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뷰
게시판 뷰페이지
이정환 교수,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 회원 선출

△ 이정환 교수

우리 대학 이정환 교수(치의예과)가 우리 대학에선 처음으로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이하 Y-KAST) 의약학부 분야 회원으로 선출됐다.


우리나라 과학기술계 최고 석학기관인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13일 과학기술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성과를 발표하며 두각을 나타낸 젊은 과학자 26인을 ‘2023년도 Y-KAST 회원’으로 선출했다.


이 교수는 생체재료학 분야의 떠오르는 신진 연구자로 재생용 이식 생체재료 개발 및 재생 메카니즘을 규명했으며 최근 2년간 「Progress in material science, (IF=48.1)」, 「Matter, (IF=19.9)」, 「Biomaterials, (IF=15.3)」 「Bioactive Materials, (IF=16.8)」,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IF=16.7)」 등 IF 10점 이상의 저명 학술지에 논문 13편을 주저자로 발표했다.


특히, 나노(Nano)입자와 메카노(Mechano)인자를 조절한 생체재료의 개발 및 조직재생 적용에 관한 연구로 생체재료 분야 저명 학술지인 「Biomaterials」에 9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며 그 우수성을 검증받았다.


△ 이정환 교수가 생체 내에서 다양한 조직재생을 촉진시키는 메카노인자 조절 전자기장 장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교수는 “우리 대학의 기초 치의학 연구 역량을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주신 한림원 회원님들께 감사드린다”며 “기능성 생체재료 및 첨단 바이오 융복합제제 개발 연구를 지속하여 K-Bio를 리딩하는 연구중심 단국대가 되기 위해서 앞으로 더 정진하겠다”라고 했다.


우리 대학 치과대학을 졸업하고 2018년 우리 대학에 부임한 이 교수는 조직재생공학연구원 덴탈메디슨 조직재생센터 센터장, 기초의과학분야(MRC) 메카노바이올로지 치의학 연구센터 부센터장, BK21+ 나노바이오 재생의과학 글로벌 연구단장을 맡고 있으며 생체재료의 물리, 화학, 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임상적 활용가능성을 탐색하는 기초 치의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만 43세 이하의 학문적 성과가 뛰어난 젊은 연구자 중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은 차세대 과학기술리더를 Y-KAST 회원으로 선출하고 있다.


  • 전체 51 |
  •  페이지 3/8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임상실기교육센터 개소(21.08.19)

2021.08.20

602

인기글

김수복 단국대 총장, 이해형 치과대학 학장, 김종수 치과병원 병원장, 이준영 본과4학년 학생 대표 및 여러 보직교수들이 참석한 가운데 치과대학 임상실기 교육센터를 개소하였다. 치과대학 임상실기교육센터는 2021년 부터 시행되는 치과의사 국시 임상실기 시험 및 교육을 위해 필요한 시설로 올 상반기에 약 6억5천만원의 비용을 들여 최첨단으로 설립하였다. 본 실기교육센터에는 각각 6개의 독립 진료실과 방송조정실, 준비실, 대기실로 구성되어 앞으로 치과대학의 임상교육과 국가시험 대비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치과대학 치의학교육실

