전에 대한 상세한 분석과 연구를 진행하다. 오페라는 서양 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장르 중의 하나이다.이번 수업에서는 오페라의 개념과 의미와 특징, 시기별 대표작품을 설명하여 이번 학기의 주요 학습 내용으로 삼을 것입니다. his course has done a detailed analysis and research on history of Opera, Oper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enres in Western music.This course will explain the concept,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opera, as well as representative works of different periods, as the main learning content of the semester.
성악 & 뮤지컬 발성분석 I ( Vocal & Musical Vocalization Analysis ) 뮤지컬의 대중화로 뮤지컬 노래 즉 뮤지컬 발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 뮤지컬 발성에 대한 심도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 그리고 뮤지컬 노래의 원조라고 볼 수 있는 성악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하여 성악 발성과 뮤지컬 발성에 대해 분석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An in-depth approach to musical vocalization is needed at a time when the popularization of musicals has raised interest in musical songs, or musical vocalization. 
And we need to study vocal music, which is the origin of musical songs, so we can analyze vocal and musical vocalization.
It'll be a great opportunity.
성악교육학 ( Vocal pedagogy ) 성악교육학은 음악교육학의 하위학과로서 전방위적인 리론시야로 성악예술교육의 계통적인 구조와 법칙을 깊이있게 개괄하고 론술하였다.이 책은 모두 10장으로 나뉘여 학과의 성격과 종속성에 대한 자리확정분석이 있는가 하면중외 성악도 있고 교육의 역사적 발전, 성악 성악과 심미적인 특징, 성악 가르 교육의 구조와 형태, 성악 성악과 가르 시스템의 심미적 관계와 방향, 교육 내용의 거시 체계 및 그 교수 원칙과 방법, 성악 성악과 교육 교수 평가와 교사의 전반 적자 질 등을 전면적으로리 론과 스캔 종횡으로 시스템을 통일적으로 평가 한다.성악교육의 과학화 전망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있다.이 책은 관점이 참신하고 립론이 선명한 바 우리 나라 건국 이래 최초로 지침성을 지닌 성악교육리론저서이다.

As a sub-discipline of music pedagogy, the systematic structure and rules of vocal music art education are thoroughly summarized and discussed from a comprehensive theoretical perspective. The book consists of ten chapters, including the analysis of the nature of the subject and its subordination; And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inese and foreign vocal music education, vocal music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vocal music education and vocal music education, teaching structure and the form of vocal music teaching system and guide the relationship of beauty appreciation, the macroscopic system of the vocal music education content and teaching principles and methods, evaluation of the teaching of vocal music education and vocal music teachers' whole quality and so on to conduct a comprehensive theory of scanning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system as a whole are reviewed; The scientific outlook of vocal music education is analyzed objectively. The book is the first instructive theoretical work on vocal music education since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성악 & 뮤지컬 발성분석 II ( Vocal & Musical Vocalization Analysis II ) 뮤지컬의 대중화로 뮤지컬 노래 즉 뮤지컬 발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 뮤지컬 발성에 대한 심도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 그리고 뮤지컬 노래의 원조라고 볼 수 있는 성악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하여 성악 발성과 뮤지컬 발성에 대해 분석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An in-depth approach to musical vocalization is needed at a time when the popularization of musicals has raised interest in musical songs, or musical vocalization. 
And we need to study vocal music, which is the origin of musical songs, so we can analyze vocal and musical vocalization.
It'll be a great opportunity.
연극미학 연극은 미학적 관점에서 그 시대의 여러 학문의 결집체이다. 그 내용과 사상은 그 시대의 철학적 사고를 담고 있다. 많은 시대 문학자와 철학자들이 연극을 정의하며 연극 속에 담아야 할 우주와 삶의 본질을 이야기해 왔다. 연극/공연예술과 철학 이론들을 동시에 공부하면 연극/공연예술이 가져할 철학적 본질의 정체에 도달 할 것이다. <연극과 미학> 이 과목은 공연예술을 기능적 방법론이 아닌 예술의 본질을 철학 이론 연구와 함께 학문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과목이다.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theatre is an embodiment of various disciplines of its time. Its themes and ideas reflect the philosophical thinking of the era. Throughout history, many writers and philosophers have attempted to define theatre, exploring how it should express the essence of the universe and human life.
By studying both theatre/performance art and philosophical theories together,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essence that lies at the core of performance.
This course, Theatre and Aesthetics, approaches performance art not merely as a set of functional methodologies, but as an academic exploration of its artistic essence through the study of philosophical theory.
뮤지컬 가창 분석 I ( Musical Singing Analysis I ) 본 과목은 전문적인 방법으로 뮤지컬 노래를 실제로 부르기 위한 발성 및 호흡, 대사 전달을 배우게 된다.
그리고 다양한 뮤지컬 노래들을 대학원생들이 직접 분석, 이해함으로 
무대에서 뮤지컬 배우로 본인이 원하는 표현을 위해 노래와 발성을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is class, you will learn vocalization, breathing, and transmission of lines to actually sing musical songs in a professional way.
And through th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various musical songs,
As a musical actor on stage, to express what you want, you can sing and vocalize
It's for the purpose of learning.
신체극과 피지컬 I ( Body and physicality I ) 이 교과목은 연기의 신체적 접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시도로, 신체적 접근을 통해 신체연극적인 새로운 변화와 행동의 원리를 탐구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신체극과 피지컬이란 무엇인가? 에서는 신체극과 피지컬의 개념과 이론, 근원 그리고, 최근 흐름까지의 다양한 작업방식과 훈련방식의 새로운 변화를 알아보고, 신체를 통한 작업의 주요 원리를 이론적인 접근방식을 통해 소개하고 이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연습과 게임들을 통해 행동의 원리를 분석한다. 또한, 신체를 통해 실천적인 연기의 신체적 접근을 활성화시키는 목적을 시도를 함으로써, 공동의 신체언어를 형성하고 해방시키는데 효과적인 훈련방법을 터득하며, 실질적인 접근 방식을 통한 경험으로, 공연예술 작업 또는 작품의 아이디어를 향상시키고 예술적인 감수성을 발전시키는데 교과목의 의의를 둔다. This course aims to facilitate an understanding of physical expression and how the body can be used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and principles within physical theatre. What are the bodys modes of expression and physicality? We will examine the concepts, theories, origins, and innovative solutions informing various works and training methodologies, including the latest developments in body performance and physical theatre. The main principles employed when working with and through the body are introduced as part of a theoretical framework, as well as analyzed using games and exercises that make them manifes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n understanding of the bodys physicality and modes of engagement, students can learn to identify effective strategies to create meaning and communicate through a shared body language. In addition, by providing a key to the complexities of expression through the body, the course develops essential performance appreciation abilities and fosters artistic sensibility.
공연예술 세미나와 워크숍 I ( Seminar & Workshop on Performing Arts I ) 본 수업에서는 국내외 주요 뮤지컬, 연극, 퍼포먼스를 관람하고 세미나를 한다. 또한 워크숍으로서 공연제작실습을 병행한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공연예술의 본질과 주요 포인트들에 대한 통찰과 기술을 획득한다. In this class, the students conduct seminar about musical, theatre, and performance from Korea to other countries. Also in this class the students produce a show as workshop. Through these programs, the student get insight and skills about the essences and the main points of Performing Arts.
뮤지컬 오페라 스파르티토 ( Musical Opera Spartito ) 오페라나 뮤지컬 전체 오케스트레이션이 들어있는 악보는 흔히 스코어score 독일어로는 Klavierauszug 이탈리아에서는 Spartito 라고 부릅니다.국제적으로 많은 언어중에 이탈리아어가 음악적 용어로 소통이 되고 있어 Spartito라함은 오케스트라 총보로 소통이 됩니다. 뮤지컬 음악이나 오페라 음악에서 총보 오케스라의 분석은 필수적이며  공연에서의 음악을 보다 더 풍성하고 수준높고 예민하게 음악을 준비 할수있는 가장 기본적인 공부입니다. 오케스트라의 분석을 통해 싱어나 피아니스트들에게 보다 더 공연에 가까운 퀄리티의 연주준비를  할 수 있는 교과목입니다. A music score that shows the entire orchestration of an opera or musical is often referred to as a full score. In German, it's called Klavierauszug and Spartito in Italy. Among the many international languages, Italian is communicated in musical terms often so Spartito is communicated as the general referral of the orchestra score(full score). In musical or in opera , the analysis of full score study is essential and it is the most basic preparation to prepare music and to be thrived to reach in
뮤지컬 디렉팅 I ( Musical Directing for Composers ) 공연예술의 꽃인 뮤지컬에서 음악감독으로써 활동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과 현장에서 필요한 다양한 기술을 훈련하는 수업입니다. 이번 학기에는 최근에 공연중인 스티븐 손드하임의 “스위니토드”작품을 선정하여 작품의 대본을 읽으면서 드라마를 분석하고 음악적인 아이디어를 만들어나감과 동시에 어떻게 배우들을 캐스팅하고, 연습을 시키며, 편곡을 진행하고 오케스트라를 운용할 수 있는지, 음악감독이 하는 전반적인 역할들에 대한 공부를 진행합니다. This is a class that trains the basic knowledge required to act as a music director in musicals, the flower of the performing arts, and various skills required in the field. In this semester, Stephen Sondheim's Sweeney Todd work, which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is selected. And we will analyze script of the work, design musical ideas for the show, and discuss about how to cast actors, rehearsal process, and musical arrangements which are normally required to Musical director
스토리 창작워크숍 ( Story Creating Workshop ) 본 수업은 창의적 스토리 창작에 관한 워크숍을 진행한다. 학생들은 수업에서 제시하는 창작의 방법에 따라  스토리의 본질과 구성 기술에 관하여 연구하며 실제 창작을 한다. 자유롭고 과감한 실험을 추구한다. 실제 공연 제작이 아닌 아이디어 개발에 중점을 둔다. This class is about creating a story. The students study about the essence and compositional technique of creating a story. Free and bold approach need to be done. This class persuades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deas, instead of real performance.
뮤지컬 음악분석 I ( Musical Score Analysis I ) 이 과목은 뮤지컬을 이해하는데 가장 기초가 되는 음악의 여러 형식들과 그 사례들을 분석하면서 하나의 이야기가 어떻게 음악안에서 효과적으로 풀어나가지는지를 공부합니다. 초창기 뮤지컬 작품부터 최근의 작품까지 다양한 레파토리를 다룸으로써 여러 스타일의 뮤지컬 작품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하는것이 이번 수업의 목표입니다. This course studies how a story is effectively solved in music while analyzing the various forms of music that are the most basic for understanding musicals and their cases. The goal of this class is to have a broad understanding of musical works of various styles by dealing with various repertoires from early musical works to recent works.
신체극과 피지컬 2 ( Body and physicality II ) 이 교과목은 연기의 신체적 접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시도로, 몸을 주된 표현 매개체로 텍스트 화 하는 신체극의 새로운 변화와 행동의 원리를 탐구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신체극은 신체라는 무대의 장을 바탕으로 몸의 언어를 재생산하는 움직임과 동작의 신체적 표현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접근하여 신체를 통해 재생산된 언어의 작업과정을 분석하고 구체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신체 놀이의 게임들을 실질적으로 수행하여 신체의 행동 원리를 이해한다. 이러한 연습방법을 통해 실천적인 연기의 신체적 접근을 활성화시키는 목적을 시도를 함으로써, 공동의 신체언어를 형성하고 해방시키는데 효과적인 훈련방법을 터득하며, 실질적인 접근 방식을 통한 경험으로, 공연예술 작업 또는 작품의 아이디어를 향상시키고 예술적인 감수성을 발전시키는데 교과목의 의의를 둔다. This course aims to facilitate an understanding of physical expression and how the body can be used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and principles within physical theatre. What are the bodys modes of expression and physicality? We will examine the concepts, theories, origins, and innovative solutions informing various works and training methodologies, including the latest developments in body performance and physical theatre. The main principles employed when working with and through the body are introduced as part of a theoretical framework, as well as analyzed using games and exercises that make them manifes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n understanding of the bodys physicality and modes of engagement, students can learn to identify effective strategies to create meaning and communicate through a shared body language. In addition, by providing a key to the complexities of expression through the body, the course develops essential performance appreciation abilities and fosters artistic sensibility.
뮤지컬 가창 분석 II ( Musical Singing Analysis II ) 본 과목은 전문적인 방법으로 뮤지컬 노래를 실제로 부르기 위한 발성 및 호흡, 
대사 전달을 배우게 된다.그리고 다양한 뮤지컬 노래들을 대학원생들이 직접 분석, 이해함으로 무대에서 뮤지컬 배우로 본인이 원하는 표현을 위해 노래와 발성을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is class, you will learn vocalization, breathing, and transmission of lines to actually sing musical songs in a professional way. And through th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various musical songs, As a musical actor on stage, to express what you want, you can sing and vocalize. It's for the purpose of learning.
공연예술 마케팅 ( Performing Arts Marketing ) 기본적인 마케팅과 소비자 이론에 대해 공부하면서 공연예술을 만들어 가는 입장이 아닌 소비하는 입장을 이해한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 외 여러 가지 마케팅 사례를 분석하여 잠재고객을 개발하고 그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여러 관객의 needs를 파악하는 훈련을 한다. 최종적으로 특정 프로덕션을 선택해 자신만의 마케팅 전략을 만들어 발표한다. While studying basic concept of marketing and consumer theory, students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rather than that of creators in performing arts. Building on this foundation, they analyze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ing cases to cultivate potential customers and develop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m effectively, while identifying the needs of diverse audience members. Through this training, students ultimately select a specific production and create their own marketing strategy to present.
오페라 코치 I ( Opera Coaching ) 오페라 제작 과정에서 성악가와 피아니스트의 관계는 긴밀할 수밖에 없다. 성악가는 객관적으로 소리와 뉘앙스를 들어줄수 있는 것이 필요하며 피아니스트는 리허설시 오케스트라를 피아노로 연주하며 딕션 및 캐릭터를 잘 표현할수 있는 점을 코칭해 줄수 있어야 한다.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n oper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calist and the pianist must be close and collaborative. The vocalist needs someone who can objectively listen to their sound and nuances, while the pianist, during rehearsals, must be able to play the orchestral parts on the piano and provide coaching on diction and character expression.

