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학과
커피전공
단국대학교 커피학과는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커피 단일 전공 학과이다.
커피를 단순한 기호식품의 차원을 넘어 학문적 연구와 산업적 가치의 영역으로 확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학과는 커피의 기원과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는 인문학적 접근에서부터, 원두의 특성과 성분, 품질을 화학적으로 분석하는 과학적 탐구, 그리고 로스팅, 블렌딩, 브루잉을 포함한 실무적 기술까지 포괄하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원생들은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생두가 가진 잠재력을 발견하고, 열과 화학 반응을 함께 이해하며, 원두의 개성을 살려내는 로스팅 기술을 습득할 수 있으며, 다양한 원두의 조합을 통해 풍미와 향의 조화를 이끌어내는 블렌딩 과정을 학습하고, 물, 온도, 시간, 압력 등 추출의 모든 변수를 연구하여 최상의 맛을 구현하는 브루잉 기술을 익히게 된다. 과학적 기술을 통하여 학문적 이론과 실습이 균형을 이루는 전문적 역량을 갖춘 커피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다.
아울러 단국대학교 커피학과는 급속히 성장하는 글로벌 커피 산업의 흐름에 발맞추어, 창의성과 실무 능력을 겸비한 인재를 양성하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학문적 탐구와 현장 중심 교육을 결합하여, 졸업생들이 커피 산업의 다양한 분야에서 학술 연구자ㆍ품질 관리 전문가ㆍ바리스타ㆍ창업가ㆍ교육자로 활약할 수 있도록 다방면의 진로를 지원하고 있다.
단국대학교 커피학과는 앞으로도 커피를 매개로 한 학문적 성취와 산업적 발전을 동시에 이끌어가며, 커피로 세상을 이해하고, 커피로 사랑과 소통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커피인문학 / 커피추출방법론 / 커피아로마연구 / 커피로스팅 / 커피추출원리와실제 / 커피경영학 / 커피로스팅방법론연구 / 커피향미관능평가 / 커피교수법 / 커피추출세미나 / 커피로스팅세미나 / 스폐설티커피연구 / 커피장비연구 / 커피화학연구 / 커피생두가공 / 커피대회연구
구분 |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전공 | 073866 | 커피향미관능평가 | 3 |
전공 | 073995 | 커피인문학 | 3 |
전공 | 075434 | 서비스경영론 | 3 |
전공 | 075651 | 커피의 향미 기초과정 | 3 |
전공 | 075857 | 커피의 향기 | 3 |
전공 | 075858 | 커피와 건강 | 3 |
전공 | 075859 | 커피추출 원리연구 | 3 |
전공 | 075860 | 커피로스팅 테크닉연구 | 3 |
전공 | 076000 | 에스프레소추출 원리 연구 | 3 |
전공 | 076001 | 실전 커피로스팅 연구 | 3 |
전공 | 076002 | 커피추출 설계 연구 | 3 |
전공 | 076003 | 커피화학 기초 | 3 |
전공 | 076004 | 커피 과학 세미나 | 3 |
전공 | 076177 | 그린커피 향미 결정요소 연구 | 3 |
전공 | 076190 | 커피의 맛 | 3 |
전공 | 076191 | 커피화학 심화 | 3 |
전공 | 076478 | 커피생리학 | 3 |
전공 | 076560 | 커피와문학 | 3 |
전공 | 076773 | 커피성분분석 | 3 |
준 비 중 입 니 다
교과목명(영문명) | 교과목개요(한글) | 교과목개요(영문) |
커피향미관능평가 ( Sensory evaluation of coffee flavor ) | 후각과 미각을 사용하여 커피의 향미특성을 다양한 목적에 맞는 구별법을 기반으로 실습하고 그 활용방법를 연구하며 커피를 관능평가해 본다. | Using the sense of smell and taste, practice the flavor characteristics of coffee based on a distinction method suitable for various purposes, study its application method, and evaluate coffee sensibly. |
커피인문학 ( Coffee humanities ) | 바야흐로 커피를 물보다 많이 마시는 시대이다. 커피애호가로서 커피를 마시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반길 일이 아닐 수 없다. 한편으로는 커피가 몸을 일깨우는 도구로 전락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들기도 한다. 건강을 돕는 약으로서 우리에게 다가와 음식이 되고, 사막을 건너는 배두인들의 밤을 지켜 준 커피. 그것은 또한 사람들을 주변으로 불러모아 소통의 소중한 시간을 만들어 준 기호음료이기도 했다. 그러나 대량 생산을 불러온 산업혁명 이후 커피는 노동자들을 밤새워 일하게 만드는 자본가들의 착취에 동원됐으며, 제국주의자들에게 엄청난 부를 안기는 무역상품으로 등장하면서 식민지 작물로 악명을 떨치기도 했다. 1차,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커피는 전쟁에서 카페인의 위력을 경험한 제대 군인들을 통해 전 세계 곳곳으로 퍼져 일상에 파고 들었다. 동시에 전후 복구를 위한 산업현장에서는 노동자들의 밤샘 작업을 독려하는 생산도구로 활용됐다. 이즈음부터 모닝커피가 루틴이 된 것으로 보인다. 덜 깨어난 몸을 카페인으로 억지로 일으켜 세워 직장으로 발을 떼게 하는 모닝커피는 어찌 보면 향기 뒤에 숨은 유혹이라 할 수 있겠다. 커피에게 묻고 싶다. 도대체 너의 정체는 무엇이냐 너의 무엇이 나의 깊은 곳을 움직이게 하는가?, 너로 인해 떨고 있는 나는 또 무엇인가? 커피를 마주할 때는 드는 수많은 생각들이 비로소 우리를 묵상으로 이끌어 준다. 커피인문학은 대학원생들로 하여금 커피를 실체로서 탐구하고, 자신을 대상으로 삼아 깊이 사유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정신의 파편을 모은 것이다. 조각들을 모아 진리에 다가가는 것은 대학원생들의 몫이다. |
We are living in an era where people drink more coffee than water. As a coffee lover, it’s heartening to see the growing number of people who enjoy coffee. At the same time, one can’t help but worry whether coffee is being reduced to a mere tool for staying awake. |