단국치대, 선도연구센터 의약학분야 선정

2021.06.23

734

인기글

7년간 총 98억 규모 정부 지원 연구 진행 ‘메카노바이올로지’ 주제로 융합 연구 물꼬 ▲ 단국치대가 2021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선도연구센터 의약학 분야에 최종 선정됐다. 단국치대(학장 이해형)가 2021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 선도연구센터 의약학분야 (Medical Research Center·이하 MRC)에 최종 선정됐다. MRC 센터명은 ‘메카노바이올로지 치의학 연구센터’로, 김해원 교수가 연구책임을 맡고 향후 7년간 매년 14억씩 정부의 지원을 받아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MRC는 과기부 선도연구센터 중 하나로, 의대, 치대, 약대, 한의대가 있는 대학에 정부가 기초의약학 연구를 장려하고, 기초의과학자를 육성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단국치대가 MRC에 선정됨으로써, 치의학 분야는 기존 5개에서 6개로 늘어나게 됐다. 단국치대 MRC 센터에서 수행하게 될 연구 주제인 ‘메카노바이올로지(Mechanobiology)’는 ‘메카노(Mechano)’와 ‘바이올로지(Biology)’의 합성어로 국내에서는 다소 생소한 개념이다. 하지만,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발생과 분화, 조직 재생, 암 전이, 면역반응, 노화 등 다양한 생명현상과 질병의 기전을 해석하고 새로운 치료법을 찾기 위해 그 중요성이 최근 크게 대두되고 있는 학문 분야이다. 생리 병리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물리적 역학적인 인자에 중요성을 두고, 이를 제어함으로써 조직의 손상과 질환을 치료하고자 하는 것이다. 센터는 치대 기초-임상 연구진과 의대, 과학기술대 교수진 등 융합 연구진이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눠 연구를 진행한다. 1그룹에서는 메카노바이올로지의 통합적 관점에서 안면 및 구강 조직의 현상을 이해하고 관련된 메카노 기전을 규명하며, 2, 3그룹에서는 이정환, 이준희 교수 등이 중심이 돼 3D 상황 및 동물모델에서 메카노 현상을 탐구하고, 기능성 세포치료제 연구도 진행한다. 특히 최유성, 신지성 교수 등 치대 임상 교수진이 환자 샘플, 박종태 교수가 컴퓨터 모델링을 통한 해부학적 데이터를 각각 지원할 계획이다. 센터는 또한 6개 해외기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글로벌 센터로 자리매김할 계획도 세우고 있다. MRC 센터는 앞으로 7년간 연구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논문과 특허 및 기술이전 뿐 아니라 우수한 기초의과학자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DREAM Scientist’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된다. 이해형 단국치대 학장은 “치대 졸업생들이 보다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기초의과학자의 길로도 갈 수 있는 안정적인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번 MRC 선정을 통해 이것이 가능해졌다”며 “MRC사업은 모교 치과대학 설립 이후 전 구성원의 염원이 담겨진 사업으로, 참여교수진 뿐 아니라 치과대학 임상·기초 교수진이 협심해 융합연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통해 연구중심 치과대학이 되는데 좋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http://www.dailydental.co.kr/mobile/article.html?no=115836

치과대학 치의학교육실

치과대학 김문영 교수,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올해 최우수 심계학술상 수상

2021.05.13

396

▲ 치과대학 김문영 교수 치과대학(학장 이해형)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김문영 교수가 지난 4월 23일(금) ~ 29일(목)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된 제62차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종합학술대회 및 정기총회에서 심계학술상을 수상했다. 심계학술상은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초대 학회장인 故 심계 이춘근 교수의 뜻을 이어받아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에 우수한 논문을 게재한 연구자들 중 그 공로가 가장 뛰어난 연구자를 매년 선정해 수여하고 있다. 김문영 교수는 단국대학교와 동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2016년 한국 최초로 국제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자격증을 취득하였으며, 현재 UCL이스트만 해외기관 유치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조직재생공학연구소 중점연구소 후속사업 (교육부), 올해 3월달에 수주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 우수신진연구(6.2억/5억)선정을 통해 구강암, 종양, 약물관련 악골괴사증 등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치과대학 치의학교육실

구강악안면외과학 교실 김문영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연구지원사업 선정

2021.03.29

375

▲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교수 김문영 치과대학 (학장 이해형)의 김문영(치의학과 구강악안면외과학 교실) 조교수가 2021년도 상반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연구지원사업(우수신진연구)에 신규 선정되었다. 김문영 교수는 “miRNA 분석을 통한 약물 관련 악골괴사증 (MRONJ) 환자에서 식립가능한 환자 맞춤형 치과임플란트 개발”(6억2천만원/5년)을 주제로 골다골증약을 먹는 환자에게서 특이적으로 생기는 악골괴사증 (주로 치아를 뺀 이후, 턱뼈가 재생되지 않고 괴사되는 증상)의 이유를 유전학 또는 단백질학적 분석을 통해 밝히고, 이를 치료할 수 있는 재생 전략을 생체재료 또는 약물과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현재 단국대학교 치과대학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수신진 및 중견연구자를 6명 (이해형, 장영주, 김해원, 송민주, 김문영, 이정환)으로 확대하였다. 이를 임상/기초교수님들의 개인 기초/임상 연구 연구 역량을 서포트 하여 2배 확대하여, 연구중심 치과대학으로 Shift하고자 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치과대학 치의학교육실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문은수(치의83학번)동문