논문 특강 세미나 논문 세미나 이 수업은 석사 과정에서 논문을 어떻게 써야하는지를 방법론과 실제 논문 내용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를 논하는 수업이다. 논문이란 연구자가 오랜 탐구와 연구의 결과를 학문의 글로 정리하는 것으로 내용적인 면에서 학문적 깊이를 요구할 뿐 아니라 방법적인 면에서는 글의 전개를 논리적으로 전개해야 한다. 논문을 쓰고자 하는 연구자는 우선 논문의 주제와 내용을 정해야 하고 많은 자료와 객관적 사실적 팩트를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자신이 정한 내용과 주제를 어떻게 논리적으로 체계화하고 전개해 나갈 것인가를 방법론적으로 찾아야 한다. 이 수업은 논문의 주제와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공부하는 수업이다.  수업참여자들은 학기말에 논문 연구계획서(Research Proposal)를 완성해야 한다.

This seminar on thesis writing is a course designed for graduate students to explore both the methodology and structure involved in writing a thesis. A thesis is the result of extensive inquiry and research, organized into an academic text. It not only requires intellectual depth in terms of content, but also demands logical coherence and structure in its methodological approach.

Students intending to write a thesis must first determine their topic and content, and gather a substantial amount of material and objective factual data. They must then identify a methodological framework to logically and systematically develop and present their chosen subject matter.

This course focuses on how to select a thesis topic and how to approach the writing process. By the end of the semester, all participants are expected to complete a research proposal outlining their thesis project.