서비스경영론 ( Service management ) |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확장되며, 치열한 경쟁 상황하에서 외식기업은 그들의 지속경영과 생존을 위해 보다 더 서비스 지향적인 노력에 주력하고 있음을 고려하여, 본 교육을 통해 서비스 경영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재 조명하고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과 측정 및 서비스 품질의 증대와 서비스 프로세스의 효율성 등에 이론적/실무적 지식을 겸비 하토록 하여 서비스 산업 경영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
The proportion of the service industry is expanding, considering that food service companies are concentrating on more service-oriented efforts for their sustainability management and survival in the fierce competition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education is to cultivate service industry management experts by re-evaluating the overall contents of service management, developing and measuring new services, increasing service quality, and providing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on the efficiency of service processes. |
커피의 향미 기초과정 | ||
커피의 향기( Aroma of coffee ) | 식품의 향을 통해 커피의 향기에 대해 연구한다. | aroma of coffee through the study of food aromas. |
커피와 건강 ( Coffee and health ) | 커피가 건강에 미치는 성분을 이해하고 그 영향을 연구한다. | components of coffee that affect health and investigates their impact. |
커피추출 원리연구 ( A study on the principle of coffee extraction ) | 다양한 커피 추출 도구 및 변수에 따른 현상을 살피고 연구한다. | explores and investigates the effects of various coffee extraction tools and variables. |
커피로스팅 테크닉연구 ( A study on coffee roasting technique ) | 커피로스팅의 기본 기술 및 실전 테크닉을 익히고 훈련한다. | Learn and practice the fundamental techniques and practical skills of coffee roasting. |
에스프레소추출 원리 연구 ( A study on the principle of espresso extraction ) | 에스프레소 추출 원리를 알고서 다양한 추출현상을 살피고 연구하며 바리스타대회용 에스프레소 추출을 설계한다. | Knowing the principle of espresso extraction, we examine and study various extraction phenomena, and design espresso extraction for barista competitions. |
실전 커피로스팅 연구 ( A study on actual coffee roasting ) | 커피로스팅의 실무 테크닉과 블렌딩 방법과 기술을 응용하고 연구한다. 새로운 커피맛을 창출해 내기 위하여 다양한 로스팅 프로파일을 설계하고 연구한다. | It applies and studies practical techniques and blending methods of coffee roasting. Various roasting profiles are designed and studied to create new coffee flavors. |
커피추출 설계 연구 ( A Study on coffee extraction design ) | 다양한 커피 추출 도구 및 변수에 따른 현상을 살피고 커피의 추출 방법과 원리를 기반으로 추출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방법을 실습하고 연구한다. | We examine the phenomena according to various coffee extraction tools and variables, and practice and study how to design and implement extraction based on the extraction method and principle of coffee. |
커피화학 기초 ( basic coffee chemistry ) | 커피의 성분과 향미물질 그리고 로스팅에 의한 성분의 변화 등을 학습하는데 필요한 화학적인 소양을 비전공자들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한다. |
It explains the chemical knowledge needed to learn the ingredients and flavors of coffee and the changes in ingredients by roasting so that even non-majors can understand. |
커피 과학 세미나 ( coffee science seminar ) | 커피에 대표적인 논문과 최신 연구 논문의 리뷰와 세미나를 통해 최신의 연구 결과를 이해하고, 연구 주제의 선정이나 연구 방법의 선정 능력을 키운다. | Through seminars and reviews of representative papers and recent research papers in coffee, students understand the latest research results and develop the ability to select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
그린커피 향미 결정요소 연구 ( A study on the flavor determinants of green coffee ) | 커피 시장의 확대로 커피소비는 늘어나고 있다. 한 잔의 커피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그린커피는 향미를 크게 좌우하는 것 중의 하나이다. 어떤 품종의 씨앗을 어떤 환경에서 재배, 수확, 가공, 저장, 유통되어 우리 손에 오기까지의 전과정을 살피며 그린커피에 대한 기본 지식을 익히고, 또 내재된 그린커피의 향미와 특성을 알고 선별해 낼 줄 아는 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 | As the coffee market expands, coffee consumption is increasing. Green coffee used to make a cup of coffee is one of the things that greatly influence the flavor. The purpose is to examine the entire process of growing, harvesting, processing, storing, and distributing seeds of a certain variety in a certain environment, and to develop the ability to know and select the inherent flavor and characteristics of green coffee. |