2021.03.15

499

지난 11일(목) 총동창회(회장 이상배)는 문은수 동문(치의학과 83학번, 천안 문치과병원 대표원장)과 엄재열 동문(공업화학과 99학번, 진원피앤씨(주) 대표)을 올해의 「자랑스러운 단국인」에 선정했다. 행사는 코로나19를 고려해 발열 체크, 마스크 착용 등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및 방역수칙을 준수하여 간소하게 진행됐다. △ 지난 11일(목) 오후 4시 죽전캠퍼스 「대양 이상배 강의실」에서 열린 제19회 자랑스런 단국인상 시상식 모습 시상식에는 장호성 이사장, 김수복 총장, 이상배 총동창회장, 안응모 총동창회 고문, 윤석기 전 총동창회장, 방장식 상임이사 및 수상자인 문은수 동문과 엄재열 동문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참석자들은 활력있는 동문 네트워크 활동과 모교 사랑을 다짐했다. △이상배 회장은 모교와 동문 사회에 애정을 보여준 문은수 동문(왼쪽)과 엄재열 동문(오른쪽)에게 감사의 마음을 담아 자랑스런 단국인상을 전달했다. △ 수상 소감을 밝히고 있는 문은수 동문(왼쪽)과 엄재열 동문(오른쪽) 모습 공업화학과를 졸업한 엄 동문은 1992년 건축 도장분야 전문기업 ㈜진원케미컬[現 진원피앤씨(주) 전신]을 창업해 국내 굴지 중견기업을 경영하고 있다. 엄 대표는 지난해 ‘건설의 날’을 기념해 우수한 기술력과 지속적인 경영혁신을 인정받아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 한 바 있다. 또한 엄 동문은 2019부터 모교 총동창회 단문장학회 재단 이사를 역임하고 있다. 문 동문은 치의학과를 졸업 후 1995년 「문은수 치과병원」(충남 천안 소재)을 개원해 지역 주민들을 위한 의료복지 개선에 힘써 왔다. 특히 문 동문은 지난 2002년 「한아의료재단」을 설립해 장학사업은 물론 의료사각지대에 있는 불우이웃을 위한 봉사활동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 축사를 전하고 있는 김수복 총장(왼쪽)과 이상배 총동창회장(오른쪽) 모습 이상배 회장은 “자랑스런 단국인상을 수상하신 문은수 동문과 엄재열 동문께 진심으로 축하드린다”며 “모교와 후배 사랑을 실천해준 문은수 동문과 엄재열 동문께 23만 단국인을 대표해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김수복 총장은 “모교를 빛낸 두 분 동문께 모든 단국인의 자부심을 담아 자랑스런 단국인상을 드릴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단국인으로서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모교 후배들을 격려해 주시길 바란다” 고 밝혔다.

치과대학 치의학교육실

단국.원광.부산.서울.전북치대 교육평가 인증

2021.03.09

443

지난해 치의학교육 인증평가를 받은 단국치대, 원광치대, 전북치대, 부산대 치전원,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등 5개 치의학교육기관이 지난 3월 4일 2020년 치의학교육 평가인증 인증서를 받았다. 이날 치평원 이사장을 맡고 있는 이상훈 협회장이 전달식을 주재했다. 단국대 치과대학은 2021.3.1~2025.2.28일까지 4년의 인증기간을 확보하였다. 치과대학 이해형 학장님도 코로나 방역수칙을 지키면서 인증식에 참여하였다. ▲ 치의학교육 평가인증 인증서 전달식 링크: 단국‧원광‧부산‧서울‧전북치대 교육평가 인증 (dailydental.co.kr)

치과대학 치의학교육실

도레미 교수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창 수상

2021.01.06

647

파일 인기글

단국대학교 치과대학(학장 이해형) 및 치과대학병원 (병원장 김종수) 통합치의학과에 재직중에 있는 도레미 교수가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 주최 제48회 보건의 날 기념을 맞이하여 2020년 12월 16일 표창장을 수여하였다. 도레미 교수는 2012년도부터 본 대학에 재직하면서 현재 충남권역구강진료센터 센터장으로 전신마취나 진정마취를 요하는 중증 장애인 환자의 치과치료를 담당해왔었다. ▲ 보건의 날 보건복지부 표창장을 받은 도레미 교수 ▲ 제 48 회 보건의 날 기념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

치과대학 치의학교육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