연기예술 I ( art of Acting ) 본 수업에서는 연기에 관한 다양한 아이디어들, 접근방법들 그리고 기초 훈련들에 대해 다룬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연기에 관한 다양한 기초 지식과 창의력 및 통찰을 터득한다. This class deals with diverse ideas, methods, and basic training about acting. The students obtain diverse basic knowledge, creativity, insight into the art of acting.
뮤지컬 발성 테크닉 I ( Musical Vocalization Technique I ) 본 과목은 전문적인 방법으로 뮤지컬 노래를 실제로 부르기 위한 발성테크닉과
다양한 뮤지컬 넘버들을 학생이 직접 분석, 이해함으로
무대에서 뮤지컬 배우가 되기 위한 노래와 발성을 배우는 것을 기초로 한다.
This course is a professional course To actually sing a musical song
Vocal Technique Department A lot of musical numbers with direct analysis, understanding To become a musical actor on stage
Based on learning singing and vocalization do.
오페라 코치 II ( Opera Coaching 2 ) 오페라 제작 과정에서 성악가와 피아니스트의 관계는 긴밀할 수밖에 없다. 성악가는 객관적으로 소리와 뉘앙스를 들어줄수 있는 것이 필요하며 피아니스트는 리허설시 오케스트라를 피아노로 연주하며 딕션 및 캐릭터를 잘 표현할수 있는 점을 코칭해 줄수 있어야 한다.많은 레퍼토어로 성악가와  피아니스트의 협력을 실습해 보는 교과목이다.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n opera, the relationship between a vocalist and a pianist is bound to be close. Vocalists need to be able to objectively listen to sounds and nuances, and pianists should be able to play the orchestra on the piano during rehearsals and coach them on how to express diction and characters well.It is a subject that practices the cooperation of vocalists and pianists in many repertoire languages.
서양연극사 ( History of Western Drama ) 이 연극사 강의는 공연예술 중에서 언어와 표현적 행위를 중심으로 하는 연극의 예술의 역사를 배우는 수업이다. 단지 시간의 연속의 의미와 사건의 기록을 공부하는 수업이 아니라, 각 시대의 철학과 연극미학을 언어와 몸으로 표현한 연극 예술가들의 철학과 개인에 영향을 끼친 시대적 환경과의 관련성을 공부할 것이다. 수업은 각 시대의 철학과 종교, 그리고 미학적이고 학문적 공연 이론, 각 시대의 극작가, 배우, 연출, 무대 디자인너, 그리고 공연비평가들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룰 것이다.

This Theatre History course focuses on the history of theatre as an art form within the performing arts, particularly emphasizing language and expressive physical action. It is not merely a chronological study of events or a record of historical occurrences. Rather, the course explores how the philosophies and theatrical aesthetics of each era were embodied through language and physical performance by theatre artists, and how these expressions were shaped by the socio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of their time.The course will delve deeply into the philosophies, religions, and aesthetic or scholarly performance theories of each period, as well as the works and contributions of playwrights, actors, directors, stage designers, and theatre critics throughout history.

성악언어학 ( Vocal linguistics ) 본 과정은 성악 언어학의 필수 과목으로 성악 언어 예술의 체계와 규율을 해설하였습니다.
 이 과정에는 중국과 외국의 성악 언어의 역사적 발전, 성악 및 성악 언어의 미적 특성, 성악 언어 내용 시스템 및 방법이 포함되어 있으며 성악 언어의 과학화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이 수행되었습니다.
This course is a required course in vocal music linguistics, which explains the system and discipline of vocal language art.
This course includ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vocal music language in China and foreign countries,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vocal music and vocal music language content system and methods, and an objective analysis of the scientification of vocal music language has been conducted.
뮤지컬 역사 I ( Musical History I ) 뮤지컬은 오랜 세월동안 민감한 대중을 중심으로 유연하게 발전을 거듭해 왔고, 현재 공연예술 장르 중에 가장 주목할 만한 분야가 되었다. 대중들이 뮤지컬을 좋아하게 된 것은 아마도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그 역사에 이유가 있을텐데 150년 넘는 역사를 간략하게 살펴봄으로써 우리가 접하는 작품들과 시장에 대한 이해를 입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Musicals have developed flexibly over the years, with a focus on sensitive audiences, and are now one of the most remarkable performing arts genres. The reason why the public has come to like musicals is probably because of their history of not being afraid of change, and by briefly examining the history of more than 150 years, we can approach the works we encounter and the market in a three-dimensional way.
뮤지컬 발성 테크닉 II ( Musical Vocal Technique II ) 본 과목은 전문적인 방법으로 뮤지컬 노래를 실제로 부르기 위한 발성 및 호흡, 
대사 전달을 배우게 된다.
또한 다양한 뮤지컬 노래들을 대학원생들이 직접 분석, 이해함으로 
무대에서 뮤지컬 배우로써 본인이 원하는 표현을 위해 노래와 발성을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subject teaches musical singing in a professional manner.
To actually sing, vocalize, and deliver lines. You will learn techniques
also
Graduate students sang various musical songs. On stage by directly analyzing and understanding
Each person's interpretation as a musical actor. 
Expressing yourself by singing songs. The purpose is to explain this subjec
연기예술 II ( Art of Acting II ) 이 과목은 장면연기에 관하여 수업한다. 학생들이 장면을 연기하기 위해 어떻게 작품을 분석하고 실행하는 지에 관하여 수업한다. 이 수업에서는 서양 고전 작품 1개와 한국 유명 희곡 1개를 다룬다. This class is about acting for scene. This class focuses on the analysis and performance of plays as an actor. A Western classic play and a Korean famous play will be worked.
공연예술종합실천 ( Comprehensive performing arts practice ) 과목 <공연예술종합실천>은 학생들이 동서양 음악 (오페라) 비교연구를 통해 작품을 분석하고 종합적으로 실천에 실행하는것에 관하여 수업을 전개한다. 이수업은 이론교육과 비교연구를 통해 1개의 공연작품을 완성하도록 한다. The subject <Comprehensive Performance Arts Practice> develops classes on students' analysis of work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Eastern and Western music (opera) and comprehensively implemented them. In this class, one performance work is completed through theoretical education and comparative research.
뮤지컬 역사 II ( Musical History II ) 공연예술의 꽃인 미국과 영국의 뮤지컬의 역사를 다루는 수업으로 2학기에는 격변의 시기를 지난 1990년대 초부터 2024년 현재의 브로드웨이의 움직임까지, 더 나아가 한국 뮤지컬 시장의 현주소까지 다루어보면서 우리가 창작자로써 배우로써, 또 공연관련 스태프로써 어떠한 시각으로 각각의 작품과 산업을 바라보아야 할지 인사이트를 배워봅니다. This class deals with the history of musicals in the U.S. and the U.K., the flower of the performing arts. In the second semester, we will learn insights on how we should look at each work and industry as creators, actors, and performance-related staff by covering the period of upheaval from the early 1990s to the current Broadway movement in 2024.
극장경영 수업은 극장의 전반적인 운영과 관리에 대해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연예술산업의 메카브로드웨이의 역사적 배경부터 현대 극장 경영의 실무까지 포괄적으로 다루며, 극장 경영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과 실무를 다룬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극장의 재정 관리, 마케팅 전략,프로그램 기획 등 다양한 경영적 측면을 학습하게 된다. The course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aters. It covers everything from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Broadway, the epicenter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to the practical aspects of modern theater management. The course focuses on equipping students with essential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required for theater management, including financial management, marketing strategies, and program planning.
오페라실습 I ( Opera Rehearsal I ) 오페라 나 뮤지컬 전체 오케스트레이션이 들어있는 악보는 흔히 스코어score 독일어로는 Klavierauszug 이탈리아에서는 Spartito 라고 부릅니다.국제적으로 많은 언어중에 이탈리아어가 음악적 용어로 소통이 되고 있어 Spartito라함은 오케스트라 총보로 소통이 됩니다. 뮤지컬 음악이나 오페라 음악에서 총보 오케스라의 분석은 필수적이며  공연에서의 음악을 보다 더 풍성하고 수준높고 예민하게 음악을 준비 할수있는 가장 기본적인 공부입니다. 오케스트라의 분석을 통해 싱어나 피아니스트들에게 보다 더 공연에 가까운 퀄리티의 연주준비를  할 수 있는 교과목입니다. The score that contains the entire orchestration of an opera or musical is commonly called a score, in German it is called Klavierauszug, and in Italian it is called Spartito. Since Italian is one of the many languages used internationally as a musical term, Spartito is communicated as an orchestral score. Analysis of the orchestral score in musical or opera music is essential and is the most basic study to prepare music for a performance more richly, at a higher level, and with greater sensitivity. This is a subject that allows singers and pianists to prepare for a performance with a quality closer to a performance through orchestra analysis.
발레 I ( BALLET ) 뮤지컬 과목에 필수 조건인 발레 수업 
배우의 기본자세,배우의 테크니컬 움직임,무대에서의 테크닉등
러시아 바가노바 베소드를 기본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a ballet class that is a prerequisite for musical subjects
The actor's basic posture, the actor's technical movement, the technique on stage, etcLectures based on the Russian Baganova Besod
브로드웨이역사 ( History of Broadway ) 뉴욕 브로드웨이는 전 세계에서 모인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예술가들이 활약하며,
상업성과 예술성, 전통과 혁신이 역동적으로 교차하는 세계 공연예술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해 왔다. 본 강의는 브로드웨이의 역사적 흐름을 연대기적으로 조망함으로써, 브로드웨이라는 문화적 공동체의 정체성과 진화를 탐색한다. 
각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 예술가, 산업적 변화, 그리고 사회적 맥락을 함께 분석하며, 브로드웨이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탐구한다. 이를 통해 수강생들은 단지 뮤지컬이나 연극 작품에 대한 이해를 넘어, 공연예술과 도시, 예술과 정체성, 대중성과 예술성 사이의 관계에 대한 폭넓은 통찰을 갖추게 된다.
Broadway in New York has become a global hub of performing arts, where artists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come together, and where commercial success and artistic ambition, tradition and innovation intersect in dynamic ways.
This course offers a chronological exploration of Broadway's historical development, focusing on how it has evolved as a cultural community and artistic institution.
Students will examine representative productions, influential artists, major industry changes, and the broader social contexts that shaped each era, in order to understand how Broadway has transformed over time.
By doing so, the course aims to foster a deeper understanding not only of musical and theatrical works, but also of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performance and the city, art and identity, and popular culture and artistic expression.
뮤지컬 연기 I ( Musical Acting I ) 본 수업에서는 뮤지컬에서의 독백과 아리아 연기에 대해 다룬다. 학생들은 배우의 관점에서 뮤지컬 작품의 분석, 이해, 그리고 극화에 대해 학습한다. This class deals with monologues and arias in the musical works. The students will study about analyzing, understanding, and dramatizing musical works from the actors point.
뮤지컬 성악 노래의 표현과 해석 I ( Expression and Interpretation in Musical theatre and Classical Vocal Performance I ) 이 과목은 뮤지컬과 성악(클래식 보컬)의 보컬 기법, 표현 방식, 해석 방법의 차이와 공통점을 비교·분석하여, 두 장르 모두에서 음악적·연기적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학생들은 각 장르에서 요구되는 발성법, 딕션, 감정 표현, 무대 표현 등을 실습을 통해 익히며, 다양한 레퍼토리를 통해 실제 적용 능력을 기르게 됩니다.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무대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 역량과 예술적 감각을 갖춘 보컬리스트 양성을 지향합니다. This course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vocal techniques, expressive methods, and interpretative approaches in musical theatre and classical vocal (opera) performance. The goal is to enhance students musical and dramatic expressiveness in both genres.
Through practical exercises, students will learn genre-specific vocal production, diction, emotional expression, and stage performance techniques. They will also develop the ability to apply these skills through a variety of repertoire selections.
오페라 실습 II ( Opera Practice II ) 오페라 제작 과정에서 성악가와 피아니스트의 관계는 긴밀할 수밖에 없다. 성악가는 객관적으로 소리와 뉘앙스를 들어줄수 있는 것이 필요하며 피아니스트는 리허설시 오케스트라를 피아노로 연주하며 딕션 및 캐릭터를 잘 표현할수 있는 점을 코칭해 줄수 있어야 한다.많은 레퍼토어로 성악가와  피아니스트의 협력을 실습해 보는 교과목이다.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n opera, the relationship between a vocalist and a pianist is bound to be close. Vocalists need to be able to objectively listen to sounds and nuances, and pianists should be able to play the orchestra on the piano during rehearsals and coach them on how to express diction and characters well.It is a subject that practices the cooperation of vocalists and pianists in many repertoire languages.
중급 발레 I ( an intermediate ballet ) 본 교과목은 발레의 직관적인 신체표현을 통해 창작의 안목과 구상력을 확장시키기 위한 중급발레를 실습을 한다. 기본적으로 바 센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바(bar) 대해 학습하고, 유연성과 순발력에 대한 센터(center)훈련을 하며, 발레음악에 대한 분절적 리듬분석 트레이닝을 통해 무대에서의 필요한 몸 움직임과의 교감을 이끌어낸다 This course practices intermediate ballet to expand the perspective and imagination of creation through intuitive body expression of ballet. Basically, to help you understand the bar center, you learn about the bar, conduct center training on flexibility and quickness, and draw communication with the body movements required on stage through segmental rhythm analysis training on ballet music
  