커피의 맛 ( coffee taste ) | 한 잔의 커피에 추출된 커피 성분은 1.4% 이하인 경우가 많은데, 미각을 통해 감각되는 성분은 쓴맛 물질이 많다. 쓴맛 물질은 자체는 대부분 사람이 싫어하는 편인데, 다른 향미와 어울리면 음식 맛에 강렬함과 힘을 부여한다. 수업을 통해 향미 성분의 화학, 미각의 생리학, 맛의 심리학 등을 학습하여 커피의 맛을 입체적으로 이해 할 수 있다. | A cup of brewed coffee often contains less than 1.4% coffee solid, and the majority of what we perceive through our taste buds are bitter substances. Bitter substances are generally disliked by most people, but when combined with other flavors, they give food flavors intensity and power. In this course, you will learn the chemistry of taste and flavor components, the physiology of gustation, and the psychology of taste, so that you can understand the flavor of coffee in a three-dimensional way. |
커피화학 심화 ( Advanced Coffee chemistry ) | 커피의 맛 성분이나 향미성분 등을 논물을 통해 깊이 있게 공부하거나, 관련 논문을 쓰려고 하면 충분한 화학적 소양이 필요하다. 하지만 화학의 범위가 너무 넓어서 비전공자는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할지 파악이 쉽지 않다. 커피를 심도있게 공부하는데 필요한 화학적 지식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과정을 구성했다. | If you want to study coffee flavors and aromas in depth, you need to have a good chemical basis. However, the scope of chemistry is so broad that it is difficult for non-majors to understand how to study it. This program course have organized so that you can systematically learn the chemical knowledge needed to study coffee. |
커피생리학 ( Physiology of the Coffee Tree ) | 커피 나무에서 꽃이 피는 과정부터 열매(커피 체리)가 형성되는 과정까지의 생리학적 변화를 학습하여 커피 체리의 일반 성분과 향미 물질의 전구체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그 과정을 이해한다. 그리고 그것이 커피의 최종 품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이해한다. | By learning the physiological changes from flowering of a coffee tree to the process of forming fruit (coffee cherries), you will understand the process of how the general ingredients of coffee cherries and the precursors of flavor substances are made. And understand how it affects the final quality of the coffee. |
커피와문학 ( Coffee and Literature ) | <커피와 문학>은 커피의 기술적 측면을 넘어 그 문화적, 역사적 맥락을 깊이 있게 탐구함으로써, 학제간 연구의 중요성을 실천적으로 보여준다. 문학 작품 속 커피의 표현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원생들은 커피가 지닌 사회적 의미와 상징성을 이해할 수 있다. 이는 현대 커피 산업에서 중요한 브랜드 스토리텔링과 마케팅 전략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
The 'Coffee and Literature' course goes beyond the technical aspects of coffee, exploring its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in depth,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By analyzing coffee's representation in literary works, graduate students gain insight into its social significance and symbolism. This knowledge can be applied to brand storytelling and marketing strategies crucial in the modern coffee industry. |
커피성분분석 ( Coffee Composition Analysis ) | 커피 속 성분들을 분석하는 장비들의 종류와 원리, 분석방법에 대해서 배운다. 목적하는 성분을 분석할 때 필요로 하는 장비들이 다른 이유와 장비별 분석범위, 원리, 각 장비에 맞는 분석방법을 배워 카페인, 농도, 수분율, 당류, 색도 및 입도 등 다양한 분석이 필요한 이유를 알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Learn about the types, principles, and analytical methods of equipment used to analyze coffee components. Understand why different equipment is required for analyzing specific target components, along with each device's analytical range, operating principles, and suitable analytical methods. Develop the ability to perform various analyses—such as caffeine content, concentration, moisture content, sugars, color, and particle size—and comprehend the reasons behind the necessity for these analyses. |
준 비 중 입 니 다
- 대학 홈페이지 add
- 대학원 홈페이지 add
- 부속/부설기관 홈페이지 add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