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뷰
게시판 뷰페이지
이정환 교수,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 회원 선출

△ 이정환 교수

우리 대학 이정환 교수(치의예과)가 우리 대학에선 처음으로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이하 Y-KAST) 의약학부 분야 회원으로 선출됐다.


우리나라 과학기술계 최고 석학기관인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13일 과학기술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성과를 발표하며 두각을 나타낸 젊은 과학자 26인을 ‘2023년도 Y-KAST 회원’으로 선출했다.


이 교수는 생체재료학 분야의 떠오르는 신진 연구자로 재생용 이식 생체재료 개발 및 재생 메카니즘을 규명했으며 최근 2년간 「Progress in material science, (IF=48.1)」, 「Matter, (IF=19.9)」, 「Biomaterials, (IF=15.3)」 「Bioactive Materials, (IF=16.8)」,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IF=16.7)」 등 IF 10점 이상의 저명 학술지에 논문 13편을 주저자로 발표했다.


특히, 나노(Nano)입자와 메카노(Mechano)인자를 조절한 생체재료의 개발 및 조직재생 적용에 관한 연구로 생체재료 분야 저명 학술지인 「Biomaterials」에 9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며 그 우수성을 검증받았다.


△ 이정환 교수가 생체 내에서 다양한 조직재생을 촉진시키는 메카노인자 조절 전자기장 장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교수는 “우리 대학의 기초 치의학 연구 역량을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주신 한림원 회원님들께 감사드린다”며 “기능성 생체재료 및 첨단 바이오 융복합제제 개발 연구를 지속하여 K-Bio를 리딩하는 연구중심 단국대가 되기 위해서 앞으로 더 정진하겠다”라고 했다.


우리 대학 치과대학을 졸업하고 2018년 우리 대학에 부임한 이 교수는 조직재생공학연구원 덴탈메디슨 조직재생센터 센터장, 기초의과학분야(MRC) 메카노바이올로지 치의학 연구센터 부센터장, BK21+ 나노바이오 재생의과학 글로벌 연구단장을 맡고 있으며 생체재료의 물리, 화학, 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임상적 활용가능성을 탐색하는 기초 치의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만 43세 이하의 학문적 성과가 뛰어난 젊은 연구자 중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은 차세대 과학기술리더를 Y-KAST 회원으로 선출하고 있다.


  • 전체 51 |
  •  페이지 4/8
단국대 치과대학 김은경 교수 복지부 장관상 수상

2020.12.21

305

우리 치과대학에 재직중인 김은경 교수(단국치대 영상치의학교실)가 ‘2020년 의료방사선 안전관리 및 특수의료장비 설치·운영 유공자포상’에서 의료방사선 안전관리 부문 보건복지부 장관표창을 수상했다. 김은경 교수는 △치과방사선 촬영종류별 진단참고수준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정책연구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촬영장치의 안전한 사용에 관한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정책연구 △유럽연합의 방사선 방어 시리즈 No.172 ‘치과용 콘빔CT 근거기반 가이드라인’ 번역 등 진단용 의료방사선 안전관리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 김은경 교수

치과대학 치의학교육실

치과대학 박종태교수, “교육부장관상 수상”-2020년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50선정

2020.12.18

661

파일 인기글

박종태 교수(치과대학 치의예과)가 2020년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50선에 선정되어, 지난 12월 17일(목) 한국연구재단 대전청사에서 교육부장관상(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 시상)을 수상했다. 위 상은 지난 2019년 학술·연구지원사업 성과물 21,505건 중 공모와 추천으로 접수된 156개 후보 중 인문사회 분야 30건, 한국학분야 5건, 이공 분야 15건이 선정되었으며, 그 중 박종태 교수의 “VR기반 영어발음 및 의사소통 함량을 위한 시제품 제작”이 우수성과 중 융합연구분야부문에 선정되었다.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50선」은 지난 2006년부터 매년 진행해온 교육부는 학문의 발전과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해 온 학술연구지원사업의 우수한 성과를 널리 알리고, 연구자들의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날 박 교수는 “교육부 장관상은 교수인 저에게 그 어떤 상보다 큰 의미가 있다. 이 상에 만족하지 않고 학생들의 학습환경 발전을 위해 이공계 및 인문사회분야와의 융합연구를 끊임없이 도전할 것”이라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 박종태 교수 박 교수는 다양한 분야를 융합하는 융합연구를 주도해가고 있으며, 2019년도에 미래창의융합연구소의 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또한 2020년에는 연구재단 주관 융합연구학회에서 2대 회장으로 취임하여 학제간 연구를 통해 새로운 학문 영역을 확장하는데 힘쓰고 있다. ▲VR 시제품 시연 ▲ L/R 영어발음 연습 화면