 

미디어스포테인먼트경영전공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 스포츠의 융복합인 미디어스포테인먼트경영(Media Spotainment Management)전공은 MBA(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과정에서 배우는 경영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고도의 실무적 경영 훈련을 실시, 기업의 전문 엘리트 배출을 목표로,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기술적 이해를 기반으로, 미디어운영 경영, 콘텐츠기획 및 제작생산 경영, 마케팅·홍보·커뮤니케이션 등 미디어스포테인먼트 융합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키우며, 각 분야의 콘텐츠 제작, 브랜드화, 마케팅에 대한 기획➜생산➜저장➜유통되는 미디어스포테인먼트 콘텐츠산업에
실제 적용될 수 있는 경영 수업을 일컫는다. 
 스마트미디어로 디지털 융-복합이 본격화되면서 미디어스포테인먼트 콘텐츠 수요의 빠른 증가와 함께, 수익 기반도 크게 확장되고 있다.
이렇게 미디어스포테인먼트 콘텐츠 전반을 다룰 수 있는 인재가 필요한 상황에 있지만 대학과 대학원에서 일체형 교육을 하는 전공이 미흡 본 전공의 장점을 살려
대중의, 대중에 의한, 대중을 위한 대중문화의 핵심인 미디어스포테인먼트경영을 배우고 실천하며, 연구하는데 학습의 주안점을 두고 있다. 
 특히, 미디어스포테인먼트경영 전공은 미디어/연예/스포츠/게임분야 및 문화산업 전반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에게 미디어스포테인먼트 콘텐츠 전반을 다룰 수 있는 일체형 교육을 통하여
대중문화의 핵심인 미디어스포테인먼트 경영을 배우고 익혀 실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엔터테인먼트 경영원론 / 엔터테인먼트 경영연구 / 엔터테인먼트 산업론 / 엔터테인먼트 창업론 / 엔터테인먼트 기업분석 / 엔터테인먼트 문화콘텐츠 / 엔터테인먼트 창조성연구 /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론 / 엔터테인먼트 역사 / 엔터테인먼트 마케팅 / 엔터테인먼트 산업관계법 / 엔터테인먼트 스타분석 / 엔터테인먼트 산업 정책론 / 엔터테인먼트 저작권법 / 엔터테인먼트 문화콘텐츠 / 언론학 개론 / 미디어와 사회 / 디지털미디어개론 /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 방송의 이해 / 방송콘텐츠 기획, 제작 / 홍보론 / 통합마케팅 커뮤니케이션 / 스포츠 산업론 / 스포츠 문화콘텐츠 기획론 / 스포츠마케팅 커뮤니케이션 / 스포츠 이벤트기획론 / 스포츠 마케팅 / 스포츠 홍보기획운영전략 / 논문연구세미나Ⅰ / 독립연구 (Ⅰ) 

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전공 0742959 미디어와 사회 3
전공 074375 엔터테인먼트경영원론 3
전공 074546 엔터테인먼트경영연구 3
전공 074640 홍보론 3
전공 074793 사이버커뮤니케이션 3
전공 074794 스포츠이벤트기획론 3
전공 075165 스포츠홍보기획운영전략 3
전공 075397 엔터테인먼트IMC전략경영론 3
전공 075762 스포츠와 프로모션 3
전공 075995 미디어와 문화관광 3
전공 075996 미디어스포테인먼트경영론 3
전공 076174 이미지 메이킹 & 연출론 3
전공 076175 프로스포츠구단운영론 3
전공 076867 미디어연구 3
  

 

교과목명(영문명) 교과목개요(한글) 교과목개요(영문)
문화예술논문세미나 ( Semianr paper art ) 논문 세미나 이 수업은 석사 과정에서 논문을 어떻게 써야하는지를 방법론과 실제 논문 내용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를 논하는 수업이다. 논문이란 연구자가 오랜 탐구와 연구의 결과를 학문의 글로 정리하는 것으로 내용적인 면에서 학문적 깊이를 요구할 뿐 아니라 방법적인 면에서는 글의 전개를 논리적으로 전개해야 한다. 논문을 쓰고자 하는 연구자는 우선 논문의 주제와 내용을 정해야 하고 많은 자료와 객관적 사실적 팩트를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자신이 정한 내용과 주제를 어떻게 논리적으로 체계화하고 전개해 나갈 것인가를 방법론적으로 찾아야 한다. 이 수업은 논문의 주제와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공부하는 수업이다.  수업참여자들은 학기말에 논문 연구계획서(Research Proposal)를 완성해야 한다. This course is designed to help master's students understand how to write a thesis, focusing both on methodology and the structure of the actual content. A thesis is a scholarly work that presents the results of a researcher's in-depth study and investigation. It not only requires academic depth in terms of content, but also demands logical organization and clear development in terms of methodology.
Anyone planning to write a thesis must first determine their topic and content, gather a wide range of resources, and prepare objective, factual information. Then, they need to find a methodological approach to logically and systematically develop their topic and content.
This course provides guidance on choosing a thesis topic and learning how to write about it effectively. By the end of the semester, all participants are required to submit a completed research proposal.
공연예술연출론 ( performing Arts Performance Theory ) 공연연출의 미학에 관하여 수업한다. 
연출가들의 철학과 작업 스타일에 관한 연구가 주요 내용이다.
This course explores the aesthetics of theatrical direction. The main focus is on studying the philosophies and working styles of various directors.
상업공연의 제작과 운영 ( Management and Producing for Commercial Theatrical Productions ) 이 수업은 브로드웨이의 선진 공연제작 기술과 정보를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상업 공연을 제작하는 과정과 운영하는 방법을 배우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공연제작을 상업적인 측면에서 하나의 비즈니스로써 인식하고 실제적으로 공연 제작사 또는 프로덕션 회사의 설립이나 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사업의 시작, 운영, 종료까지 전 과정을 배우게 된다. 학생들은 개개인의 생각을 수업시간의 발표나, 토론, 그리고 과제를 통해서 다른 학생들과 공유하게 된다. The main goal of this course is to introduce and study the advanced procedures of the atre management and creative producing on Broadway. On the basis of it, students lear n how to produce and operate commercial theatrical productions in Korea. Students als o learn the 
entire process (start, operation, and termination) of a production as a commercial point of view. This can actually help establish or manage a production company in real life. T he knowledge of management and producing will be examined through presentations, c lassroom discussions and assignments.
공연예술법 ( Law & Theatre Seminar ) 예술의 여러 장르 중에서 특히 공연예술 분야를 대상으로 한 관련법(지식재산권)에 대한 공부를 시작으로, 본 강의에서는 한국과 브로드웨이의 실제 사례를 통해 관련 종사자들의 법적 권리와 의무, 이들이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법적 쟁점들을 중심으로 다룬다.. 본 강의는 다양한 사례와 판례를 중심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발제와 토론 등 수강생들의 적극적 참여를 요구한다. Among the various genres of art, this course focuses on performing arts and begins with a study of relevant laws, particularl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t examines the legal rights and obligations of professionals in the field, as well as various legal issues they may face, using real cases from Korea and Broadway. As the course is centered around a range of case studies and legal precedents, active participation from students—such as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is required.
공연예술재원조성 ( Performing arts Fundraising ) 공연예술이 점점 산업화 되어감에 따라 재원조성의 중요성 또한 부각되고 있다. 학생들은 여러 예술단체들의 재원조성 사례를 분석하여 해당 예술단체들과 재원공급자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자신이 직접 선택한 프로젝트의 재원조성을 계획하여 실전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 지식으로 만든다. As the performing arts become more and more industrialized, the importance of financing is also rapidly increasing. Students analyze the fundraising cases of various arts organization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s and the funders. They choose their own projects and make a funding plan for the projects. Therefore, students acquire practical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오페라개론 ( Introduction to opera ) 본 수업은 서양 오페라의 발전에 대한 상세한 분석과 연구를 진행하다. 오페라는 서양 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장르 중의 하나이다.이번 수업에서는 오페라의 개념과 의미와 특징, 시기별 대표작품을 설명하여 이번 학기의 주요 학습 내용으로 삼을 것입니다. his course has done a detailed analysis and research on history of Opera, Oper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enres in Western music.This course will explain the concept,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opera, as well as representative works of different periods, as the main learning content of the semester.
성악 & 뮤지컬 발성분석 I ( Vocal & Musical Vocalization Analysis ) 뮤지컬의 대중화로 뮤지컬 노래 즉 뮤지컬 발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 뮤지컬 발성에 대한 심도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 그리고 뮤지컬 노래의 원조라고 볼 수 있는 성악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하여 성악 발성과 뮤지컬 발성에 대해 분석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An in-depth approach to musical vocalization is needed at a time when the popularization of musicals has raised interest in musical songs, or musical vocalization. 
And we need to study vocal music, which is the origin of musical songs, so we can analyze vocal and musical vocalization.
It'll be a great opportunity.
성악교육학 ( Vocal pedagogy ) 성악교육학은 음악교육학의 하위학과로서 전방위적인 리론시야로 성악예술교육의 계통적인 구조와 법칙을 깊이있게 개괄하고 론술하였다.이 책은 모두 10장으로 나뉘여 학과의 성격과 종속성에 대한 자리확정분석이 있는가 하면중외 성악도 있고 교육의 역사적 발전, 성악 성악과 심미적인 특징, 성악 가르 교육의 구조와 형태, 성악 성악과 가르 시스템의 심미적 관계와 방향, 교육 내용의 거시 체계 및 그 교수 원칙과 방법, 성악 성악과 교육 교수 평가와 교사의 전반 적자 질 등을 전면적으로리 론과 스캔 종횡으로 시스템을 통일적으로 평가 한다.성악교육의 과학화 전망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있다.이 책은 관점이 참신하고 립론이 선명한 바 우리 나라 건국 이래 최초로 지침성을 지닌 성악교육리론저서이다.