치과대학 치의학교육실

조인호 전학장님(오스템 교육연구원장), 강두원(오스템 전무이사)패컬티 세미나 협조 요청 차 모교 방문

2020.12.15

494

『패컬티 세미나(단국치대의 날) 협조 요청』 일시 : 2021년 4월 24일(토) 오후 2시-오후6시30분(세미나 후 저녁식사) 장소 : 오스템임플란트 마곡 신사옥 4층 대강당(9호선 혹은 공항철도 마곡나루역 2번출구) 연자 : 총8분(20분 발표, 10분 토론) 단국대 치대 교수님 및 개원동문 중 임플란트 관련된 연구 혹은 임상에 관한 지견 발표 (연자 분들께는 소정의 강연료, 교통비 및 경품 제공) 좌장의뢰 : 학장님, 병원장님 (총4분 예정) 패컬티 세미나란? 오스템 임플란트에서 운영하는 연수회에 관여하는 치과의사 혹은 치과 임플란트 및 Digital dentistry에 관심이 많은 치과의사들이 모여서, 그 분야를 연구하고 토론하기 위한 세미나 모임

치과대학 치의학교육실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유현준 교수, 발전기금 7천만원 약정

2020.12.08

381

올해 치과대학에 부임한 유현준 교수가 발전기금 7천 360만 원을 약정했다. 유 교수의 발전기금은 ‘치과대학백동헌교수장학금’에 적립되어 재학생들의 학업 장려를 위한 장학금으로 사용된다. ▲ 유현준 교수 유 교수는 "재학 당시 치과대학 백동헌 교수님에게 학업을 수학하면서 백 교수님의 제자 사랑에 대한 진심어린 마음이 담긴 장학금 취지에 공감하였고, 장학금 수혜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옆에서 지켜보며 제자 사랑에 대한 백동헌 교수의 뜻에 미력하나마 보탬이 되고자 기부를 결심했다"고 말했다. 예방치과 및 공중구강보건학 분야의 연구 교육 활동을 펼치고 있는 유현준 교수는 충남, 세종 지역 장애인 시설에 대한 의료봉사활동과 라오스 등 해외 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쳐왔으며, 이에 국민 구강보건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충남도지사 표창 및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받은 바 있다. 현재는 대한구강보건협회 총무이사 및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이사를 맡고 있다.

치과대학 치의학교육실

아.태 교정학회 부회장에 정동화 교수

2020.12.02

301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에서 재직중이신 정동화 교수님이 아시아태평양 교정학회(Asian Pacific Orthodontic Society·이하 APOS) 부회장에 선출됐다. 정동화 교수님은 2020년 교정학회를 대표해 APOS 위원회 회원으로 임명된 바 있으며, 최근 이를 계기로 부회장에 당선됐다. 임기는 2022년까지다. 특히 이번 정동화 교수님의 취임은 최근 APOS의 국제적 영향력이 급성장함에 따라, 교정학회의 세계적 위상을 높이고 선도적 역할을 입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있다. 오는 2022년 서울 코엑스에서 교정학회와 공동 개최 예정인 Asian Pacific Orthodontic Conference(APOC)의 대회장으로서도 활약한다. 치의신보: 아·태 교정학회 부회장에 정동화 교수 (dailydental.co.kr) ▲ 정동화 교수(치과 교정과)

치과대학 치의학교육실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차경석 교수 정년 기념 강연(2020.06.17)

2020.08.04

748

인기글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차경석 교수 정년 기념 강연(2020.06.17) 2020년 6월 17일 연송홀에서 차경석 교수님의 정년기념 마지막 강의가 치과대학 본과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있었습니다. 차경석 교수님은 1982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과 전공의를 수료한 뒤 1993년 단국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육 연구부장을 시작으로 단국대학교와 인연을 맺어 2020년을 끝으로 약 35년간의 교직생활을 마무리하셨습니다. 코로나 사태 속에서 마스크 착용과 철저한 온도체크를 통해 안전한 환경에서 행사가 진행되었고 많은 제자들과 동문, 현직 교수들이 함께하여 차경석 교수 님의 마지막 강연 후 지도학생의 편지낭독 및 감사장과 화환을 증정하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치의예과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이해형 교수

2020.07.09

843

인기글

대한치의학회와 (재)신흥연송학술재단이 주최한 이번 연송 치의학상 시상식은 지난달 6월 24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렸다. 이번 수상자는 현재 우리 단국대학교 치과대학장으로 재직중인 이해형 교수(치과대학 치의예과)가 제16회 대한치의학회 연송치의학상 시상식에서 연송상(기초치의학)을 수상했다. ▲ 이해형 교수 치의학 발전을 도모하고 우수한 연구자를 발굴하기 위해 2004년 제정한 연송치의학상은 전국 치과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선정하는 치의학계 대표 학술상이다. 최근 3년간 연구업적이 탁월한 임상 및 기초치의학 교수를 심사해 수상자를 결정한다. 이 교수는 “훌륭한 상을 받게 되어 기쁘고, 지금 있는 자리에서 치의학 발전을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지난 2002년 우리 치과대학에 부임한 이해형 교수는 치과용 생체재료 연구와 교육에 매진하고 있다. 2013년, 2019년 범은학술상(연구업적부분)을 수상하였고, 현재 교육부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2019~2025년)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중견연구자 지원사업(2020-2025년)의 책임자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대한치과재료학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치과재료학 교수협의회장을 맡고 있음과 동시에 치과대학 제 16대 치과대학장으로 취임하였다.

치의예과