As a sub-discipline of music pedagogy, the systematic structure and rules of vocal music art education are thoroughly summarized and discussed from a comprehensive theoretical perspective. The book consists of ten chapters, including the analysis of the nature of the subject and its subordination; And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inese and foreign vocal music education, vocal music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vocal music education and vocal music education, teaching structure and the form of vocal music teaching system and guide the relationship of beauty appreciation, the macroscopic system of the vocal music education content and teaching principles and methods, evaluation of the teaching of vocal music education and vocal music teachers' whole quality and so on to conduct a comprehensive theory of scanning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system as a whole are reviewed; The scientific outlook of vocal music education is analyzed objectively. The book is the first instructive theoretical work on vocal music education since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성악 & 뮤지컬 발성분석 II ( Vocal & Musical Vocalization Analysis II ) 뮤지컬의 대중화로 뮤지컬 노래 즉 뮤지컬 발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 뮤지컬 발성에 대한 심도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 그리고 뮤지컬 노래의 원조라고 볼 수 있는 성악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하여 성악 발성과 뮤지컬 발성에 대해 분석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An in-depth approach to musical vocalization is needed at a time when the popularization of musicals has raised interest in musical songs, or musical vocalization. 
And we need to study vocal music, which is the origin of musical songs, so we can analyze vocal and musical vocalization.
It'll be a great opportunity.
연극미학 연극은 미학적 관점에서 그 시대의 여러 학문의 결집체이다. 그 내용과 사상은 그 시대의 철학적 사고를 담고 있다. 많은 시대 문학자와 철학자들이 연극을 정의하며 연극 속에 담아야 할 우주와 삶의 본질을 이야기해 왔다. 연극/공연예술과 철학 이론들을 동시에 공부하면 연극/공연예술이 가져할 철학적 본질의 정체에 도달 할 것이다. <연극과 미학> 이 과목은 공연예술을 기능적 방법론이 아닌 예술의 본질을 철학 이론 연구와 함께 학문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과목이다.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theatre is an embodiment of various disciplines of its time. Its themes and ideas reflect the philosophical thinking of the era. Throughout history, many writers and philosophers have attempted to define theatre, exploring how it should express the essence of the universe and human life.
By studying both theatre/performance art and philosophical theories together,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essence that lies at the core of performance.
This course, Theatre and Aesthetics, approaches performance art not merely as a set of functional methodologies, but as an academic exploration of its artistic essence through the study of philosophical theory.
뮤지컬 가창 분석 I ( Musical Singing Analysis I ) 본 과목은 전문적인 방법으로 뮤지컬 노래를 실제로 부르기 위한 발성 및 호흡, 대사 전달을 배우게 된다.
그리고 다양한 뮤지컬 노래들을 대학원생들이 직접 분석, 이해함으로 
무대에서 뮤지컬 배우로 본인이 원하는 표현을 위해 노래와 발성을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is class, you will learn vocalization, breathing, and transmission of lines to actually sing musical songs in a professional way.
And through th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various musical songs,
As a musical actor on stage, to express what you want, you can sing and vocalize
It's for the purpose of learning.
신체극과 피지컬 I ( Body and physicality I ) 이 교과목은 연기의 신체적 접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시도로, 신체적 접근을 통해 신체연극적인 새로운 변화와 행동의 원리를 탐구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신체극과 피지컬이란 무엇인가? 에서는 신체극과 피지컬의 개념과 이론, 근원 그리고, 최근 흐름까지의 다양한 작업방식과 훈련방식의 새로운 변화를 알아보고, 신체를 통한 작업의 주요 원리를 이론적인 접근방식을 통해 소개하고 이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연습과 게임들을 통해 행동의 원리를 분석한다. 또한, 신체를 통해 실천적인 연기의 신체적 접근을 활성화시키는 목적을 시도를 함으로써, 공동의 신체언어를 형성하고 해방시키는데 효과적인 훈련방법을 터득하며, 실질적인 접근 방식을 통한 경험으로, 공연예술 작업 또는 작품의 아이디어를 향상시키고 예술적인 감수성을 발전시키는데 교과목의 의의를 둔다. This course aims to facilitate an understanding of physical expression and how the body can be used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and principles within physical theatre. What are the bodys modes of expression and physicality? We will examine the concepts, theories, origins, and innovative solutions informing various works and training methodologies, including the latest developments in body performance and physical theatre. The main principles employed when working with and through the body are introduced as part of a theoretical framework, as well as analyzed using games and exercises that make them manifes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n understanding of the bodys physicality and modes of engagement, students can learn to identify effective strategies to create meaning and communicate through a shared body language. In addition, by providing a key to the complexities of expression through the body, the course develops essential performance appreciation abilities and fosters artistic sensibility.
공연예술 세미나와 워크숍 I ( Seminar & Workshop on Performing Arts I ) 본 수업에서는 국내외 주요 뮤지컬, 연극, 퍼포먼스를 관람하고 세미나를 한다. 또한 워크숍으로서 공연제작실습을 병행한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공연예술의 본질과 주요 포인트들에 대한 통찰과 기술을 획득한다. In this class, the students conduct seminar about musical, theatre, and performance from Korea to other countries. Also in this class the students produce a show as workshop. Through these programs, the student get insight and skills about the essences and the main points of Performing Arts.
뮤지컬 오페라 스파르티토 ( Musical Opera Spartito ) 오페라나 뮤지컬 전체 오케스트레이션이 들어있는 악보는 흔히 스코어score 독일어로는 Klavierauszug 이탈리아에서는 Spartito 라고 부릅니다.국제적으로 많은 언어중에 이탈리아어가 음악적 용어로 소통이 되고 있어 Spartito라함은 오케스트라 총보로 소통이 됩니다. 뮤지컬 음악이나 오페라 음악에서 총보 오케스라의 분석은 필수적이며  공연에서의 음악을 보다 더 풍성하고 수준높고 예민하게 음악을 준비 할수있는 가장 기본적인 공부입니다. 오케스트라의 분석을 통해 싱어나 피아니스트들에게 보다 더 공연에 가까운 퀄리티의 연주준비를  할 수 있는 교과목입니다. A music score that shows the entire orchestration of an opera or musical is often referred to as a full score. In German, it's called Klavierauszug and Spartito in Italy. Among the many international languages, Italian is communicated in musical terms often so Spartito is communicated as the general referral of the orchestra score(full score). In musical or in opera , the analysis of full score study is essential and it is the most basic preparation to prepare music and to be thrived to reach in
뮤지컬 디렉팅 I ( Musical Directing for Composers ) 공연예술의 꽃인 뮤지컬에서 음악감독으로써 활동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과 현장에서 필요한 다양한 기술을 훈련하는 수업입니다. 이번 학기에는 최근에 공연중인 스티븐 손드하임의 “스위니토드”작품을 선정하여 작품의 대본을 읽으면서 드라마를 분석하고 음악적인 아이디어를 만들어나감과 동시에 어떻게 배우들을 캐스팅하고, 연습을 시키며, 편곡을 진행하고 오케스트라를 운용할 수 있는지, 음악감독이 하는 전반적인 역할들에 대한 공부를 진행합니다. This is a class that trains the basic knowledge required to act as a music director in musicals, the flower of the performing arts, and various skills required in the field. In this semester, Stephen Sondheim's Sweeney Todd work, which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is selected. And we will analyze script of the work, design musical ideas for the show, and discuss about how to cast actors, rehearsal process, and musical arrangements which are normally required to Musical director
스토리 창작워크숍 ( Story Creating Workshop ) 본 수업은 창의적 스토리 창작에 관한 워크숍을 진행한다. 학생들은 수업에서 제시하는 창작의 방법에 따라  스토리의 본질과 구성 기술에 관하여 연구하며 실제 창작을 한다. 자유롭고 과감한 실험을 추구한다. 실제 공연 제작이 아닌 아이디어 개발에 중점을 둔다. This class is about creating a story. The students study about the essence and compositional technique of creating a story. Free and bold approach need to be done. This class persuades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deas, instead of real performance.
뮤지컬 음악분석 I ( Musical Score Analysis I ) 이 과목은 뮤지컬을 이해하는데 가장 기초가 되는 음악의 여러 형식들과 그 사례들을 분석하면서 하나의 이야기가 어떻게 음악안에서 효과적으로 풀어나가지는지를 공부합니다. 초창기 뮤지컬 작품부터 최근의 작품까지 다양한 레파토리를 다룸으로써 여러 스타일의 뮤지컬 작품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하는것이 이번 수업의 목표입니다. This course studies how a story is effectively solved in music while analyzing the various forms of music that are the most basic for understanding musicals and their cases. The goal of this class is to have a broad understanding of musical works of various styles by dealing with various repertoires from early musical works to recent works.
신체극과 피지컬 2 ( Body and physicality II ) 이 교과목은 연기의 신체적 접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시도로, 몸을 주된 표현 매개체로 텍스트 화 하는 신체극의 새로운 변화와 행동의 원리를 탐구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신체극은 신체라는 무대의 장을 바탕으로 몸의 언어를 재생산하는 움직임과 동작의 신체적 표현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접근하여 신체를 통해 재생산된 언어의 작업과정을 분석하고 구체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신체 놀이의 게임들을 실질적으로 수행하여 신체의 행동 원리를 이해한다. 이러한 연습방법을 통해 실천적인 연기의 신체적 접근을 활성화시키는 목적을 시도를 함으로써, 공동의 신체언어를 형성하고 해방시키는데 효과적인 훈련방법을 터득하며, 실질적인 접근 방식을 통한 경험으로, 공연예술 작업 또는 작품의 아이디어를 향상시키고 예술적인 감수성을 발전시키는데 교과목의 의의를 둔다. This course aims to facilitate an understanding of physical expression and how the body can be used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and principles within physical theatre. What are the bodys modes of expression and physicality? We will examine the concepts, theories, origins, and innovative solutions informing various works and training methodologies, including the latest developments in body performance and physical theatre. The main principles employed when working with and through the body are introduced as part of a theoretical framework, as well as analyzed using games and exercises that make them manifes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n understanding of the bodys physicality and modes of engagement, students can learn to identify effective strategies to create meaning and communicate through a shared body language. In addition, by providing a key to the complexities of expression through the body, the course develops essential performance appreciation abilities and fosters artistic sensibility.
뮤지컬 가창 분석 II ( Musical Singing Analysis II ) 본 과목은 전문적인 방법으로 뮤지컬 노래를 실제로 부르기 위한 발성 및 호흡, 
대사 전달을 배우게 된다.그리고 다양한 뮤지컬 노래들을 대학원생들이 직접 분석, 이해함으로 무대에서 뮤지컬 배우로 본인이 원하는 표현을 위해 노래와 발성을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is class, you will learn vocalization, breathing, and transmission of lines to actually sing musical songs in a professional way. And through th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various musical songs, As a musical actor on stage, to express what you want, you can sing and vocalize. It's for the purpose of learning.
공연예술 마케팅 ( Performing Arts Marketing ) 기본적인 마케팅과 소비자 이론에 대해 공부하면서 공연예술을 만들어 가는 입장이 아닌 소비하는 입장을 이해한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 외 여러 가지 마케팅 사례를 분석하여 잠재고객을 개발하고 그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여러 관객의 needs를 파악하는 훈련을 한다. 최종적으로 특정 프로덕션을 선택해 자신만의 마케팅 전략을 만들어 발표한다. While studying basic concept of marketing and consumer theory, students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rather than that of creators in performing arts. Building on this foundation, they analyze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ing cases to cultivate potential customers and develop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m effectively, while identifying the needs of diverse audience members. Through this training, students ultimately select a specific production and create their own marketing strategy to present.
오페라 코치 I ( Opera Coaching ) 오페라 제작 과정에서 성악가와 피아니스트의 관계는 긴밀할 수밖에 없다. 성악가는 객관적으로 소리와 뉘앙스를 들어줄수 있는 것이 필요하며 피아니스트는 리허설시 오케스트라를 피아노로 연주하며 딕션 및 캐릭터를 잘 표현할수 있는 점을 코칭해 줄수 있어야 한다.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n oper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calist and the pianist must be close and collaborative. The vocalist needs someone who can objectively listen to their sound and nuances, while the pianist, during rehearsals, must be able to play the orchestral parts on the piano and provide coaching on diction and character expression.

논문 특강 세미나 논문 세미나 이 수업은 석사 과정에서 논문을 어떻게 써야하는지를 방법론과 실제 논문 내용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를 논하는 수업이다. 논문이란 연구자가 오랜 탐구와 연구의 결과를 학문의 글로 정리하는 것으로 내용적인 면에서 학문적 깊이를 요구할 뿐 아니라 방법적인 면에서는 글의 전개를 논리적으로 전개해야 한다. 논문을 쓰고자 하는 연구자는 우선 논문의 주제와 내용을 정해야 하고 많은 자료와 객관적 사실적 팩트를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자신이 정한 내용과 주제를 어떻게 논리적으로 체계화하고 전개해 나갈 것인가를 방법론적으로 찾아야 한다. 이 수업은 논문의 주제와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공부하는 수업이다.  수업참여자들은 학기말에 논문 연구계획서(Research Proposal)를 완성해야 한다.

This seminar on thesis writing is a course designed for graduate students to explore both the methodology and structure involved in writing a thesis. A thesis is the result of extensive inquiry and research, organized into an academic text. It not only requires intellectual depth in terms of content, but also demands logical coherence and structure in its methodological approach.

Students intending to write a thesis must first determine their topic and content, and gather a substantial amount of material and objective factual data. They must then identify a methodological framework to logically and systematically develop and present their chosen subject matter.

This course focuses on how to select a thesis topic and how to approach the writing process. By the end of the semester, all participants are expected to complete a research proposal outlining their thesis project.

연기예술 I ( art of Acting ) 본 수업에서는 연기에 관한 다양한 아이디어들, 접근방법들 그리고 기초 훈련들에 대해 다룬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연기에 관한 다양한 기초 지식과 창의력 및 통찰을 터득한다. This class deals with diverse ideas, methods, and basic training about acting. The students obtain diverse basic knowledge, creativity, insight into the art of acting.
뮤지컬 발성 테크닉 I ( Musical Vocalization Technique I ) 본 과목은 전문적인 방법으로 뮤지컬 노래를 실제로 부르기 위한 발성테크닉과
다양한 뮤지컬 넘버들을 학생이 직접 분석, 이해함으로
무대에서 뮤지컬 배우가 되기 위한 노래와 발성을 배우는 것을 기초로 한다.
This course is a professional course To actually sing a musical song
Vocal Technique Department A lot of musical numbers with direct analysis, understanding To become a musical actor on stage
Based on learning singing and vocalization do.
오페라 코치 II ( Opera Coaching 2 ) 오페라 제작 과정에서 성악가와 피아니스트의 관계는 긴밀할 수밖에 없다. 성악가는 객관적으로 소리와 뉘앙스를 들어줄수 있는 것이 필요하며 피아니스트는 리허설시 오케스트라를 피아노로 연주하며 딕션 및 캐릭터를 잘 표현할수 있는 점을 코칭해 줄수 있어야 한다.많은 레퍼토어로 성악가와  피아니스트의 협력을 실습해 보는 교과목이다.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n opera, the relationship between a vocalist and a pianist is bound to be close. Vocalists need to be able to objectively listen to sounds and nuances, and pianists should be able to play the orchestra on the piano during rehearsals and coach them on how to express diction and characters well.It is a subject that practices the cooperation of vocalists and pianists in many repertoire languages.
서양연극사 ( History of Western Drama ) 이 연극사 강의는 공연예술 중에서 언어와 표현적 행위를 중심으로 하는 연극의 예술의 역사를 배우는 수업이다. 단지 시간의 연속의 의미와 사건의 기록을 공부하는 수업이 아니라, 각 시대의 철학과 연극미학을 언어와 몸으로 표현한 연극 예술가들의 철학과 개인에 영향을 끼친 시대적 환경과의 관련성을 공부할 것이다. 수업은 각 시대의 철학과 종교, 그리고 미학적이고 학문적 공연 이론, 각 시대의 극작가, 배우, 연출, 무대 디자인너, 그리고 공연비평가들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룰 것이다.

This Theatre History course focuses on the history of theatre as an art form within the performing arts, particularly emphasizing language and expressive physical action. It is not merely a chronological study of events or a record of historical occurrences. Rather, the course explores how the philosophies and theatrical aesthetics of each era were embodied through language and physical performance by theatre artists, and how these expressions were shaped by the socio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of their time.The course will delve deeply into the philosophies, religions, and aesthetic or scholarly performance theories of each period, as well as the works and contributions of playwrights, actors, directors, stage designers, and theatre critics throughout history.

성악언어학 ( Vocal linguistics ) 본 과정은 성악 언어학의 필수 과목으로 성악 언어 예술의 체계와 규율을 해설하였습니다.
 이 과정에는 중국과 외국의 성악 언어의 역사적 발전, 성악 및 성악 언어의 미적 특성, 성악 언어 내용 시스템 및 방법이 포함되어 있으며 성악 언어의 과학화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이 수행되었습니다.
This course is a required course in vocal music linguistics, which explains the system and discipline of vocal language art.
This course includ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vocal music language in China and foreign countries,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vocal music and vocal music language content system and methods, and an objective analysis of the scientification of vocal music language has been conducted.
뮤지컬 역사 I ( Musical History I ) 뮤지컬은 오랜 세월동안 민감한 대중을 중심으로 유연하게 발전을 거듭해 왔고, 현재 공연예술 장르 중에 가장 주목할 만한 분야가 되었다. 대중들이 뮤지컬을 좋아하게 된 것은 아마도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그 역사에 이유가 있을텐데 150년 넘는 역사를 간략하게 살펴봄으로써 우리가 접하는 작품들과 시장에 대한 이해를 입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Musicals have developed flexibly over the years, with a focus on sensitive audiences, and are now one of the most remarkable performing arts genres. The reason why the public has come to like musicals is probably because of their history of not being afraid of change, and by briefly examining the history of more than 150 years, we can approach the works we encounter and the market in a three-dimensional way.
뮤지컬 발성 테크닉 II ( Musical Vocal Technique II ) 본 과목은 전문적인 방법으로 뮤지컬 노래를 실제로 부르기 위한 발성 및 호흡, 
대사 전달을 배우게 된다.
또한 다양한 뮤지컬 노래들을 대학원생들이 직접 분석, 이해함으로 
무대에서 뮤지컬 배우로써 본인이 원하는 표현을 위해 노래와 발성을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subject teaches musical singing in a professional manner.
To actually sing, vocalize, and deliver lines. You will learn techniques
also
Graduate students sang various musical songs. On stage by directly analyzing and understanding
Each person's interpretation as a musical actor. 
Expressing yourself by singing songs. The purpose is to explain this subjec
연기예술 II ( Art of Acting II ) 이 과목은 장면연기에 관하여 수업한다. 학생들이 장면을 연기하기 위해 어떻게 작품을 분석하고 실행하는 지에 관하여 수업한다. 이 수업에서는 서양 고전 작품 1개와 한국 유명 희곡 1개를 다룬다. This class is about acting for scene. This class focuses on the analysis and performance of plays as an actor. A Western classic play and a Korean famous play will be worked.
공연예술종합실천 ( Comprehensive performing arts practice ) 과목 <공연예술종합실천>은 학생들이 동서양 음악 (오페라) 비교연구를 통해 작품을 분석하고 종합적으로 실천에 실행하는것에 관하여 수업을 전개한다. 이수업은 이론교육과 비교연구를 통해 1개의 공연작품을 완성하도록 한다. The subject <Comprehensive Performance Arts Practice> develops classes on students' analysis of work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Eastern and Western music (opera) and comprehensively implemented them. In this class, one performance work is completed through theoretical education and comparative research.
뮤지컬 역사 II ( Musical History II ) 공연예술의 꽃인 미국과 영국의 뮤지컬의 역사를 다루는 수업으로 2학기에는 격변의 시기를 지난 1990년대 초부터 2024년 현재의 브로드웨이의 움직임까지, 더 나아가 한국 뮤지컬 시장의 현주소까지 다루어보면서 우리가 창작자로써 배우로써, 또 공연관련 스태프로써 어떠한 시각으로 각각의 작품과 산업을 바라보아야 할지 인사이트를 배워봅니다. This class deals with the history of musicals in the U.S. and the U.K., the flower of the performing arts. In the second semester, we will learn insights on how we should look at each work and industry as creators, actors, and performance-related staff by covering the period of upheaval from the early 1990s to the current Broadway movement in 2024.
극장경영 수업은 극장의 전반적인 운영과 관리에 대해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연예술산업의 메카브로드웨이의 역사적 배경부터 현대 극장 경영의 실무까지 포괄적으로 다루며, 극장 경영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과 실무를 다룬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극장의 재정 관리, 마케팅 전략,프로그램 기획 등 다양한 경영적 측면을 학습하게 된다. The course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aters. It covers everything from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Broadway, the epicenter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to the practical aspects of modern theater management. The course focuses on equipping students with essential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required for theater management, including financial management, marketing strategies, and program planning.
오페라실습 I ( Opera Rehearsal I ) 오페라 나 뮤지컬 전체 오케스트레이션이 들어있는 악보는 흔히 스코어score 독일어로는 Klavierauszug 이탈리아에서는 Spartito 라고 부릅니다.국제적으로 많은 언어중에 이탈리아어가 음악적 용어로 소통이 되고 있어 Spartito라함은 오케스트라 총보로 소통이 됩니다. 뮤지컬 음악이나 오페라 음악에서 총보 오케스라의 분석은 필수적이며  공연에서의 음악을 보다 더 풍성하고 수준높고 예민하게 음악을 준비 할수있는 가장 기본적인 공부입니다. 오케스트라의 분석을 통해 싱어나 피아니스트들에게 보다 더 공연에 가까운 퀄리티의 연주준비를  할 수 있는 교과목입니다. The score that contains the entire orchestration of an opera or musical is commonly called a score, in German it is called Klavierauszug, and in Italian it is called Spartito. Since Italian is one of the many languages used internationally as a musical term, Spartito is communicated as an orchestral score. Analysis of the orchestral score in musical or opera music is essential and is the most basic study to prepare music for a performance more richly, at a higher level, and with greater sensitivity. This is a subject that allows singers and pianists to prepare for a performance with a quality closer to a performance through orchestra analysis.
발레 I ( BALLET ) 뮤지컬 과목에 필수 조건인 발레 수업 
배우의 기본자세,배우의 테크니컬 움직임,무대에서의 테크닉등
러시아 바가노바 베소드를 기본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a ballet class that is a prerequisite for musical subjects
The actor's basic posture, the actor's technical movement, the technique on stage, etcLectures based on the Russian Baganova Besod
브로드웨이역사 ( History of Broadway ) 뉴욕 브로드웨이는 전 세계에서 모인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예술가들이 활약하며,
상업성과 예술성, 전통과 혁신이 역동적으로 교차하는 세계 공연예술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해 왔다. 본 강의는 브로드웨이의 역사적 흐름을 연대기적으로 조망함으로써, 브로드웨이라는 문화적 공동체의 정체성과 진화를 탐색한다. 
각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 예술가, 산업적 변화, 그리고 사회적 맥락을 함께 분석하며, 브로드웨이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탐구한다. 이를 통해 수강생들은 단지 뮤지컬이나 연극 작품에 대한 이해를 넘어, 공연예술과 도시, 예술과 정체성, 대중성과 예술성 사이의 관계에 대한 폭넓은 통찰을 갖추게 된다.
Broadway in New York has become a global hub of performing arts, where artists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come together, and where commercial success and artistic ambition, tradition and innovation intersect in dynamic ways.
This course offers a chronological exploration of Broadway's historical development, focusing on how it has evolved as a cultural community and artistic institution.
Students will examine representative productions, influential artists, major industry changes, and the broader social contexts that shaped each era, in order to understand how Broadway has transformed over time.
By doing so, the course aims to foster a deeper understanding not only of musical and theatrical works, but also of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performance and the city, art and identity, and popular culture and artistic expression.
뮤지컬 연기 I ( Musical Acting I ) 본 수업에서는 뮤지컬에서의 독백과 아리아 연기에 대해 다룬다. 학생들은 배우의 관점에서 뮤지컬 작품의 분석, 이해, 그리고 극화에 대해 학습한다. This class deals with monologues and arias in the musical works. The students will study about analyzing, understanding, and dramatizing musical works from the actors point.
뮤지컬 성악 노래의 표현과 해석 I ( Expression and Interpretation in Musical theatre and Classical Vocal Performance I ) 이 과목은 뮤지컬과 성악(클래식 보컬)의 보컬 기법, 표현 방식, 해석 방법의 차이와 공통점을 비교·분석하여, 두 장르 모두에서 음악적·연기적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학생들은 각 장르에서 요구되는 발성법, 딕션, 감정 표현, 무대 표현 등을 실습을 통해 익히며, 다양한 레퍼토리를 통해 실제 적용 능력을 기르게 됩니다.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무대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 역량과 예술적 감각을 갖춘 보컬리스트 양성을 지향합니다. This course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vocal techniques, expressive methods, and interpretative approaches in musical theatre and classical vocal (opera) performance. The goal is to enhance students musical and dramatic expressiveness in both genres.
Through practical exercises, students will learn genre-specific vocal production, diction, emotional expression, and stage performance techniques. They will also develop the ability to apply these skills through a variety of repertoire selections.
오페라 실습 II ( Opera Practice II ) 오페라 제작 과정에서 성악가와 피아니스트의 관계는 긴밀할 수밖에 없다. 성악가는 객관적으로 소리와 뉘앙스를 들어줄수 있는 것이 필요하며 피아니스트는 리허설시 오케스트라를 피아노로 연주하며 딕션 및 캐릭터를 잘 표현할수 있는 점을 코칭해 줄수 있어야 한다.많은 레퍼토어로 성악가와  피아니스트의 협력을 실습해 보는 교과목이다.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n opera, the relationship between a vocalist and a pianist is bound to be close. Vocalists need to be able to objectively listen to sounds and nuances, and pianists should be able to play the orchestra on the piano during rehearsals and coach them on how to express diction and characters well.It is a subject that practices the cooperation of vocalists and pianists in many repertoire languages.
중급 발레 I ( an intermediate ballet ) 본 교과목은 발레의 직관적인 신체표현을 통해 창작의 안목과 구상력을 확장시키기 위한 중급발레를 실습을 한다. 기본적으로 바 센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바(bar) 대해 학습하고, 유연성과 순발력에 대한 센터(center)훈련을 하며, 발레음악에 대한 분절적 리듬분석 트레이닝을 통해 무대에서의 필요한 몸 움직임과의 교감을 이끌어낸다 This course practices intermediate ballet to expand the perspective and imagination of creation through intuitive body expression of ballet. Basically, to help you understand the bar center, you learn about the bar, conduct center training on flexibility and quickness, and draw communication with the body movements required on stage through segmental rhythm analysis training on ballet mus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